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균
표준
기준
뉴스
"
정상상태
"(으)로 총 1,298건 검색되었습니다.
15년전 뚱뚱했던 초등1학년, 고혈압·당뇨 앓는 청소년기 거쳐 22살이 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6
질병관리본부와 강북삼성병원 연구팀이 국내 최초로 초등학생 4000여 명을 15년간 장기 추적조사한 결과 소아비만이 청소년기 비만으로 이어지며, 같은 시기 대사증후군이 발생할 위험이 커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팀이 국내 초등학생 4000여 명을 15년간 장기 추적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치매 환자가 암이 잘 안 걸리는 이유
2019.12.10
동아일보DB 평소 건강보조식품에 관심이 많은 필자는 특정 성분의 작용 메커니즘을 규명한 연구결과가 나오면 즐겨 읽곤 한다. 학술지 ‘네이처’ 11월 28일자에는 ‘코엔자임Q10’에 대한 논문 두 편과 해설이 실렸다. 코엔자임Q10(coenzyme Q10· 코큐텐)은 몸에 활력을 주고 항산화 효과가 있다고 ... ...
[인류와 질병] 우리는 왜 위험한 선택을 할까···질식분만의 진화
2019.11.30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제왕절개는 주산기 사망률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킨 의학적 개가다. 골반이 작은 여성도 아기를 낳을 수 있게 되었고, 머리가 크거나 자궁 내 위치가 좋지 않은 아기도 세상 빛을 볼 수 있게 되었다. 제왕절개가 널리 보급되면서 신생아의 체중이 조금씩 늘어나고 있다. 강력한 ... ...
과기원 두 곳과 국제 협력연구 파국 이끈 1년…남은 건 "한국은 원더랜드"이미지
동아사이언스
l
2019.11.27
미국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LBNL)의 방사광가속기 고등광원(ALS) 내부의 모습을 찍었다. 이곳과 연동된 연구장비 이용 대금은 지난해 말부터 불거진 신성철 KAIST 총장을 둘러싼 논란의 핵심이다. 최근 이 장비이용대금 지급이 일방적으로 보류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제공 LBNL 신성철 KAIST ... ...
우주 성간구름 채운 뿔 달린 축구공 모양 탄소 분자 확인
연합뉴스
l
2019.11.26
C60에 양성자 붙은 C60H+ 흡수 스펙트럼 첫 측정 양성자가 뿔처럼 붙어 양성화한 C60H+ 분자와 증거. 라드바우두 대학 제공 탄소 원자 60개가 축구공 모양으로 뭉쳐있는 탄소 분자 '풀러렌(fullerene·C60)'은 분자 물리학에서 최고의 대칭성을 가진 안정된 분자로 알려져 있다. 이 탄소 분자를 발견해 19 ... ...
[인류와 질병]인간이 겪는 최고의 고통, 출산은 어떻게 진화했나
2019.11.23
구약성서의 창세기에는 조물주가 여자를 창조한 후 다음과 같이 말했다. “여자에게 이르시되 내가 네게 임신하는 고통을 크게 더하리니 네가 수고하며 자식을 낳을 것이며…” 죄를 지어 그렇다지만, 좀 야속한 일이다. 호모 사피엔스는 출산을 참 어렵게 하는 종이다. ... ...
[이정아의 닥터스] "젊다고 고혈압 안심하면 안됩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4
14일 고대구로병원에서 만난 박창규 고대구로병원 심혈관센터 교수(대한고혈압학회 부회장)는 젊은 나이의 고혈압일수록 심뇌혈관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커진다며 혈압 관리를 강조했다. 고대구로병원 제공 식생활과 생활습관이 바뀌면서 젊었을 때부터 고혈압에 걸리는 사람들이 꾸준히 늘고 있 ... ...
신고리2호기, 정기검사 마치고 재가동
동아사이언스
l
2019.11.13
부산 기장에 신고리 원전 1,2호기의 모습이다. 원자력안전위원회 제공 신고리 원전 2호기가 정기검사를 마치고 재가동에 들어간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13일 "지난 9월 4일부터 정기검사에 들어갔던 부산 기장 신고리 2호기의 임계를 허용한다"고 밝혔다. 임계는 원자로에서 핵분열 연쇄반응이 ... ...
수명 늘고 안전성 확보한 ‘리튬 황 전지’ 제조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1.11
연구논문 제1저자인 김세희 박사(왼쪽)와 이상영 교수. UNIST 제공. 널리 쓰이고 있는 리튬이온전지보다 용량이 큰 ‘리튬-황 전지’의 성능을 개선하고 불 속에서도 안전하게 작동될 수 있는 프린팅 공정 기술이 개발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이상영 에너지및화학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안전 ... ...
약물 중독 치료하는 뇌 임플란트 세계 첫 이식
동아사이언스
l
2019.11.11
미국 웨스트버지니아대병원에서 약물 중독을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1일 세계 최초로 뇌 임플란트를 이식하는 수술을 진행했다. FDA가 약물 중독 치료를 목적으로 승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웨스트버지니아대병원 제공 약물 중독을 치료하기 위해 뇌 임플란트를 이식하는 수술이 세계 최초로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