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혹성
떠돌이별
유성
planet
뉴스
"
행성
"(으)로 총 1,601건 검색되었습니다.
테슬라 크기 소
행성
, NASA '깜깜이' 속 지구 최근접 지나쳤다
연합뉴스
l
2020.08.19
소
행성
등을 말한다. NASA는 0.05천문단위로 접근하거나 크기가 460피트(140m) 이상인 소
행성
을 잠재적 위험성을 가진 지구근접천체로 분류하고 있다. ... ...
[오늘의 우주과학]"성간천체 오우무아무아, 수소 얼음으로 만들어질 수 없어" 기존 가설 뒤집어
동아사이언스
l
2020.08.18
분류됐지만 궤도가 특이할 정도로 긴 타원형을 이루고 있고 이동속도가 다른 혜성이나 소
행성
보다 빠르며 형태가 긴 막대 모양으로 추정되는 등 독특해 결국 외계 성간천체로 재분류됐다. 인류가 태양계 내에서 관측한 최초의 외계 성간천체다. 2018년 미국항공우주국의 스피처 우주망원경을 이용해 ... ...
[프리미엄 리포트]돌멩이 하나에 30억 원? 운석 재테크 해볼까
과학동아
l
2020.08.15
쉽지 않다”며 “운석은 우주에 가지 않고도 모델링이나 관측이 아닌 실물로 다른
행성
의 역사를 연구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이라고 운석 연구의 의미를 설명했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8월호, 월석(月石) 한 개가 30억 원? '운석 재테크'를 꿈꾸는 ... ...
행성
사냥꾼 테스 2년간 찾아낸 외계
행성
만 2100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8.12
데 유리하다. 테스가 찾아낸 쌍성계 속
행성
의 모습을 상상한 그림이다. 쌍성계 속
행성
은 하루에 태양이 두개가 뜨는 장면을 보게 된다. 미국항공우주국 제공 패트리샤 보이드 NASA 고다드우주센터 테스 임무 책임자는 “테스는 여러 과학 분야에 걸쳐 귀중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고품질 자료를 ... ...
소
행성
'세레스' 땅 속엔 거대한 소금 호수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1
연료가 고갈돼 임무를 마쳤으나 세레스에 유기물질이 있고 물이 있는 것으로 추정돼 NASA
행성
보호 규칙에 따라 세레스 궤도를 수십 년간 더 돌기로 했다. 탐사선 돈이 2015년 촬영한 세레스의 모습이다. 곳곳에 밝은 부분이 보인다. NASA 제공 ... ...
[프리미엄 리포트] 마스2020 ‘인내’와 ‘끈기’로 흙 가지러 떠납니다
2020.08.08
받았다. 2000년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에 합류하여 현재 NASA JPL 우주환경그룹장을 맡아
행성
탐사 연구를 이끌고 있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과학동아 8월호 ] 2020 화성 탐사 레이스 PART 1. 우리가 화성에 가는 이유 └ [인포그래픽] 화성, 어디까지 가봤니 PART2. UAE | 달 ... ...
날아가는 깡통 아닙니다. 화성 갈 로켓입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6
스타십의 시제품 SN5가 4일(현지시간) 오후 6시 57분 시험비행에 나서고 있다. 스페이스X 제공 미국 민간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화성 이주를 목표로 한 우 ... “우리는 달에 갈 것이고 기지를 만들 것”이라며 “화성에 사람을 보내 인류가 여러
행성
에 거주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전파망원경+측성 기술 외계
행성
첫 관측, 제3의 방식 기대
연합뉴스
l
2020.08.06
외계
행성
탐색은 지구와 비슷한 생명체가 살 수 있는
행성
을 찾는 것을 넘어 더 많은
행성
을 찾아낼수록 태양계 형성과 우주의 진화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천문학의 중요 목표가 되고 있다. ... ...
12일 밤 시간당 110개 별똥별 쏟아지는 우주쇼…관측 전망 '흐림'
동아사이언스
l
2020.08.05
유성우의 이름은 복사점이 있는 별자리 이름을 따 지어진다. 유성우를 만든 혜성이나 소
행성
이름과는 관련이 없다. 유성우는 한 방향으로 떨어지지만, 지구에서 보는 사람의 시야 때문에 복사점을 중심으로 여러 방향으로 떨어지는 것처럼 보인다.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다만 날씨 때문에 ... ...
벼락이 사막에 떨어지면
팝뉴스
l
2020.07.31
사진을 트위터에 공개한 사람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립 대학교의 폴 번 교수(
행성
과학)이다. 뜨거운 열이 튜브 모양의 유리질 암석을 만드는데 플구라이트(fulgurite) 또는 섬전암(閃電岩)이라 부른다. 벼락은 사막에 작은 예술 작품을 만들어내고 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