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크린
비데오
텔레비전
비디오
영사막
모니터
화상
뉴스
"
화면
"(으)로 총 1,473건 검색되었습니다.
갤럭시 노트8에 비친 삼성전자의 고민
2017.08.24
파일로 만들어진다. 이른바 ‘움짤’을 만드는 요즘 트렌드를 따르고 있다. 그 밖에 빈
화면
에 메모를 한다거나 이미지에 마크업을 더하고, 마우스의 역할을 대신하는 것은 완전히 새로운 기능은 아니다. 어떻게 보면 펜에 우리가 PC에서 쓰던 입력 장치 경험을 더하고, 연필을 대신하면서 급격하게 ... ...
[사이언스 지식IN] 유행하는 '액체괴물' 안전하게 만드는 방법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8.23
액체괴물을 계속 만지작거리면 화상이나 피부염에 걸릴 수 있습니다. TV조선
화면
캡쳐 제공 또 액체괴물을 만드는데 들어가는 여러 재료들에서 나오는 환경호르몬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추론도 있습니다. 여러 의사나 화학공학자들은 액체괴물을 가지고 놀 때 발생하는 환경호르몬이 몸 ... ...
‘그림 그리는 로봇’, 나도 한 번 만들어 볼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8.18
꼽았다. - 염지현 제공 교실에서 진행하는 만들기 수업은 대부분 사용설명서를 커다란
화면
에 띄워놓고 하나씩 순서대로 다같이 미션을 수행하곤 한다. 한 명의 멘토가 여러 명의 멘티를 데리고 수업을 해야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박찬 선생님은 이런 순서를 지키기 보다는 학생들의 이목을 ... ...
먹이 찾는 남극 펭귄들, 울음소리로 의사소통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8.17
기간 동안 총 598회 나타났다. 이 중 절반 가량(43.18%)의 경우 울음 소리가 난 뒤 1분 내에
화면
속에 다른 펭귄들이 나타났다. 이렇게 모인 펭귄들은 얕은 깊이에서 한 방향으로 빠르게 헤엄쳤다. 이원영 박사는 “홀로 있는 펭귄의 울음소리가 난 뒤에 다른 펭귄들이 주변에 모인 점으로 볼 때 ... ...
[타보니] 테슬라 모델S, 오토파일럿으로 달려 봤습니다
2017.08.16
완전히 내려 놓으면 안 됩니다. 모델S는 운전자가 운전대를 잡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화면
을 번쩍여 경고합니다. 그래도 운전대에 손을 올려놓지 않으면 더 강하게 경고하다가 목적지까지 오토 파일럿 작동을 꺼 버립니다. 말을 듣지 않는다는 ‘벌’보다는 졸음이 오거나 피로도가 높아졌다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
2017.08.15
물론 섬 주민들이 버린 쓰레기는 아니고 해류를 따라 중국에서 온 것이라고 한다.
화면
을 보니 대부분 플라스틱이다. 사실 해양 쓰레기가 어제 오늘 얘기는 아니다. 매년 1200만 톤의 플라스틱이 바다로 버려지고 있는데 이것들이 5대양을 떠돌며 곳곳에 쓰레기 더미를 만들고 있다. 예를 들어 2년 전 ... ...
스타크래프트 2, 인간이 인공지능을 이길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8.14
맵도 부분적으로만 볼 수 있기 때문에 전략 예측이 쉽지 않습니다. 84x84 크리의 작은
화면
에서도 1억 가지 행동을 선택할 수 있을 정도입니다. 블리자드가 데이터를 공개하고, 딥마인드가 인공지능 관련 도구를 제공함에 따라 인공지능이 스타크래프트를 배우는 속도도 더 빨라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 ...
[써보니] 아이패드 프로 10.5
2017.08.07
아이패드 안에서도 콘텐츠를 만드는 기기와 소비하는 기기 사이의 간극이 0.8인치 차이의
화면
에 녹아 있는 듯하다. ※ 필자소개 최호섭. PC사랑을 시작으로 최근 블로터까지 IT 분야만 팠다. 차에서 보내는 시간이 아까워서 들여다보기 시작한 노트북과 팜 파일럿 PDA는 순간이 아니라 인생을 바꿔 ... ...
[돈테크무비36회] 과학적 기적과 고도의 사기의 사이에 놓여 있는 냉동인간
2017.08.05
사이의 화제로 떠올랐다. 냉동인간이 화두가 되었던 알쓸신잡의 한 장면 - tvN 방송
화면
캡처 그 이유는 지난 7월 기준으로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TV 프로그램 3위에 오른 교양예능 ‘알쓸신잡’ 시즌1 마지막 회의 내용 때문이었다. 정재승 KAIST 교수가 국내에서 발견된 미라에 대하여 논의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의 앞발이 손이 되지 못한 사연
2017.08.01
‘볼 맛’이 쏠쏠하다는 걸 발견했다. 특히 빠른 템포에서 연주자들의 손을 클로즈업한
화면
이 눈길을 사로잡았는데 현을 짚고 건반을 두드리는 현란한 손놀림이 경이로웠다. 세 사람의 연주를 지켜보다 문득 ‘인간이 손을 능숙하게 사용하게 진화했다지만 저 정도로 정교한 손놀림을 할 수 있는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