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스페셜
"
적은
"(으)로 총 1,120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좋은 기억에 빠지면 오히려 슬퍼진다
2019.10.05
게티이미지뱅크 흔히 우울증이라고 하면 슬픔의 정도가 심한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어쩌면 그보다 슬픔에서 쉽게 ‘회복되지 못하는 것’이 더 우울증의 중요한 증상일 수 있다고 한다. 실컷 슬퍼하고 난 후 털어낼 수 있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이 있고 후자의 경우 우울증을 겪을 위험이 더 높 ... ...
日오염수·수출규제 R&D현안 수두룩한데…'조국'만 보는 과기정통부 국감
2019.10.02
10월 2일 국회에서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가 열렸다. 왼쪽부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민원기 2차관, 최기영 장관, 문미옥 1차관, 김성수 과기혁신본부장의 모습이다. 조승한 기자 shinjsh@donga.com 2일 오전 이뤄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대한 올해 첫 국정감사에서는 과학기술과 정보통신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쑥스러움이 많을수록 친구가 필요하다
2019.09.28
자신감이 부족한 사람들에게서 더 소중한 친구나 연인의 존재가 자아관 형성에 큰 영향을 준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정말 발이 넓은 사람이 있었다. 모임만 10여 개를 나가고 '카톡' 창에는 항상 불이 났다. 외로울 틈이 없을 거라고 생각했다. 그러던 어느 날 "만나는 사람은 많은데 진짜 친구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프리카돼지열병 어떻게 한국까지 들어왔을까
2019.09.24
지난 17일 경기 파주의 한 농장에서 폐사한 돼지가 아프리카돼지열병으로 확진됐다. 연합뉴스 제공 이번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은 상당한 기간(영원하지는 않더라도) 동물 질병 가운데 가장 심각한 사례로 남을 것이다 -더크 파이퍼, 홍콩시립대 교수 동아프리카에서 혹멧돼지와 강멧돼지를 포함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고대의 하늘
2019.09.19
태양계는 가장 큰 태양과 다양한 크기의 크고 작은 행성으로 구성돼 있다. NASA 과학이 충분히 발달한 지금 21세기에도 우리는 여전히 '해가 뜬다', '별이 진다'는 표현을 쓴다. 과학적으로 전혀 맞지 않는 말이지만 아주 오랫동안 그렇게 써 왔을 뿐더러 우리의 일상 경험과도 잘 맞기 때문이다. 과학 ... ...
[강석기의 과학카페]이토록 황홀한 블랙을 본 적이 있는가
2019.09.17
독일 자동차회사 BMW는 2019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제품화된 가장 검은색 물질인 밴타블랙으로 칠한 X6 2020년 모델(VMX6)을 공개했다. 다만 VBX6를 출시할 계획은 없다고 한다. BMW 제공 “검은색은 색이 아니다.”- 레오나르도 다빈치 “검은 물체는...물론 극소량이기는 하지만 하얀빛을 반사한다.” - ... ...
[표지로 읽는 과학] 훔볼트를 기리며 종다양성 선입견을 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15
보고라 불리는 아마존보다 다양한 생물 종을 보유하고 있다. 심지어 안데스 산맥의 면
적은
아마존의 12분의 1에 불과하다. 카스텐 라벡 덴마크 코펜하겐대 생물학과 교수 연구팀은 이런 현상의 원인으로 독특한 다차원적인 산악기후를 꼽고 관련 연구내용을 이번주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투명인간'의 슬픔
2019.09.14
직접적이고 눈에 보이는 따돌림 못지 않게 원인이 불확실하고 무시나 비웃음 등 '은근히' 이루어지는 괴롭힘도 사람들에게 악영향을 미친다. 게티이미지뱅크 무관심보다는 미움 받는 게 낫다고 했던가? 아무 것도 하지 않고 사람을 상처 입힐 가장 확실한 방법이 있다면 그건 바로 ‘무시’이다. ... ...
[인류와 질병] 큰 뇌를 가진 인간, 변화에 적응하는 인류에겐 숙명인 질병
2019.09.14
설명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스칸디나비아반도는 식량은 구하기 어렵지만, 감염원은
적은
환경이다. 이런 환경이라면 얼른 많은 자식을 낳는 전략보다는 천천히 소수의 자식을 낳는 전략이 유리하다. 수명은 자연스럽게 길어졌고 수초화는 늦은 연령까지 지속되었다. 이는 세대 간 정보 전달에 ... ...
스트레스 무찌르는 용사는 '뼈'에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13
기존에 발견됐던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솔보다 스트레스에 더욱 빠르게 작용하는 호르몬이 발견됐다. 이 호르몬은 뼈에서 분비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명절을 맞아 수십 가지 전을 부치고 오랜만에 만난 친척들에게 '반갑지 않은 덕담'을 듣다보면 연휴가 무색하게 스트레스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