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용
응용
적용
활용
용도
소비
개발
d라이브러리
"
이용
"(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와인 이제 바르고 입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식초)가 탄생할 때 셀룰로오스와 박테리아가 엉겨 붙으면 면처럼 탄력이 생기는 특성을
이용
해 ‘와인으로만 만든 드레스’도 있다. 호주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자연농업과학과 게리 캐스 교수와 호주 에디트 코완대의 동시대 현대아티스트 도나 프랭클린은 마이크로비(Micro‘be’)라는 연구팀을 ... ...
첨단토목기술 떠받치는 기둥, 철강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상상할 수도 없었던 구조물을 만들 수 있었기 때문이다.“본격적으로 철이 토목재료로
이용
되기 시작한 건 19세기 초반 철에 함유된 탄소를 줄인 철강(steel)이 등장하고 나서입니다. 철강은 강도가 높으면서도 잘 깨지지 않아 토목재료로 이상적이죠.”19세기 중반에는 철근 콘크리트가 등장하더니 ... ...
떠다니는 과학 실험실 아라온 호, 남극 간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밑에 원유나 가스하이드레이트가 매장돼 있을 경우 다른 지각보다 무르다. 또 반사파를
이용
해 어류자원의 양과 분포를 탐지하는 과학 어군탐지기와 어군탐지 소나 같은 장비도 있다. 이 장비를 활용하면 크릴과 어족자원의 분포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다.아라온 호는 심해저에서 샘플을 채취하기 ... ...
창의설계 및 생산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통한 문제해결)’ 같은 방법으로 자신의 사고를 전개하는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
해서 형상으로 나타내는 방법을 익힌다. 또 한정된 비용으로 최적의 시스템을 제작하는 과정을 배운다.5. 어떤 학생을 원하나요?굉장히 넓은 범위를 아우르는 학문이기 때문에 여러 분야에 관심을 갖고 있는 ... ...
민물고기 별별랭킹 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근육이 잘 발달한 가슴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가 있기 때문이죠. 이것을 다리처럼
이용
해 갯벌을 기고 말뚝이나 바위를 기어오른답니다.강준치수면 가까이에 사는 강준치는 입이 하늘을 향하고 있어요. 수면으로 떨어지는 육상 곤충을 잘 먹기 위해서죠. 독특한 사연이 있는 민물고기는 누구 ... ...
오른쪽? 왼쪽? 보행의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이 곳은 아시아 대륙 동쪽 끝에 위치한 대한민국입니다. 이 나라에서는 요즘 걸어갈 때
이용
하는 길의 방향을 바꾸자는 주장이 나와 논란이 되고 있어요. 길 왼쪽에 서서 걷던 오랜 습관을 바꿔서 길의 오른쪽으로 걷자는 이야기인데요, 이 나라 사람들은 1921년부터 길 왼쪽에서 걸어왔다고 해요. ... ...
사칙연산에 새겨진 영어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원래 digit의 의미는 손가락, 발가락을 뜻했지만 옛날부터 10 이하의 수는 손가락을
이용
해 계산했던 관계로 수학적 의미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이번에는 뺄셈의 영어단어는 무엇이고 어떤 뜻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자. subtraction은 ‘아래’를 나타내는 sub(서브) 와 ‘잡아 끌어 내다’라는 의미의 ... ...
거친 파도의 비밀을 수학으로 밝히다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파도의 파동그래프와 빛의 파동그래프가 일치함을 방정식을 통해 알아 내고 이를
이용
해 파도의 파동을 예측할 수 있는 광학장치를 만들었습니다. 파도의 파동은 날씨와 해류의 영향을 받아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빛을 사용한 것입니다.광학장치를 통해 실험한 결과 거친 파도는 2개의 파동이 ... ...
광통신 구현한 광섬유 디카의 핵심 CCD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광메모리, 여러 개의 파장을 하나의 광섬유로 동시에 전송하는 광통신 기술처럼 빛을
이용
한 IT는 지금도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다.지구상에 무한하게 존재하면서도 오염이 없고 전송속도가 빠른 빛은 인류에게 주어진 최고의 자원이다. 빛을 전송하는 광통신 기술과, 빛을 감지하는 CCD 기술에 ... ...
세포 수명 조절하는 원리 규명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세포시계소풍을 가기 위해 30cm짜리 김밥을 만든다고 가정하자. 길이가 정확히 30cm인 김을
이용
하면 마지막에 양쪽 꼬리를 잘라내야 하므로 결국 완성된 김밥은 30cm보다 짧다. 김밥 꼬리를 잘라낸 뒤에도 전체 길이가 정확히 30cm가 되려면 김밥을 어떻게 만들어야 할까.기다란 DNA가 복잡하게 얽힌 ... ...
이전
789
790
791
792
793
794
795
796
7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