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숨
생명
수명
운명
명령
비명
비문
d라이브러리
"
명
"(으)로 총 9,637건 검색되었습니다.
1. 검은 황금 찾는 한국심해자원 개발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6천m까지 내려가려면 최소한 5-6백기압을 견뎌내야한다. 이것은 엄지손가락만한 면적에 10
명
의 사람이 올라선 정도의 압력이다.1만m 이상을 탐사하는 무인탐사로봇(ROV, Remotely Operated Vehicle)이나 자율형 무인탐사로봇(AUV,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은 이러한 압력을 견뎌내기 위해 초고장력강 ...
2. 특수상대성 이론의 예언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질량 증가 현상은 관측자의 속도가 빛보다 빠를 수 없다는 것을 설
명
해준다. 따라서 아무리 훌륭한 우주선을 만들어도 빛의 속도보다 빠를 수 없다는 것이 특수상대성이론의 주장이다. 예언5. 질량은 곧 에너지다 E=mc²특수상대성이론이 세계를 뒤흔든 것은 질량을 에너지로 ... ...
1. 1백
명
여론조사 KAIST 학생들의 천태만상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과학영재들이 많이 모인다는 KAIST. 설문조사를 통해 KAIST학생들의 참모습을 찾아봤다. '행복한 가정생활'이 '학문적 성취' 보다 중요하다 ... 38
명
이 고등학교때 처음 과학동아를 접했고 22
명
이 중학교때, 국민학교때 접했다는 사람도 4
명
이나 됐다. 나머지는 대학교와 대학원 때 처음 봤다고 ... ...
자동차 안에서 PC통신 즐긴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삐삐 가입자는 1월중에 1천만
명
을 넘어 우리나라 인구 4
명
당 1대꼴로 널리 보급됐다. PC통신 인터넷 등 데이터통신도 빠른 속도로 우리 사회에 뿌리내렸다. 요즘 컴퓨터를 통신망(네트워크)에 연결하지 않고 혼자서만 사용한다면 "컴퓨터가 가진 기능을 절반도 활용하지 ... ...
제5회 신나는 과학놀이마당 솜사탕도 만들고 DNA도 배열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이번 행사를 준비했던 신과사 교사들은 과학놀이마당을 개최했던 취지를 이렇게 설
명
했다. "과학에 대해 흥미를 잃어가는 학생들에게 과학이 재미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다. 한때 퀴즈대회와 같은 것을 실시해 봤는데, 처음엔 반응이 좋았지만 계속되지 못했다. 그래서 생각한 것이 ... ...
2. 나의 젊은 시절 보금자리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배출한 졸업생은 학사 6천2백34
명
, 석사 8천7백1
명
, 박사 2천3백18
명
이다. 20대박사는 1천57
명
으로 박사 취득자의 48%를 차지하고 있다. 학사졸업생은 62%가 진학을 했으며 32%가 산업계로 취업을 했다. 석사졸업생은 32%가 진학을 택했고 산업계로 43%, 연구기관으로는 18%가 진로를 택했다. ...
애인 잡아먹는 비운의 암거미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이론이 성립된다면 암컷이 충분히 배가 차있는데도 수컷을 잡아먹는 것을 어떻게 설
명
해야 할까. 이런 이론을 시험하기 위해 우메아 대학의 아른퀴비스트와 헨릭슨은 고기잡이거미를 연구했다. 고기잡이거미는 3cm까지 자라고 올챙이와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을 수 있다. 연구자들은 암컷을 두 ... ...
4. 좌담 창조적인 아이디어는 밤샘 토론에서 나온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하는데요.정담이 : KAIST 학부에는 60여개의 동아리가 있는데 KAIST 학부 재학생이 2천4백여
명
정도니까 다른 학교에 비해 동아리가 많은 편이지요. KAIST는 학술을 위한 소모임이 몇 개 되지 않습니다. 공부를 하기 위해 일부러 모이는 경우는 없는 거죠. 그대신 공부 이외의 관심사가 같은 학생들이 모여 ... ...
3. 세계톱10을 준비하는 KAIST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나를 함께 생각하는 공인의 자세를 지녔으면 한다. 늦었다고 생각할 때 시작하자
명
정수KAIST는 우리나라의 대학원 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했고, 경제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한 첨단인력을 양성 배출하였음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제 제2의 KAIST를 창출하고 앞으로의 4반세기를 이끌어 ... ...
2. 공통과학 성공의 조건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오금고 구수길 교사가 작성한 석사논문이 눈길을 끈다. 구수길교사에 따르면 전국 4백95
명
의 과학교사들을 설문조사한 결과 47.1%의 교사가 공통과학이 현재와 미래를 고려한 아주 합당한 과목이며 꼭 필요한 과목이라고 한다. 반면 50.5%의 교사는 있으나 없으나 큰 차이가 없으며 탁상공론으로 만든 ... ...
이전
791
792
793
794
795
796
797
798
7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