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월"(으)로 총 17,67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신종헌터는 생물역사의 기록자”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새로운 미생물을 찾는 신종헌터니까 가능했습니다.”조장천 인하대 생명과학과 교수는 10월 11일 열린 과학동아 카페에서 신종헌터의 특권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신종헌터는 새로운 생물 종을 찾는 과학자를 이르는 말이다. 이날 행사에는 조장천 교수와 함께 조주래 국립생물자원관 연구관, 박태서 ... ...
- [life & tech] “이제 발가락 안 자를 거죠?”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옆구리 무늬가 다르다. 이화여대 연구진은 이를 바코드로 이용했다. 올해 4월부터 8월까지 일주일에 이틀씩, 매회 100~600마리씩 현장에서 개구리를 잡아 옆구리 사진을 찍고 위치를 기록한 뒤 풀어줬다. 일이 끝나면 연구실로 돌아가 컴퓨터에 사진을 올리기만 하면 된다. 다음에 같은 개구리를 ... ...
- [life & tech] 짝퉁 꼼짝 마!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때문에 숨겨진 글자가 뚜렷하게 나타날 수 있는 패턴 모양과 최적 두께를 찾는 데만 6개월이 걸렸어요. 그저 미친놈마냥 하고 또 하고 계속 했죠.”이렇게 개발된 한국조폐공사 고유의 복사방해패턴은 인감증명서 같은 각종 국가 인증서와 대학 증명서, 의약품 처방전, 온누리상품권 등에 적용됐다.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3] 세계적인 곤충박사 ‘징그러 몬만지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따뜻한 6월. 썰렁홈즈는 세계적인 곤충박사 ‘징그러 몬만지네’와 함께 탐사를 떠났다. 사람의 손이 한 번도 닿지 않은 곳이라 아직까지 발견하지 못한 새로운 곤충을 찾기 위해서였다.“여기에 사는 곤충들은 아마 한 번도 본적이 없는 녀석들일 거야.어쩌면 머리가 뛰어나게 좋은 녀석이 있을지도 ... ...
- [과학뉴스] 폭발 위험까지 알려주는 똑똑한 배터리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리튬이온전지는 스마트폰에 전력을 공급하는 현대인의 필수품이지만 과열되면 폭발할 수 있어 정보통신업계의 큰 골칫거리였다. 그런데 최근 폭발 위험을 미리 경고해 주는 ... 보내는 배터리를 만들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0월 14일자에 발표됐다 ... ...
- [hot science] IQ떨어지는 인류, 혹시 바보가 되는 중?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당장 그만둬야 한다.”그 중 ‘구글링(구글 검색)’에 대한 비판은 독설에 가깝다. 지난 10월 초 독일의 국제방송인 ‘독일의 소리’와 가진 인터뷰에서 그는 “구글링은 전혀 유용하지 않다”며 “자료가 많아도 사전 지식이 없으면 불필요한 자료를 걸러내지 못해 무용지물”이라고 말했다. 중요한 ... ...
- [career] 기숙사에서 매일 열리는 ‘비정상회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좋지만, 좀 더 국제화된 분위기에서 학교를 다니고 싶어 KAIST로 왔다”고 말했다. 그녀는 월요일마다 종편 jTBC의 예능프로그램 ‘비정상회담’을 즐겨본다.“우리 기숙사에서 나오는 이야기도 ‘비정상회담’이랑 아주 비슷해요. 차는 몇 살에 몰아도 될까, 술은 얼마나 먹어도 될까, 담배는, ... ...
- [life & tech] 거대한 빛을 체험하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만들겠다”고 말했다. PLUS 루체리움 관람하기국립광주과학관 루체리움은 월요일 휴관일을 제외한 평일 및 주말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 관람할 수 있다. 입장료는 어른 3000원, 청소년과 어린이는 2000원이다. 천체투영관과 4D 영상 관람을 하려면 1인당 각각 1500원을 추가로 부담하면 ... ...
- “클림트의 그림은 왜 더 야할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1897년 4월, 20여 명의 화가와 건축가가 오스트리아 빈에서 아방가르드(전위예술) 동맹을 결성했다. ‘분리파’라고 불린 이들은 그들의 뿌리인 인상주의는 물론이고, 기존 아카데미 위주의 전시로부터 자신의 예술을 분리시켰다. 분리파의 중심에는 구스타프 클림트가 있었다. 클림트는 우리에게 ... ...
- Part 1. 테러도 공식을 따른다!수학동아 l2014년 11호
- 터진 폭탄을 조사한 결과, 11월 5일 국회의사당에서 터진 폭탄과 동일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두 사건 모두 같은 조직의 소행으로 보입니다. 문제는 누가 왜 이런 테러를 저질렀는지 아직까지 밝혀진 게 없다는 겁니다. 세 번째 폭탄 테러가 언제 어디서 일어날지도 모르는 상황이고요. 일단 저는 ... ...
이전7917927937947957967977987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