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월"(으)로 총 11,82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수학동아 l201610
- 폴리매스 프로젝트를 기획 중이다. 대한수학회, 국가수리과학연구소와 함께 2017년 1월부터 매달 함께 풀 좋은 문제를 인터넷에 공개할 예정이다. 수학에 관한 거라면 엉뚱한 질문도, 대답도 대환영이다. 또래 친구들과 다양한 의견을 나누면서 혼자서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도 풀고, 생애 첫 논문도 ... ...
- [과학뉴스] 임상종양학회지 (Journal of Clinical Oncology)과학동아 l201610
- 암에 대한 연구 결과도 여기에 발표된 논문인 경우가 많다.미국임상종양학회가 1983년 1월부터 발행한 이 학술지는 지난해 학계에서의 영향력을 평가하는 ‘임팩트 팩터(IF)’가 20.982였다. 임상 암 연구 결과를 다루는 학술지 중 최고다. 저널에는 위암, 유방암, 피부암 등 주요 암뿐만 아니라 임상 ... ...
- [과학뉴스] 책을 펼치지 않고도 읽는 ‘독책술’과학동아 l201610
- 펼치지 않고도 책 속 내용을 읽을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9월 9일자에 발표했다.MIT 미디어랩 바르막 헤쉬멧 연구원팀은 적외선과 라디오파 사이의 전자기파 영역인 ‘테라헤르츠 라디오파’를 이용했다. 서로 다른 화학물질은 저마다 테라헤르츠파를 흡수하는 영역대가 ... ...
- [과학뉴스] 사람은 초기 인류보다 뇌 혈류량 6배과학동아 l201610
- 비해 현생인류의 뇌 혈류량이 6배나 많다는 연구 결과를 ‘영국왕립학회오픈과학저널’ 8월 31일자에 밝혔다.연구팀은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를 포함해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프리카누스, 오스트랄로 피테쿠스 아파렌시스, 호모 하빌리스, 호모 날레디 등 12개 종의 두개골을 분석했다. ... ...
- [과학뉴스] 알고 보면 더 신기한 ‘더블 이클립스’과학동아 l201610
- NASA)의 태양활동관측위성(SDO)이 9월 1일 ‘더블 이클립스(double eclipse)’를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더블 이클립스는 지구와 달이 태양을 동시에 가리는 현상으로, 지구가 태양활동관측위성의 시야를 가리며 지나가는 동안 달이 태양 앞을 통과하는 매우 드문 이벤트다. 촬영한 사진과 영상은 NASA ... ...
- [과학뉴스] 사해 소금으로 다시 태어난 환상의 드레스과학동아 l201610
- 아라비아 반도 북서부에 있는 한 호수는 소금이 지나치게 많은 탓에 생명이 살 수 없어 ‘죽은 바다(사해)’라는 이름을 갖게 됐다. 바닷물 1L당 ... 장식된 환상적인 드레스로 부활시켰다. 드레스가 변하는 과정을 찍은 사진은 9월 3일까지 영국 런던에 있는 말바라현대미술관에서 전시됐다 ... ...
- [포커스 뉴스] 갤럭시노트7 폭발 사고, 정말 배터리 때문?과학동아 l201610
- 지난 8월 24일, 한 유명 커뮤니티에 삼성전자의 갤럭시노트7이 충전 중에 폭발했다는 글이 올라왔다. 그로부터 6일 뒤 두 번째, 세 번째 폭발 사고가 이어졌고, 현재(9월 21일 기준)까지 국내외 서비스 센터에 접수된 사고만 100건이 넘는다. 이전에도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등의 배터리 발화 문제는 ... ...
- Intro. 데이터로 본 노벨 생태계과학동아 l201610
- 10월 첫 주. 많은 한국인의 이목이 스웨덴 노벨위원회에 집중된다. 하루 한 분야씩 노벨상 수상자를 발표하기 때문이다. ‘올해는 우리나라 과학자가 노벨과학상을 탈 수 있을까’ 하는 기대감에, 각종 매체에 과학자들의 이름이 오르내린다. 하지만 매년 ‘혹시나 했는데 역시나’ 하는 경험을 ... ...
- [News & Issue] 최후의 날, 공룡에겐 무슨 일이 있었을까과학동아 l201610
- 초래했다고 본다. 반면 이번 가설을 주장한 일본 도호쿠대 쿠니오 카이호 교수팀은 7월 14일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발표한 논문을 통해 “실제 모델링을 해본 결과 황산 증기는 성층권에서 높은 밀도로 응축될 수 없는 데다, 오랫동안 잔존할 수 없어 지구의 기온을 떨어뜨리는 데에는 ... ...
- [Knowledge] 미크로네시아 해양과학기지를 가다!과학동아 l201610
- KIOST)과 과학동아가 주최한 열대해양연구단 10기 단원 7명이 지난 8월 18일 뜨거운 여름 바다로 떠났다. 이들이 향한 곳은 태평양의 미크로네시아 축주(州)에 위치한 KIOST 태평양해양과학기지. 수많은 해양생물의 보금자리인 이곳에서 보낸 8박9일을 담았다.한국에서 비행기를 탄 지 16시간 만에 축에 ... ...
이전7576777879808182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