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규칙"(으)로 총 2,54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웰컴 투 매스잼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단 상하좌우에 별이 나타나면 주사위 숫자와 상관없이 별칸으로 갈 수 있다. 이런 규칙 아래서 끝까지 가는 가장 짧은 경로를 찾아야 한다.왼쪽 미로는 아주 쉬운 롤링 큐브 미로로, 주사위를 요리조리 굴리다 보면 금세 답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아래와 같은 롤링 큐브 미로는 답을 찾기가 매우 ... ...
- Part 2. 퍼즐 즐기면 수학 실력 업!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밝혀진 바에 의하면 무조건 이기게 되는 경우는 1×1, 2×2, 3×3 초콜릿으로 잘라 넘길 때다. 규칙에 의해 4×4초콜릿도 무조건 이기게 되지 않을까? 경우를 따져보면 바로 무조건 이기게 된다는 걸 알 수 있다.이로부터 무조건 이기게 되는 경우가 n×n밖에 없다고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초콜릿을 n×n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알고 나면 매력이 두 배! 야구의 모든 것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기본 규칙‘야구왕 허슬기’를 좋아하는 친구들은 이미 야구 규칙을 알고 있을 거예요. 야구는 9명으로 구성된 2개 팀이 9회 동안 경기하며 점수를 얻는 스포츠예요. 타자가 공을 친 후 ●진루해 3루를 모두 돌면 1점을 획득해요. 타자는 스트라이크를 3번 당하거나 타자가 친 공이 땅에 닿기 전 포수가 ... ...
- 수학이 빚은 조각 보석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우리 주위에 있는 고체는 물질을 구성하는 원소들이 육면체나 육각기둥 모양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된 ‘결정질’과 특정한 모양 없이 제멋대로 나열된 ‘비정질’로 나뉩니다. 결정질 고체 중 자연에서 저절로 만들어지는 물질이 바로 광물입니다. 이 중 우리 눈을 한 번에 사로잡을 정도로 ... ...
- [과학뉴스] 지구 최강 생명체, 물곰의 비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말라버렸을 때 높게 발현된 유전자를 발견했고, 이 유전자로 합성되는 단백질에 ‘불규칙한 단백질그룹(TDPs)’이라 이름 붙였다. 이 단백질은 3차원의 일반적인 구조를 가지지 않기 때문이다.오랫동안 과학자들은 설탕의 일종인 ‘트레할로스(trehalose)’가 물곰이 건조 상태를 버틸 수 있게 한다고 ... ...
- [Future] 나노세계 건설하는 두 가지 방법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리드연구센터 선임연구원팀이 2차원 물질인 그래핀에 마치 연탄처럼 10nm 크기의 구멍을 규칙적으로 뚫어 열을 전기로 변환하는 성능을 극대화했다.탄소 원자가 육각형 그물 모양으로 촘촘하게 짜여진 그래핀은 원래 열을 잘 전달하는 물질이다. 하지만 사이사이에 균일한 나노구멍을 뚫어 놓으니 ... ...
- Part 2. 양자역학, 인류의 물질관을 재정립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원리다. 고체 속에는 무수히 많은 원자가 정렬되어 있다. 고체 속 원자를 배열하는 규칙은 엄격한 대칭성 원리를 따른다. 디랙 물질 이론 연구로 유명한 양범정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이렇게 설명한다. “빨간 입자와 파란 입자가 사는 파동벡터 공간이 회전에 대한 대칭성을 갖는다고 ... ...
- 앱 만드는 선생님 나훈희 교사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사용하지 못한다. 그래서 나 교사는 스마트폰을 수업에 이용하기 전에 학생들과 규칙을 정한다. 스마트폰으로 재미있게 수업을 하는 대신, 인터넷이나 SNS, 게임을 하면 앞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하지 않겠다는 식이다. 학생들이 스마트폰을 활용한 수업을 좋아하기 때문에 나 교사의 작은 협박(?)은 잘 ... ...
- [Issue] 스마트폰이 불면의 원인? ‘꿀잠’의 비밀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눈꺼풀이 무거운가. 당신의 밤을 달콤한 꿀잠으로 채우기 위해 스마트폰을 내려놓고 규칙적인 생활을 시작할 때다. + 더 읽을거리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 ‘잠과 꿈의 몽상학’(2014.05)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405N043기획 ‘겨울잠 스위치 켜고 우주여행 떠나자’(20 ...
- [Career] 전극에 심은 나무, 수소에너지를 만들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백문이 불여일견”이라며 영상 하나를 보여줬다. 영상 속에는 팔면체의 화학물질이 규칙적으로 배열돼 있었고, 그 사이사이에는 작은 분자가 들어있었다. 영상이 시작되자 작은 분자들의 움직임이 빨라졌다. 작은 분자들이 모이면 전류가 흐를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장 교수는 “팔면체 사이에 ... ...
이전7576777879808182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