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만"(으)로 총 2,2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초원의 시간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물었다.“하루면 돼요. 윤희나 씨, 일정을 그 이상 지연시킬 생각은 저도 물론 없어요. 다만 경로를 조금만 수정하자는 거예요. 특별히 봐야 할 곳이 정해져 있지 않다면요.”라베아 유수프가 차분한 목소리로 그렇게 말했다. 윤희나는 숨도 쉬지 않고 반문했다.“특별히 봐야 할 게 없다면요? 그 ... ...
- 좋아하면서 동시에 성장할 수 있는 일을 직업으로 삼아라 (노준용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컴퓨터과학의 여러 분야 중 CG를 선택하게 됐습니다.”지금도 그는 영화 감상을 즐긴다. 다만 과거와 달리 이제는 영화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알고 있다. 영화 작업을 할 때는 CG가 들어가지 않은 날것 그대로의 촬영본을 보는 일도 많을 텐데, 영화 감상에 방해가 되지 않을까. “오히려 감흥이 더 ... ...
- ‘살인 진드기’와의 인터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 정도로 진드기 중에서는 매우 큰 편이지만 사람의 눈으로 바로 확인하긴 어려울 게요. 다만 피를 잔뜩 먹으면 최대 10㎜까지 커지지. 또 유충일 때부터 사람이나 동물에 달라붙어 피를 빨아먹으니 어린 개체라고 무시하면 큰 일 난다오.우리는 바이러스뿐 아니라 다른 세균도 옮긴다오. 하지만 ... ...
- 우주보다 큰 허세 중2병과학동아 l2013년 10호
- 관심을 유지한다면 훗날 취미로 삼거나 전공으로 공부하게 되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다만 성인이 되어서도 중2병을 벗어나지 못한다면 망상에 빠질 수도 있어 위험하다.공감과 소통이 중요최근 각종 뉴스에서는 청소년의 일탈이나 범죄를 다루면서 중2병과 연관 짓곤 한다. 물론 중2병이 일탈 ... ...
- 6500만 년 전, 공룡이 사라진 땅에 작은 원숭이가 나타났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혹은 조상 하나가 건너와 남미에서 여러 목으로 나뉘었는지는 여전히 불명확하다.다만 아직 얕고 가까웠던 대서양을 통해 건너왔다는 정도만 추측하고 있다. 참고로 올해 7월 독일 연구팀이 미토콘드리아 게놈을 이용해 밝힌 새로운 영장류 계통도를 보면 (‘플로스원’ 게재) 최초의 신세계 ... ...
- [가상 인터뷰] 거품의 일생, 그 비밀이 밝혀졌다?!수학동아 l2013년 10호
- 같은데, 사실 그렇지 않아요. 저는 태어날 때부터 정해진 규칙대로 살아가고 있답니다. 다만 그 규칙이 너무 복잡해서 그 동안 사람들이 이해를 잘 못했던 것이죠.그렇군요. 그렇다면 어렸을 때 이야기와 미래 계획을 말씀해 주세요.거품의 일생은 액체의 표면에서 막이 얇게 퍼지는 것으로 시작해요. ... ...
- Part 3. 신세계 : 뇌 너머의 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청각피질, 시각피질에 전극을 붙이고 미세 전류를 흘려 환자가 듣거나 보게 할 수 있다.다만 문제가 있다. 인간 뇌의 청각피질과 시각피질은 뇌의 주름 안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기존의 방식으로는 직접 자극이 불가능하다. 여기에 최근 나노재료 기술이 구원투수로 등장했다. 2011년 말, 존 로저스 ... ...
- 도사, 신선, 여래, 그리고 원숭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참과 거짓, 의미와 무의미, 존재와 무, 빛과 입자, 시간과 공간, 여래와 중생… 모두 다만 헛된 이름일 뿐, 이름을 넘어선 곳에서는 그 모든 것들이 결코 이름 붙일 수 없는 모습으로 세계 그 자체를 이루고 있다. 원숭이는 몸을 떨며 눈을 깜빡였다. 세계가 열리고 세계가 닫혔다. 아무것도 없었다. ... ...
- Part 1. 출항 : 우주보다 복잡한 지도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앞으로 더 많은 뇌를 연구하면 뇌 사진도 많이 찍을 테고, 해상도도 올라갈 것이다.다만 인간의 뇌는 다른 동물보다 워낙 커서 지도화 작업이 오랜 걸린다. 뇌 기증자가 매우 적고, 다른 장기보다 사후에 유독 더 변형되기 쉬운 점도 뇌지도 제작이 어려운 이유다.데이터 처리 능력도 문제다. 1μm ... ...
- 실감형 스마트워크 - 회사는 일주일에 한 번만 간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시스템이 있었다면 어땠을까. 사실 스마트워크는 이미 곳곳에서 쓰이고 있다. 다만 아직 널리 퍼지지 않아 낯설 뿐이다. SKT, KT 같은 통신사는 물론, 삼성 SDS, LG 등에서 스마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한 플랫폼을 개발했으며 이미 서비스하고 있다. 메신저, 클라우드 서비스 등으로 집은 물론 어디에서도 ... ...
이전7576777879808182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