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연
자연계
d라이브러리
"
생태계
"(으)로 총 1,565건 검색되었습니다.
민물새우 사는 생태연못 둠벙을 아십니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정확히 설명할 수 있다면 겨울철 둠벙에 물을 받거나 나아가 논에 물대기를 해서 농촌
생태계
를 살리는 방법은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농사에도 도움이 되는 상생의 방안을 찾을 수도 있을 것이다 ... ...
“지금 안 막으면 사방이 가시박 천지가 됩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교수의 연구실 바로 앞에 있는 조팝나무는 12월 중순인데도 꽃을 피우고 있다. 한마디로
생태계
가 뒤죽박죽이 되고 있는 것이다.강 교수의 연구실 한 구석엔 흰 쓰레기봉투가 잔뜩 쌓여있다. 자세히 보니 모두 슬라이드 필름이다.“갖고 있던 슬라이드 15만 장 가운데 추려내고 남은 10만 장입니다. ... ...
Part 1. 70억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인구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국가별로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인구를 줄인다고 해결되지 않는다).생태발자국이
생태계
의 부담 범위를 넘었다는 것은 현재 인류가 이미 지구의 자원과 에너지를 소모하고 있으며 언젠가는 모두 소진할 수 있다는 뜻이다. 더구나 오늘날 인류는 단순히 식량을 생산하기 위해서만 지구 자원을 ... ...
한반도 바다의 지배자는 누구? 상어 VS 고래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0호
밑에 심층수는 오히려 온도가 내려 갔지요. 과학자들은 이런 변화가 장기적으로 해양
생태계
를 해칠 수 있지만, 당장 고래에게 큰 영향을 미치진 않을 것으로 보고 있어요. 고래는 매우 두터운 지방층을 갖고 있기 때문에 수온과 크게 상관이 없거든요.다만 먹이가 되는 플랑크톤이나 어류들이 ... ...
현장출동! 독도탐사대 강치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9호
빼어난 미모까지 갖춘 국립수산과학원 독도수산연구센터의 정예요원. 2년 동안 독도의
생태계
연구. 최근엔 독도에 서식하는 홍합에 대한 연구 중.독도가 사라진다고?“으…, 여기가 어디지?”헉! 뱃멀미라고는 해 본 적이 없는 제가 3m나 되는 파도에 무너지고 말았습니다. 멀미 때문에 깜빡 잠든 ... ...
뉴칼레도니아 생태탐험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7호
뉴칼레도니아에 살고 있어. 짖는 새, 카구를 만나다!뉴칼레도니아의 육상
생태계
를 탐험하던 중, 강아지처럼 짖는다는 카구를 발견했어! 카구는 오직 뉴칼레도니아에만 있는 날지 못하는 새야. 하지만 호기심이 많아서 우리가 다가가도 도망치지 않았단다.식충 식물 네펜데스가 눈앞에!사진으로만 ... ...
명탐정 코난의 과학사건 X파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6호
쏴서 이 호수의 모습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약 1400만 년 이상 격리된 호수
생태계
를 파괴시킬 수 있어 연구가 지연돼 왔다. 그러다 지난 해 남극 연구를 승인하는 남극조약 사무국의 승인을 받아 빙하를 뚫고 내려가기 시작했다. 러시아남북극연구소는 이제 곧 보스토크 호수에서 비밀의 ... ...
사랑으로 다시 쓰는 신 애완동물 과학백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4호
잡아먹음. 국내에 천적이 없어 전국 하천
생태계
의 포식자로 자리잡았으며, 결국 2001년
생태계
교란 야생동물로 지정돼 더 이상 우리나라에 발 디딜 수 없게 된 비운의 동물.현장 취재! 동물병원 24시사람에게 버림받는 애완동물이 이렇게 많았다니, 정말 불쌍해~. 나부터라도 키우던 애완동물을 ... ...
캐나다 숲을 지키는 수호신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3호
쿠거도 숲 속에 살고 있대. 이렇게 캐나다의 울창한 온대우림에선 많은 동물들이 건강한
생태계
를 이루고 있었어.숲을 살찌우는 연어이렇게 많은 동물들이 있지만, 이 중에서도 숲을 울창하게 지키는 일등공신이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어. 그 주인공은 바로 연어! 연어가 어떻게 숲을 지키는 걸까 ... ...
두바이 인공섬, 물고기에겐 지옥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계절별 변동폭이 이전보다 커졌다.공동연구자인 하네케 판 라비에렌 유엔대 해안해양
생태계
담당관은 “올바른 개발을 이끌 과학적 데이터가 부족했던 것이 문제”라고 설명했다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