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원
박사
의도
의향
doctor
딱터
d라이브러리
"
의사
"(으)로 총 2,954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박흥보 특급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살펴 보고 부상인 것이 확실하면 우리는 대기 중인 수
의사
팀을 출동시켰다. 그러면 수
의사
팀은 다친 제비 새끼를 재빨리 치료해 주는 것이다.118마리의 제비 새끼 중 다리를 다친 것은 35 마리였다. 다친 제비 다리를 고쳐 놓은 모습은 동화책 삽화에서 보던 모습과 정말 비슷했다. 창의성 발전 센터의 ... ...
[Career] “궁금증이 내 연구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다른 단백질 분해 과정을 연구하는 것은 비주류 중의 비주류였다. 그래서 촉망받던 외과
의사
였던 그가 단백질 분해를 연구하기로 했을 때 모두가 반대했다. 그럼에도 연구에 매진했던 이유는 순전히 호기심 때문이었다.“리소좀은 많은 단백질을 동시에 처리할 때 좋은 방법입니다. 그런데 ‘한 ... ...
[재미] 돌고래는 휘파람으로 말한다?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외계인이 보내는 언어는 아닌지 분석하는 것이지요. 과연 미래에는 사람이 돌고래와도
의사
소통할 수 있고, 외계의 소리가 무엇인지도 들을 수 있는 날이 올까요 ... ...
[수학체험활동] 수학이 사람을 만든다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이들이 발표하는 수학 문제에는 새롭게 만든 스토리가 숨어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의사
소통이 더 활발히 일어납니다.수학과 봉사활동을 하나로수학으로 봉사활동을 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학생들이 수학동아리를 중심으로 전국 단위 수학체험전에 참가하며 재능 기부 도우미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 ...
[과학뉴스] 우리나라 기업가정신은 몇 점?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3.91점, 리더십 분야는 3.53점으로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 STEPI는 상의하달 방식의
의사
결정에 의해 기업의 자율성과 자기주도성이 약해진다고 분석했다. 또 이런 기업가 정신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평적이고 개방적인 조직문화를 구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연구팀은 사내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낸 ... ...
[News & Issue] 장기기증자의 눈물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기증자가 있는 걸까.관련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에 현재로선 추정만 가능하다. 미국의
의사
인 아툴 가완디는 저서 ‘나는 고백한다, 현대의학을’에서 “의학은 불완전한 과학이며, 부단히 변화하는 지식, 불확실한 정보, 오류에 빠지기 쉬운 인간들의 모험이며, 목숨을 건 줄타기”라고 밝혔다. 그의 ... ...
[지식] 통계 수업이 달라진다!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해석하는 통계는 실생활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가 됐다. 따라서 데이터를 바탕으로
의사
결정하는 통계적 사고는 필수다. 이런 통계적 사고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직접 자료를 조사하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기를 수 있다. 아직 혼자서 하기에는 버겁기 때문에 친구들과 함께 힘을 합쳐 해결하는 ... ...
[Knowledge] 티라노사우루스는 부채춤을 췄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깃털 등을 가진 종류들이 많다. 어쩌면 이들은 괴상한 장식물들을 이용해 매우 현란한
의사
소통을 했을지도 모른다. 티라노사우루스가 팔뚝에 난 깃털을 이용해 부채춤을 추는 장면을 상상해보자. 참으로 기괴하면서도 아름다운 광경이었을 것이다 ... ...
Part 2 비밀번호 무력화하는 백도어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애플은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백도어는 존재하지 않으며 새롭게 만들어 FBI에 제공할
의사
도 없다”고 공식입장을 밝혔다.올해 4월에는 캐나다 연방경찰(RCMP)이 블랙베리 스마트폰의 보안을 해제할 마스터키(백도어)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 미국의 인터넷 언론 매체인 ... ...
[Knowledge] 파충류 뇌라고 무시하는 거야?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해결해야 한다. 맞닥뜨린 모든 문제를 그 어느 누구의 도움 없이 혼자서 해결해야 하기에
의사
결정을 빠르게 하는 방향으로 진화했다는 것이 뮐러-파울라의 설명이다.스테고사우루스는 전기 달팽이의 꿈을 꾸는가2016년 4월 말에는 독일 막스플랑크 두뇌연구소의 마크 셰인-델슨 박사팀이 놀라운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