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계
북
각
hadj
haji
d라이브러리
"
하지
"(으)로 총 5,227건 검색되었습니다.
“테이블 가운데에 당당히 앉으세요” 5G 표준 만드는 통신공학자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있고 타협해야 할 부분도 많죠. 그러나 무조건 희생
하지
않고, 어떤 일이든 포기만
하지
않으면 결국은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결혼이나 육아 때문에 유학이나 학위 과정을 포기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하고 싶은 일이 있으면 끝까지 용기를 냈으면 좋겠습니다 ... ...
[과학뉴스] 호주를 삼켜버린 사상 최악의 산불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2호
수의 3분의 2에 해당하는 8000마리가 목숨을 잃었지요. 코알라는 동작이 느리고 이동을 잘
하지
않기 때문에 그 피해가 더 컸답니다. 현재 호주 산불에서 발생한 화재의 연기가 2000km 떨어진 뉴질랜드 남섬에서도 관측 가능할 정도로 커진 상태예요. 빅토리아 주정부는 “떠날수 있는 상황이라면 반드시 ... ...
[SF에 묻는다] 프로스트와 베타 vs. 트랜센던스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똑같은 내가 여러 명이 되는 걸까요? 아무리 고유의 패턴이 존재한다고 해도 정체성이 변
하지
않을 수는 없을 겁니다. 정체성이란 자신의 몸에 대한 인식까지 포함하니까요. 하드웨어를 옮긴 직후에는 이전과 똑같을지 몰라도 새 하드웨어와 상호작용하면서 사는 동안 서서히 정체성도 변할 겁니다. ... ...
꾸준히 노력하는 수학자, 서울대 서인석 교수 인터뷰
수학동아
l
2020년 02호
2019년 12월에 내주신 첫 문제는 교수님 연구와 관련이 있나요?연구하는 것도 중요
하지
만 제 연구에서 흥미로운 부분을 수학을 좋아하는 학생들에게 전하는 것 역시 제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첫 문제는 제가 박사과정을 막 시작했을 때 가지고 있었던 잘못된 생각에 대한 문제예요. 문제의 상황이 ... ...
거의 다 풀었다는 타오의 연구 결과는?
수학동아
l
2020년 02호
기간 방향성조차 찾지 못한 문제였기 때문에 타오의 이번 연구는 매우 의미가 있습니다.
하지
만 아직 완전한 해결을 위해선 갈 길이 멀어 보입니다. 문제 자체는 너무나 쉬운만큼 풀고 싶은 욕구가 더욱 강해지는 콜라츠 추측! 에르되시 팔의 말처럼 ‘우린 아직 이 문제를 풀 준비가 되지 않은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신기한 대칭의 세계
수학동아
l
2020년 02호
것이나 120°를 먼저 회전하고 그 뒤 60°를 회전하는 것 모두 같은 180° 회전입니다.
하지
만 정삼각형 군에서는 순서가 중요해집니다. 시계방향으로 120° 회전하고 세로축 반사하는 것과 세로축 반사를 먼저 하고 시계방향으로 120° 회전하는 것은 다른 움직임이 됩니다. 이처럼 정삼각형 군과 ... ...
[통합과학 교과서] 고구마 마차가 온 사연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2호
금속으로 만들어진 자동차는 물론, 교량 등 도로 시설물까지 부식시켜 도로 안전을 위협
하지
요. 또 염화칼슘이 녹아 토양이나 하천으로 흘러 들어가면 토양의 칼슘 농도가 높아지며 식물이 갈색으로 변하거나 잘 자라지 못해요. 염화칼슘 다음으로 많이 쓰이는 제설제인 염화나트륨도 토양의 염분 ... ...
암흑물질의 비밀 밝힐 액시온의 기적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 읽으면천재 | 액시온 우주를 하나의 거대한 에너지 덩어리라고 가정한다면, 우리의 오감을 통해 접할 수 있는 에너지는 얼마나 될까? 놀랍게도 과학자 ... 깨짐이 생긴다. * 세차운동 : 물체의 회전축이 회전을 하는 운동. 지구의 회전축도 매우 느리기는
하지
만 세차운동을 하고 있다 ... ...
[진로체험] 자산 관리 하는 AI 비서 만든다, 권영준 블루바이저 상무
수학동아
l
2020년 02호
실생활에 필요한 것으로 만들어내는 도구’라고 느꼈죠. 종종 수학 공부를 열심히
하지
않아 전공을 바꿔야 했던 사람도 있었습니다. 그만큼 SW를 포함해 모든 공학 분야에서 수학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예요. 수학 전공자가 AI나 SW 개발 분야에 뛰어든다면, 다른 사람보다 SW 개발에 필요한 지식을 ... ...
[한페이지 뉴스] 암수 공동생활, 왜 영장류에 많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중에 암수가 같은 영역에서 한 번이라도 번식기를 함께 지내는 종은 전체의 9% 정도다.
하지
만 영장류는 이보다 많은 약 29%가 짝을 이뤄 함께 지낸다. 최근 그 이유를 연구한 논문이 나왔다.에카드 헤이만 독일 영장류센터 선임연구원이 이끄는 국제공동연구팀은 페루 아마존 지역에 서식하는 붉은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