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구
꾸밈
가공
가언
가정
건축
건설
뉴스
"
가설
"(으)로 총 1,093건 검색되었습니다.
6만년 전, 인도네시아에 초기 인류가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8.10
6만 년 전 이곳에 인류가 왔다는 기존의 유전자 분석 결과와 같은 것으로 나오면서 앞선
가설
의 신뢰도가 높아졌다”며 “앞으로 유전적 분석과 고고학적 분석, 주변 환경의 연대까지 다양한 요건들을 함께 고려해 인류 이동에 대한 보다 명확한 연대표를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 ...
자는 동안에도 학습 가능?...새 기억은 렘 수면때 생성
동아사이언스
l
2017.08.09
사라지게 된다는 ‘시냅스 항상성
가설
’이다. 연구팀이 내놓은 결론은 결국 이 두
가설
을 한데 모은 것이다. 수면 중 단계에 따라 차이가 있을 뿐 기억의 형성과 파괴 메커니즘이 모두 발생한다는 내용이기 때문이다. PSL research University 제공 수면장애가 없어 8시간 이상 건강한 수면을 유지하는 ... ...
어떡하나, 꿀이 흐르는 콘센트
팝뉴스
l
2017.08.08
많은 네티즌들이 걱정했다. 또 어떻게 저런 일이 가능할까. 궁금할 수밖에 없다.
가설
은 벽속 혹은 벽 너머에 벌집에 있다는 것이다. 꿀이 조금씩 새어나와 벽을 타고 흐리다가 콘센트에서 출구를 찾았다는 설명이 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⑬ 독심술이 없는 사람은?
2017.08.05
것입니다(반대로 체계적 도구 사용 능력이 뇌 진화의 원동력이라는 주장, 즉 ‘기술적 뇌
가설
’도 있습니다). 개코 원숭이의 기만 행위 해석. 일부 영장류는 초보적인 수준의 기만 행위를 할 수 있는데, 이는 마음 읽기 능력을 기반으로 한다. - D. Bygott 제공 ● 마음 읽기 능력의 차이 우리는 모두 ... ...
은하 회전 속도 차이 나는 이유 밝혔다
과학동아
l
2017.08.03
그 여파로 각운동량이 낮아진 것이라고 추정했다. 하지만 이번 연구 결과로 기존
가설
이 사실이 아님이 입증됐다. 연구팀은 “병합으로 인한 환경 변화가 아니라, 타원 은하의 초기 형성 과정에서 별이 탄생하는 중심부의 메커니즘으로 인해 각운동량이 낮은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 ...
지구상 최초의 꽃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8.02
줄었다 연구팀은 분석한 초기 꽃의 결과를 바탕으로 꽃에 대한 세 가지 진화적
가설
을 내세웠다. 첫째 식물은 양성화에서 단성화로 진화했으며, 둘째 꽃받침이나 수술군의 모양이 기존 주장처럼 소용돌이형으로 뭉치는 것이 아닌 사방으로 퍼지는 방사형에서 진화가 시작됐다는 것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
2017.07.25
고장 내면 선충은 습도를 제대로 알아채지 못한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선충이 툰베리의
가설
을 입증한 첫 사례라고 주장했다. 그리고 사람의 게놈에는 이들 단백질의 유전자에 해당하는 유전자가 있기 때문에 사람에서도 비슷한 방식으로 습도를 지각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영국 러프버러대 ... ...
첫사랑의 기억이 오래가는 이유? 어느 연구자의 결론
동아사이언스
l
2017.07.20
부족하다”며 “향후 분자단위 이하에서 시시각각 변하는 뇌의 데이터를 모아 분석해야
가설
을 입증하고 기억에 대해 명확히 설명할 수 있을 것”고 덧붙였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는 이런 운동을 원한다
2017.07.18
차원에서 알츠하이머병을 비롯한 신경퇴행성질환 환자가 급격히 늘고 있는 현상은 이런
가설
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인류는 대략 200만 년 전 호모 에렉투스가 등장한 이래 오랫동안 수렵채취 생활을 유지해왔다. 따라서 몇몇 과학자들은 수렵채취 활동과 비슷한 운동을 꾸준히 해야 몸과 뇌가 ... ...
물은 정말 무(無)맛일까?
과학동아
l
2017.07.13
뇌 신경의 반응이 없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신맛 수용체가 물맛을 인식한다는
가설
을 추가적으로 증명하기 위해 광유전학 기술을 이용했다. 쥐 앞에 빈 물통을 놓고, 물통을 건드릴 때마다 신맛 수용체를 자극하는 푸른 빛을 쪼였다. 그 결과 쥐가 빈 물통으로 다가가 실제로 물을 마시지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