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스페셜
"
바로
"(으)로 총 1,777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게시판] 3차원 CT를 활용한 안면비대칭 턱교정수술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5.07
심장재기동기화치료는 좌심실로 가는 전기 신호가 느려져 엇박자로 뛰는 심장 박동을
바로
잡는 시술을 말한다. 약물 치료에도 별다른 효과가 없고 비대칭적인 심장수축을 보이는 만성 심부전 환자에 치료를 적용한다. ■대한의사협회는 지난달 30일 서울 용산구 의협본관에서 ‘공공의료 TF’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과학출판의 새로운 미래
2020.05.07
문화 자체를 변화시키고 있다. 그런 변화를 유도하는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바로
학술지가 심사과정을 과학자사회에 공개하지 않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과학자들은 심사의 과정보다는 심사의 결과에만 집착하게 된다. 결과만이 중요해지는 세상의 결말이 무엇인지는 우리도 잘 알고 있다. 과정이 ... ...
과학동아·어린이과학동아·수학동아 이달 말까지 무료로 보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0.05.06
동아사이언스는 전국 초중고생과 교사들을 위해 과학잡지 과학동아와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의 디지털 기사를 5월 말까지 무료로 공개한다. 1986년 창 ... 연장해줄 계획이다. 문의는 동아사이언스 고객상담실(02-6749-2000)로 하면 된다. 디라이브러리
바로
가기 http://dl.dongascience.com/ ... ...
태양 활동 또래 별의 5분의1 수준…지구 생명체 유지에 도움
연합뉴스
l
2020.05.04
기준으로도 상당히 약한 활동을 보여왔으며 앞으로 11년간의 예측에서도 이런 추세는
바로
바뀌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연구팀은 또 태양의 자기 다이너모가 절정을 지나 자기활동이 줄어드는 단계에 진입함으로써 또래의 다른 별들보다 약한 자기 활동을 보이는 결과가 나왔을 수도 있다고 ... ...
13일 고3부터 순차적으로 등교...정부 "관련 지침 발표와 함께 모의훈련 준비 중"
동아사이언스
l
2020.05.04
하지 말 것을 강조했다. 교육부는 “조금이라도 의심증상이 있는 학생과 교직원은
바로
의료기관이나 선별진료소 등을 통한 진료 후 코로나19 진단검사에 들어가고, 결과는 신속하게 제공받아서 학교가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학교에서 코로나19 의심증상 학생이 발생하면 학생은 우선 교내 ... ...
독성 뿜는 스틱형소독제 코로나19 안전적합 목록에 넣었다 '급취소'…환경부 "정밀 조사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5.03
공간용으로 이용되는지가 명확히 신고된 건지를 추가적인 조사해 문제가 있는 제품은
바로
차단하겠다”고 말했다. 환경부가 선정한 코로나19 자가소독용 제품 목록의 일부다. 퓨어오투 스틱 외에도 살균기기 제품용 카트리지인 '에어백신 카트리지' 등이 포함됐다. 환경부 제공 ... ...
해외유입 상황·연휴 영향 주시하고 방역사각 40만명 보살펴야…생활방역 전환의 전제들
동아사이언스
l
2020.05.01
후 다시 사회적 거리두기로 돌아갈 수 있냐는 물음에 “코로나19는 감염확산 상황이
바로
나타나지 않고 시차를 두고 나타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며 코로나19가 감염이 줄거나 혹은 늘 수도 있는 만큼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로 돌아갈 수도 있다고 밝혔다. 김 총괄조정관은 “최근 신규 환자 ... ...
[프리미엄 리포트] "원숭이에게 코로나19 DNA 백신 시험 중"
과학동아
l
2020.05.01
항원으로 작용할 수 있는 능력이 감소한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B형 간염백신이
바로
단백질 백신이다. DNA 백신, RNA 백신 같은 핵산 백신은 가장 최근에 개발된 방식으로, 항원 단백질을 발현할수 있는 DNA를 화학적으로 합성할 수 있어 개발 기간이 짧고 생산 비용이 적게 드는 편이다. 그러나 항원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하비의 혈액순환론
2020.04.30
갈릴레오가 망원경이라는 광학기구로 하늘을 관측한 첫 세대의 과학자였듯이 하비
바로
다음 세대의 과학자들은 현미경이라는 광학기구로 생명체를 탐구하기 시작했다. 마침 1628년 그해에 ‘현미경 해부학’의 창시자가 이탈리아에서 태어났다. 그의 이름은 마르첼로 말피기였다. ... ...
독성 방출하는 '스틱형소독제'는 어쩌다 코로나19 박멸 대안으로 둔갑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4.30
이 교수는 살균제가 기체 형태로 퍼지며 흡입하면 신체 중 상대적으로 약한 폐에
바로
닿는 만큼 극도로 위험하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폐는 우리 면역 시스템이 가장 약한 부위로 거기에 살균력이 있는 화학물질을 자극하는 것은 자살행위”라며 “가습기살균제도 그렇게 해서 사고가 난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