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선
개편
변경
쇄신
수정
재건
부흥
d라이브러리
"
개조
"(으)로 총 30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가장 완벽한 이론’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110
구조를 연구하는 실험실용 장치였지요. 그런데 로터버 교수는 이걸 의학용인 MRI로
개조
해서 노벨상을 받았어요. 순수과학용 실험이 아니었다면 태어날 수 없었을 겁니다.”베임 교수는 “양자역학의 미래는 나도 예측하기 힘들다”며 “더 많은 전파 정보를 확보할 수 있는 천체물리학, 핵물리학 등 ... ...
“꼼꼼한 기출분석, EBS 교재 복습”
과학동아
l
201110
파악하고 대비하는 것이 좋다. 연계 출제는 그래프나 그림의 단순한 변형과 실험 장치의
개조
등을 통해 연계율을 높일 수 있다. 실험 결과에 대한 새로운 해석 지문을 보기로 변형하는 문제 등이 출제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측과 연습이 필요하다.교과서 개념을 정리하라수능과 함께 준비하는 ... ...
심해잠수정 얼마나 깊이 내려가야 하나
과학동아
l
201109
1957년 미국 해군연구소는 피카르 교수로부터 트리에스테 호를 사들여 여러 곳을
개조
해 트리에스테 2호기를 만들었다. 결국 미 해군은 1960년 세계최초로 바닷속 1만 916m 깊이까지 들어가는 데 성공했다. 이 기록은 지금까지도 깨지지 않은 채 남아있다.최신형 잠수정 왜 1만m 못 들어갈까만약 ... ...
목소리 크면 주던 점수, 이젠 정밀 채점
과학동아
l
201109
업계에서는 1991년 4월 부산 동아대 앞 로얄전자오락실을 최초로 본다. 가라오케 기계를
개조
해 번호를 눌러 노래를 선택하고, 자막을 보며 노래를 부르는 한국식 노래방을 선보였다. 이전에도 레이저디스크로 반주를 틀고 홀에서 노래를 부르는 일본식 ‘가라오케’가 있었지만 번호를 누르면 ... ...
[hot science] 내년 여름휴가는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1107
지금은 비록 짐을 나르는 화물캡슐로 실험하고 있지만 앞으로 유인 우주비행선으로
개조
해 2015년부터는 우주여행객 7명을 싣고 우주정거장을 방문하게 된다. 또 드래곤을 타고 9박 10일간 달까지 다녀올 수 있는 여행상품 개발도 논의 중이다. 드래곤 외에도 궤도용 민간 우주비행선으로 ... ...
Part 1. 우주에 질량을 선물한 신의 입자 - 힉스
과학동아
l
201106
당시 보유하고 있던 양성자 가속기인 에스피에스(SPS)를 양성자-반양성자 충돌장치로
개조
하기도 했다. 이런 노력 끝에 결국 1983년 W와 Z보손을 발견하는 데 성공했다.힉스 입자를 본격적으로 찾기 시작한 것은 1989년 LEP 가속기를 가동하고부터다. 둘레가 26.7km에 이르는 사상 최대 크기의 전자-양전자 ... ...
갑각류가 좋을까, 포유류가 좋을까
과학동아
l
201105
계속할수록 분명히 차는 더 빨라지고, 운전하기도 편해질 것입니다. 하지만 아무리
개조
를 거듭해도 차의 기본적인 성격은 바꿀 수 없습니다. 바퀴의 간격, 차체의 무게중심 같은 것은 골격(프레임) 자체를 바꾸지 않는 한 변하지 않으니까요. 결국 기본 구조가 뛰어나지 못하면 아무리 좋은 엔진이나 ... ...
[Global Math] 만화 속에서 수학을 찾다
수학동아
l
201105
그린이 14세인 1807년에 풍차방앗간을 지었다. 노팅엄시는 1980년대 그린의 풍차방앗간을
개조
해 박물관으로 만들었다. 박물관은 빛이 프리즘을 지나며 7가지 색으로 나눠지는 현상이나 다양한 전자기 현상을 수학으로 설명했던 그린의 업적을 바탕으로 구성했다. 박물관에는 그린이 처음으로 ... ...
가장 무섭고 편안한 집짓기
과학동아
l
201105
잎 끝과 끝을 말아 잎 전체를 하나의 집으로 만든다. 엉성하지만 몸의 크기에 맞춰 집도
개조
하고 넉넉하게 이용한다. 겨울에는 은신처였던 집을 가지에 실로 꽁꽁 묶어 눈바람에도 떨어지지 않게 한다.버들재주나방 애벌레도 먹이식물인 버드나무의 잎을 여러 장 겹쳐 집을 만든다. 그 안에서 먹고 ... ...
Part 3. 지구 살리는 구원투수 될까
과학동아
l
201102
아닌, ‘지구공학’은 일반인은 물론 관련 연구자들에게도 낯설다. 지구를 공학적으로
개조
할 수 있는 대상으로 보는 것일까.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지구공학이 등장한 이유는 급속도로 더워지고 있는 지구를 단순히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노력만으로는 따라잡을 수 없다는 판단 때문이다.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