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공
인조
모조
인공적임
d라이브러리
"
인위
"(으)로 총 536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몸은 탈수 중 물 마시기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1
중화시켜 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톡 쏘는 매력의 탄산수탄산수는 천연탄산수와
인위
적으로 이산화탄소를 주입한 탄산수가 있다. 사람들은 톡 쏘는 탄산수를 마시면 청량감이 있고 소화가 잘된다고 이야기한다. 그러나 탄산이 소화를 돕는다는 것은 과학적으로 밝혀진 것이 아니라고 전문가들은 ... ...
[knowledge] 야생담배의 매력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1410
향하게 한다.어떻게 야생담배는 시간에 맞춰 이런 준비를 하는 것일까? 이런 시간대를
인위
적으로 바꾸면 수정에 어떤 문제가 생길까? 필자는 지난 3년간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사막에서 실험을 진행했다. 하지만 올해도 우리밭으로 나방이 많이 날아오지 않아서 내년을 기약해야 했다. 한 해 농사를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
과학동아
l
201410
감정에도 민감하다. 심장 박동수나 혈 압의 변화에 따라 예민하게 반응하는데, 이 반응은
인위
적으로 조절할 수도 없고 감출 수도 없다. 짝사랑하는 상대를 보고 뛰는 가슴은 감출 수 있지만, 그 때문에 동공이 확대되는 것은 마음대로 조절할 수 없다. 700만 년 전 인류의 커다랗고 강한 얼굴인간이 ... ...
[체험]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운동연구실 생명체의 움직임을 재현한다!
수학동아
l
201410
뒤틀려 정상적인 보행이 불가능하다. 이런 경우 아킬레스건의 길이를 연장해 발목을
인위
적으로 굽힐 수 있도록 외과 수술이 필요하다. 하지만 위험부담이 커서 환자가 수술을 망설이고 있다.모션캡처, 직접 체험하기!독자기자들은 운동연구실 내부에 설치돼 있는 모션캡처 오픈 스튜디오에서 직접 ... ...
십자매는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407
십자매(위)와 야생 원종(아래). 십자매는 동남아시아에 살던 야생 원종을 약 250년에 걸쳐
인위
적으로 교배시키며 얻은 종이다. 흰색과 갈색이 섞여 몸빛이 다양하고, 야생종보다 복잡한 노래를 부른다.] 태어날 때부터 부를 수 있을까새의 노래 또는 사람의 언어는 학습의 결과일까, 혹은 타고난 ...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
과학동아
l
201406
않는 전투기 소재를 연구하던 펜드리 교수는, 물질의 내부 구조를 미세한 수준에서
인위
적으로 바꿀 수 있다면 빛에 대한 성질도 조절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혁신적인 아이디어였지만 내용이 너무 어려워 아무도 이해하지 못했고, 이에 펜드리 교수는 영화 ‘해리 포터’에 비유했다. ... ...
왜 세 살 기억 여든까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1406
끝나자 실험한 쥐의 절반에게 특수 처리를 해 해마의 뉴런 재생을 2~3배 증가시켰다.
인위
적으로 새끼 쥐의 뇌로 돌려놓은 셈이다. 그러자 새끼 쥐의 뇌로 조작된 쥐들은 목적지까지 헤엄치는 길을 잊고, 다시 처음부터 헤매는 경향을 보였다. 새로 만들어진 뉴런이 기존의 기억을 파괴했기 때문이다 ... ...
건강한 색깔 입힌 기능성 과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321
프랑스 과학자들이 석세포가 적어 씹기 좋은 배를 개발했답니다.*교배 : 동식물의 암수를
인위
적으로 수정 또는 수분시켜 자손을 얻는 일.자두도 먹고 싶고, 살구도 먹고 싶어. 어떤 걸 먼저 먹어 볼까?그럼 자두와 살구를 합쳐놓은 과일을 먹어봐! 이 과일은 자두와 살구보다 항산화물질이 더 많이 ... ...
우리 땅에 ‘바이오디젤’을 뿌리 내리다 (이진석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바이오에너지센터장)
과학동아
l
201311
식물의 구조는 치밀하게 굳어진 섬유(셀룰로오스)로 돼 있다. 이 셀룰로오스 구조를
인위
적으로 풀어내면 ‘당질’로 바뀐다. 미생물이 분해하면 즉시 알코올로 만들 수 있는 구조다. 하지만 폐 목재 등에서 상용화가 가능한 만큼의 셀룰로오스 분해를 성공한 사례는 없다. 기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 ...
조선초기 호랑이는 물가에 살았다
과학동아
l
201308
형성된 생태축을 따라 이동해왔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휴전선으로 생태축이
인위
적으로 단절되자 호랑이와 표범은 더 이상 남한 지역에 살아갈 수 없게 됐다.호랑이의 귀환을 기다리며남한에 살던 호랑이 가운데 가장 마지막으로 사진을 남긴 것은 1921년 경주 대덕산에서 잡힌 호랑이다.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