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개월"(으)로 총 1,84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철새의 졸음비행…괜찮을까?과학동아 l201609
- 큰군함조(아래 사진)는 바닷새임에도 수영이나 잠수를 못한다. 깃털에서 분비하는 기름이 적어서 바다 위에 떠 있는 경우도 거의 없다. 대신 최고의 활공 능력을 갖추고 있다. 최고 시속 400km로 최장 2개월까지 쉬지 않고 날 수 있다. 여기서 의문 하나, 그럼 잠은 언제 잘까.독일 막스플랑크 조류연구 ... ...
- [News & Issue] “GMO 안전성 논쟁 종지부 찍자”과학동아 l201609
- 노벨상 수상자 111명과 과학자와 일반 시민 5769명이(8월 17일 기준) 환경 운동단체에게 유전자변형작물(GMO)을 반대하는 활동을 중단하라고 주장하고 나섰다. 과학자와 환경단체 사이의 갈등이야 간혹 있어왔던 일이지만, 이렇게 노벨상 수상자들이 단체로 환경단체의 활동을 비판하고 나선 건 이례적 ... ...
- [수학뉴스] 프랙탈을 알면 미래가 보인다!수학동아 l201608
- 국제수학올림피아드는 수학을 사랑하는 사람들에겐 하나의 축제입니다. 이번 대회에서도 109개 나라에서 온 청소년들이 그동안 갈고 닦은 수학 실력을 뽐냈지요.과학기술분야를 지원하는 미국의 정부기관인 국립과학재단은 이 축제를 맞아 재미난 수학 소재인 ‘프랙탈’을 소개했습니다. 프랙탈 ... ...
- [지식] 수학과 물리, 두 마리 토끼 잡기에 나서다!수학동아 l201608
- 1997 국제수학올림피아드 은메달 | 2002 서울대 물리학과, 수학과 최우등 졸업 | 2010 하버드대 수학과 박사 | 2010~ KAIST 수리과학과 교수연구 분야 : 수리물리학, 랜덤행렬이론 스트레스 해소법 : 컴퓨터 게임 취미 : 독서, 스포츠 중계 시청누가 누구와 카카오톡 친구인지 나타내는 연결망만 보고 엑소 팬 ... ...
- [News & Issue] 내 DNA에… 낯선 유전자가 들어왔다과학동아 l201608
-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 새로운 생명체를 만드는 ‘합성생물학’ 등 최신 유전공학 기술들이 갑자기 나타난 것은 아니다. 자연에서는 이미 수억 년 전부터 완전체가 되기 위한 유전자 변형이 일어나고 있었다. ‘유전자 수평 전달(HGT)’이다.미국 워싱턴대 의대 에리카 피어슨 교수팀은 페루 리 ... ...
- [Tech & Fun] 우리 집 실험실 만들기 Lab Me Home과학동아 l201608
- 인테리어 프로그램이 유행이다. 낚시를 좋아하는 남편을 위해 베란다에 낚시터를 만들어주기도 하고, 쥐꼬리만 한 공간을 멋지게 활용하기도 한다. 그런데 왜, 과학을 좋아하는 이를 위해 우리 집에 실험실을 만들어주지는 않을까. 호기롭게 기자가 일해본 적 있는 생명과학 실험실을 만들려 무작 ... ...
- [Knowledge] ‘불청객’ 동물이 남긴 단서들과학동아 l201607
- 시체농장에서 시체 사진을 찍다 심장이 멎을 뻔한 적이 몇 번 있다. 새나 쥐 같은 동물들이 시체 옆에 죽어있는 걸 보거나 똬리를 틀고 있는 뱀과 눈이 마주치면 혼자 비명을 지르면서 가슴을 쓸어내리곤 했다. 밤에만 활동하는 동물도 있었는데, 이들이 지나가고 나면 시체들이 특이한 모양으로 훼 ... ...
- [Tech & Fun] 스위스 폴쉐르 연구소과학동아 l201607
- ‘어딜 가도 그림 같다.’ 스위스에 다녀온 분들이 입을 모아 하는 말입니다. 알프스 산맥을 끼고 있는 스위스는 자연과 풍경이 아름답기로 유명하죠. 연구소도 예외는 아닌가 봅니다. 가속기 연구 분야의 세계 최고 기관으로 꼽히는 스위스 폴쉐르 연구소(Paul Scherrer Institute, PSI)는 한가운데에 에메 ... ...
- [Knowledge] 화성 탐사? 여성 우주비행사 연구부터과학동아 l201607
- 민간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화성탐사에 뛰어들면서 화성여행 시대가 성큼 다가왔다. 하지만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4월 19일 미국 온라인매체 ‘마더보드’는 ‘왜 우리는 여성 우주비행사를 필사적으로 연구해야 하는가’라는 기사를 썼다. 화성에 가기 전 남성과 여성의 건강 차이를 명확 ... ...
- [Interview] “우주엔 다섯 번째 힘이 존재할지도 모르죠”과학동아 l201607
- 암흑물질과 공룡 멸종. 전혀 관련이 없어 보이는 두 소재를 연결시킨 그의 신간은 SF 소설을 연상시킨다. 앞서 열린 대중강연에서도 일부 기자와 청중들은 오해 섞인 질문을 했다. ‘과학동아’와의 인터뷰에서 리사 랜들 미국 하버드대 교수는 “단순히 공룡과 암흑물질을 연결하려 했던 것이 아니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