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설
가공
꾸밈
조작
가상
공상
상상
d라이브러리
"
허구
"(으)로 총 104건 검색되었습니다.
목숨 걸고 펼치는 가상전투게임 '아바론'
과학동아
l
200103
무기를 샀는데 누가 훔쳐가서 울고 있었어요. 그걸 본 그 아이 아버지는 현실과
허구
를 분간하지 못한다고 한탄했다고 해요. 아버지 스스로도 그 얘와 똑같은 생활을 하고 있는데 느끼지 못하고 있죠. 어른들이 인터넷 뱅킹으로 온라인 이체를 하는 것도 똑같은 행위인데, 아버지는 인터페이스의 ... ...
두뇌의 환각현상? 실재하는 비행체?
과학동아
l
200011
사회자 그렇다면 12명으로 구성된 미국 정부의 외계인 조사기구 ‘MJ12’라는 것도 결국
허구
인 셈이군요.존 ‘MJ12’라는 극비문서에는 당시에 UFO와 외계인을 회수해 연구조사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이 문서의 출처가 의심스럽긴 하죠. 하지만 거기에는 UFO 연구가들이 미국 정보기관의 UFO 관련 ... ...
전세계 정보감시망 에셜론
과학동아
l
200004
판단한 것이다.정말 우리나라에서 이런 일이 있었을까? 물론 이 이야기는
허구
다. 하지만 이러한 일이 어쩌면 조만간 현실로 나타날지도 모르는 상황에 처해 있다. 최근 신문과 텔레비전에서 거론되고 있는 에셜론 시스템이 바로 이런 예견을 가능케 한다.실제로 에셜론(echelon) 시스템에 의해 위와 ... ...
콜레라균을 마시고 무사했던 과학자
과학동아
l
199909
이끌던 막스 폰 페텐코퍼가 있었다. 페텐코퍼는 세균감염설을 믿지 못하고 감염설의
허구
를 증명하고자 노력했다.그는 1892년 함부르크에서 콜레라가 크게 유행할 때 공개 행사를 열고 세균감염설에 대해 비판하다가 비커에 가득 담긴 콜레라균을 마시는 ‘임상실험’을 강행했다. 모인 사람들은 ... ...
2. 현대인은 왜 SF에 매달리는가
과학동아
l
199908
다른 한편으로 호의적인 성격을 갖는 형상물도 많다. 가령 우리나라의 민담에 등장하는
허구
적 형상물들은 인간에 대해 비적대적이며, 공포보다는 외경(畏敬)의 대상인 경우가 많다. 적절한 구획선을 넘지 않으면 (산신령을 노하게 하지 않고, 눈물을 흘리는 거북을 놓아주면) 오히려 인간을 ... ...
Y2K 비상계엄 시나리오 5
과학동아
l
199903
발사되는 일이 있더라도 영향평가만으로 미리 파악해 막을 수 있다.Y2K 시나리오의
허구
Y2K는 태생적으로 사람들을 불안하게 만든다. 이를 100% 완벽하게 해결하지 않는 한 언제 어디서 어떤 사고가 일어날지 모르기 때문이다. 그런데 100%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다고 말하는 사람도 없다. 결국 Y2K에는 ... ...
1999년 인류 종말은 없다
과학동아
l
199901
신드롬의 영향으로 외계인 침략설을 주장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것도 공상과학적인
허구
일 뿐 현실과 연결해 생각하기에는 거리감이 있다. 미확인비행물체로서 UFO는 물론 있다. 우리가 확인할 수 없는 비행체가 왜 없겠는가. 다만 한가지 우려되는 것은 ‘외계 생명체는 곧 UFO다’와 같은 ... ...
인류의 새 터전 우주식민지
과학동아
l
199812
은하계 문명의 축을 이룬다는 내용이다. 이 작품에서 구사된 과학 기술적 이론들은 비록
허구
적인 내용이지만 그 자체로는 매우 정교한 논리 전개를 담고 있어서, 과학적 논리의 치밀함에 비중을 두는 '하드 SF'에서는 고전으로 꼽히는 걸작이다.한편 로버트 하인라인의 장편 '우주의 고아들'(1963)은 ... ...
시험 전날에 먹는 찹쌀떡
과학동아
l
199811
명당의 논리도 여기에서 비롯된다.하지만 우리의 선조들은 일찍부터 이러한 신비주의
허구
성을 간파했는데, 그 중에서도 조선 후기 실학자 담헌 홍대용의 주장은 경청할 만하다. “중형을 받은 죄수가 옥중에서 겪는 고통이 견딜 수 없다 해도 그 아들의 몸에 악한 병이 생겼다는 말을 듣지 ... ...
PartⅢ. ③컴퓨터게임 속 주인공과의 대화
과학동아
l
199809
극장 입구에서 요금을 지불하고 들어온 것을 똑똑히 기억하고 있는 우리는 그 영화가
허구
임을 너무도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영화를 보며 두려움을 떨고 행복을 느끼고 슬픔에 흐느낀다.시각적으로 그리고 청각적으로 영화는 사람의 감정을 독점한 체 마치 자신이 영화 속에 살아 지켜보고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