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계수"(으)로 총 416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본 단위 중 가장 ‘인간적인’ 광도의 단위, 칸델라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표준 만들 것”_이광훈(한국표준과학연구원 광학표준센터 광도 분야 연구팀) “광자계수검출기를 이용하면 매우 미세한 빛을 광자 단위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언젠가는 칸델라를 정의하는 데 필요한 광출력을 와트 단위 대신 광자 수로 더 정확하게 측정하는 시대가 올 겁니다.”이동훈 ... ...
- [Issue] ‘인스타 스타’ 아보카도, 환경파괴 주범?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발생량은 ‘수입물량’과 ‘수송거리’, 그리고 ‘수송 수단별 이산화탄소(CO2) 배출계수’를 곱해 구했다. 수입국이 여러 곳이면 수입물량의 90% 이상을 제공하는 상위 3개 국가로 계산했다. 결과는 18개 품목 중 아보카도가 7위, 꽤 높은 등수였다. 아보카도 100g을 운송하는 데에는 이산화탄소 10.37g이 ... ...
- [Issue] 가계동향조사 ‘통계 오류’ 논란 쟁점은?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대상으로 조사했으나, 2003년부터는 전국가계조사로 확대됐다. 특히 2017년부터는 가계수지(가구의 총수입과 총지출) 통계에서 가계지출 통계로 특화됐고, 2018년에는 소득 부문이 신설되는 한편 표본규모도 월간 9180가구로 확대됐다. “표본 달라져 단순 비교 안 된다”가계동향조사 ‘통계 오류’ ... ...
- 100억 년 동안 1초도 안 틀리는 광시계로 더 정확해진 초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변하지 않는 진동수를 가진 원자, 주파수 발생기, 주파수를 측정하는 주파수 계수기로 구성된다. 원자에서 방출되는 전자기파의 고유 진동수를 기준으로 삼아 주파수 발생기의 주파수를 일치시키고, 이렇게 얻은 일정한 주기의 신호를 시계로 동작하도록 만든다. 현재 시간 표준으로 사용되는 ... ...
- [별난이름정리] 다윗의 별 정리수학동아 l2018년 08호
- ❷처럼 이항 계수만 따로 떼어 보면 파스칼의 삼각형이 돼요. 참고로 ❸처럼 이항계수는 조합 기호 C를 이용해서 일반화해 나타낼 수도 있어요. 조합 nCr 은 n개 중 r개를 선택한다는 뜻입니다. 파스칼의 삼각형에 등장한 다윗의 별미국의 수학자 헨리 굴드는 1972년 파스칼의 삼각형에서 ‘다윗의 ... ...
- Part 1. 중력부터 마찰력까지, 현실 같은 물리 엔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손가락이 쇠구슬을 미는 방향으로 작용한 힘(작용), 쇠구슬의 질량과 중력, 표면의 마찰계수(반작용)에 따라 쇠구슬이 굴러가는 방향과 속도, 이동 거리가 달라진다. 마찬가지로 개발자가 물리 엔진에 쇠구슬을 미는 방향과 힘의 크기를 입력하면, 엔진이 구슬의 질량과 중력, 표면의 마찰력 등을 ... ...
- [Issue] 예년 보다 더운 여름, 모기 잘 물리는 동네는?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비율은 양의 회귀계수로, 군사분계선으로부터의 거리와 표준공시지가는 음의 회귀계수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키우는 가축과 아파트가 많을수록, 군사분계선으로부터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말라리아 발생이 많다는 의미다. 김 교수는 “군사분계선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말라리아 발생이 ... ...
- [Origin] 미래를 비추는 빛, LED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여전히 결함이 많이 생기고 이로 인해 발광 효율이 떨어집니다.또 두 물질의 열팽창 계수가 달라 질화갈륨 층에 큰 응력이 가해지면서 기판이 휘는 문제도 있습니다. 기판이 휘어지는 문제는 대면적 기판에서 LED 소자를 제작할 때 공정에 문제를 일으켜 수율을 크게 떨어뜨립니다. 질화갈륨과 공기 ... ...
- [DJ CHO의 롤링수톤] 흥 부자들이 모이는 통계적 진실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이용하는 신뢰도 측정을 합니다. 측정할 때 생기는 오차를 바로잡기 위해 신뢰도 계수를 이용하는데, 이것은 관측값의 분산에 대한 참값의 분산 비율로 구합니다. 분산은 그 변수가 기댓값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가늠하는 수로 자료가 얼마나 넓게 퍼져 있는지를 나타내지요. 이런 ... ...
- [Career] 물로 만드는 친환경 반도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대표적이다. 유기 반도체는 현재 상용화된 실리콘 기반 무기 반도체보다 흡광계수(빛을 흡수하는 정도)가 10배가량 높다. 이는 부피가 동일할 때 태양광 흡수량이 10배 많다는 뜻이다. 가령 실리콘 태양광 전지의 두께가 3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라면, 유기 반도체는 10분의 1 수준인 300nm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