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도서관"(으)로 총 585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디터노트] 특별호의 비밀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예측해 미리 수학 전공 서적 집필을 의뢰했다고 합니다. 수상자가 되면 전 세계 대학 도서관에 수상자가 쓴 책이 들어가게 되니까요. 대회 기간 열심히 홍보도 할 수 있고요. 이 이야기를 듣고 저도 필즈상 수상자를 예측해 보기로 했습니다. 2014년 수학자 90여 명의 도움을 받아 처음 필즈상 수상자를 ... ...
- [방탈출 in 스페이스] 포털의 비밀을 찾아 은하 도서관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은하 도서관이구나!”내비게이션을 따라 우주선이 자동항해를 하는 동안 잠들었던 수연이 눈을 비비며 소리쳤다.“맞아. 여긴 온 우주의 정보가 모이는 곳이니, 아마 포털의 비밀에 관한 실마리도 찾을 수 있을 거야.”동글이가 웃으며 이야기했다.“그런데 입구는 어디에 있을까?”수연이 ...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빛이 예술과 과학의 다리가 될 때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있는 ‘윌슨의 안개상자’를 직접 만들어보기 위해 서울 중구 을지로 공작소를 누볐다. 도서관에서 책과 논문을 뒤져가며 구름이 생성되는 원리도 공부했다. 서 교수는 “윌슨의 안개상자를 손을 직접 만들어 방사선 궤적을 관찰하던 순간의 기쁨을 잊을 수가 없다”며 “그때부터 실험 물리를 ... ...
- [특집] 찝찝한 계산을 말끔하게! 증명 검증한 SW 린!수학동아 l2022년 02호
- 없어. 그래서 자료가 충분히 쌓이지 않은 과거에는 검증 도우미의 역할보단 디지털 수학 도서관의 역할을 많이 했어. 내가 작동하기 위해선 수학 지식 저장소인 ‘매스 라이브러리’가 꼭 필요해. 매스 라이브러리엔 검증을 통과한 수학 정의와 정리들이 모여 있지. 내 팬 사이트(린 커뮤니티)에 ... ...
- [헷갈린 과학] 하나는 두 가닥, 하나는 한 가닥?DNA VS RNA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순서에 따라 만들어지는 단백질의 종류가 달라져요. 즉, DNA는 몸의 정보를 담고 있는 도서관이라 할 수 있겠네요.네 개의 염기 중 아데닌과 티민, 구아닌과 시토신은 서로 결합할 수 있어요. 서로 다른 두 개의 DNA 가닥에 붙은 염기끼리 결합하면 이중나선이 만들어지죠. >DNA, 이중이 아니라 ... ...
- [수학자 가상인터뷰] 컴퓨터의 두뇌를 만든 수학자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많은 얘기를 나누셨죠. 또 영어, 라틴어, 독일어 등 외국어 수업을 받게 하셨고, 제 방을 도서관처럼 책으로 가득 채워주셨어요. 특히 저는 수학을 좋아했답니다. 8살에 미적분 문제를 풀었고, 12살에 대학원 수준의 수학을 공부했어요. 수학뿐 아니라 경제학, 물리학, 컴퓨터공학에서도 업적을 ... ...
- [수학 잘하는 동물 친구들] 그물무늬 패션의 비밀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사람들이 편리하게 사는 데에도 쓰일 수 있어요. 우리가 사는 동네에는 경찰서, 소방서, 도서관 같은 공공기관이 꼭 필요하죠. 이런 공공기관은 어디에 짓는 게 좋을까요? 어디에 살든 누구나 찾아가기 편리한 곳이라면 좋겠죠. 이럴 때 보노로이 다이어그램의 특징을 이용하면 도움이 돼요. 다각형 ... ...
- 과학자도 코로나19 이후 전면 봉쇄...2021년 평양의 과학기술은?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쑥섬 지역에 과학기술전당을 만들었다. 한국의 국립중앙과학관과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 같은 곳이다. 국가자료통신망(내부망)을 통해 기업, 대학에 있는 과학기술보급실, 행정조직(행정기관)의 미래원(도서관)이 서로 연결돼 있어 자료를 공유할 수 있다.최현규 KISTI 책임연구원은 “해외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1년 12호
- 관련 책을 보고 큰 감명을 받아 수학을 좋아하게 됐어요. 그 이후로 시간이 날 때마다 도서관에 가서 수학책을 읽어 보곤 했어요. 그러던 중 우연히 를 보게 됐고, 폴리매스 프로젝트도 알게 됐어요. 다양한 분들이 올린 창의적인 문제 풀이의 접근을 보며 뜨거운 연구의 현장을 직접 체험해 ... ...
- [특집] 2500년 만의 원조 논란, 우리가 먼저 알고 있었거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어디에 이용했는지 알아내기 위해 바빌로니아 점토판을 연구했어요. 전 세계의 박물관, 도서관, 개인 전시관 등을 돌아다니며 바빌로니아의 유물을 들여다봤지요. 그 결과, 바빌로니아 사람들이 뭔가를 정확하게 측정할 때나 땅을 작게 나눌 때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했다는 사실을 알게 됐어요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