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음"(으)로 총 335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LG유플러스 홈미디어 체험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데이터를 학습해 사람의 말을 듣고 반응하는 음성 인식 비서예요. 학습량이 많을수록 발음을 잘 구별하기 때문에 지금도 클로바는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고 훈련하며 스스로 발전하고 있어요. 2017년 12월부터 LG유플러스는 IPTV 서비스 ‘U+TV’에 클로바 인공지능 기능을 넣었어요. IPTV는 인터넷으로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8호
- 같아도 먼저 나온 소수는 ‘소쑤’라고 발음하고 뒤에 나온 소수는 ‘소-수’라고 발음해야 하는데, 그때 선생님은 분명 ‘소-수가 뭐냐?’고 물어봤다고요! 요리 재료는 약수, 요리 도구는 곱하기!기똥차게 잘 쓴 영화 줄거리도 영화를 100% 완벽하게 나타내기 힘든 법. 수학 개념도 마찬가지 입니다. ... ...
- [DJ CHO의 롤링수톤] 승리를 견인하는 떼창, 승리의 함성 2018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변수를 설정하기도 하고, 복잡한 문제는 자동으로 학습하게 만들지요. 연구팀은 기교, 발음, 성량 같은 음악 변수와 날짜, 장소의 크기와 같은 음악 외의 변수를 알고리즘에 넣어 분석했습니다. 그렇게 뽑은 최고의 곡은 퀸의 ‘위 아 더 챔피언’, 두 번째는 빌리지 피플의 ‘Y.M.C.A’입니다. ... ...
- [Culture] 체육대회 묵시록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발음하기를 원했던 것 같은데, 실제로 그 연구소 사람들은 다들 ‘녓’이라고 발음하고 있었다. 김 박사는 녓의 대외교섭실 소속이었다. 국제 소행성 방어 협회에 자료나 의견서를 보내는 것이 김 박사의 역할이었다. 금년에는 국제 소행성 방어 협회 소속 연구소들이 계산 결과 자료로 올린 ... ...
- [Culture] 너의 목소리가 잘 보여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기술을 적용해 스스로 학습하면서 음성과 뜻 사이의 연결고리를 찾는다면, 사람마다 발음과 억양이 조금씩 달라 오차가 생겨도 정확한 답을 찾아낼 확률이 높다. 지난해 4월 김상훈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음성지능연구그룹 책임연구원팀은 사람의 음성을 실시간으로 문자로 바꾸는 ‘9개 ... ...
- [인터뷰] KAIST 입학처장 신하용, 기본기 갖춘 ‘능력자’가 유리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수준의 영어 지문을 제시한 뒤 지원자가 35분간 준비해 영어로 말하는 방식”이라며 “발음이나 문법을 보는 것이 아니라 일차적으로 영어로 의사소통이 가능한지 평가한다”고 밝혔다. KAIST는 모든 분야에서 뛰어난 학생만을 선발하지 않는다. 기본기를 갖추고 한두 분야에서 뛰어난 학생을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굴(屈)’로 이루어져 있어요. 몸을 굽혀 들어가는 구멍이라는 데서 굴을 뜻하게 됐지요. 발음요소인 ‘굽힐 굴’은 ‘꼬리’를 뜻하는 ‘尾(미)’와 ‘움푹 팬 곳’의 변화한 모양인 ‘出(출)’로 이뤄져 있어요. 짐승이 움푹 팬 곳에 꼬리를 감아 넣는 모양에서 ‘굽힘’을 뜻하게 됐답니다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뜻을 나타내기도 한답니다.‘빠를 속(速)’은 의미요소인 ‘가다 착(辶)’에 발음요소인 ‘묶을 속(束)’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묶을 속’은 ‘나무 목(木)’과 ‘입 구(口)’가 합쳐진 한자로, 나무를 다발로 묶어 놓은 것을 나타내어 ‘묶다, 매다’를 뜻하게 됐답니다 ...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과학동아 l2017년 12호
- 113번 원소가 ‘니호늄(nihonium)’으로 공식 결정됐기 때문이다. 니호늄은 일본의 자국어 발음인 ‘니혼’에서 따왔다. 주기율표의 원소 이름에 국가명이 들어간 경우는 아시아에서는 니호늄이 처음이다. 그간 주기율표 전체에서도 국가명이 들어간 원소는 게르마늄(독일), 폴로늄(폴란드), 프랑슘 ... ...
- [Career] 국내 뇌과학 연구의 미래를 엿보다 고려대 ‘뉴런(NEW LEARN)’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뇌와 관련된 것이라면 무엇이든 탐구한다. 뇌 신경세포인 ‘뉴런(neuron)’과 한국어 발음이 비슷하면서도 끊임없이 배움을 추구하겠다는 의미를 담아 동아리 이름을 ‘뉴런(NEW LEARN)’으로 지었다. ‘뉴런’ 1호 발간하고 2호 준비뉴런은 2014년 작은 스터디 모임에서 출발했다. 생명과학부에서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