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전략의 신 1. 최강 타순인지 알려주는 마르코프 연쇄수학동아 l2024년 03호
- 타순을 짰는지 알아봤다. 먼저 마르코프 연쇄로 모형을 만든 뒤, 이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2010년 각 팀의 실제 경기 득점과 모형이 예측한 득점 분포를 비교했다. SK 와이번스는 평균 예상 득점이 5.218점이었는데 실제는 5.293점이었다. 오차가 1.4%로 어느 정도 신뢰할 수 있는 모형이었다. 모형이 ... ...
- 통계로 정해지는 이적료수학동아 l2024년 03호
- 호날두가 1위에 올랐다. 2위는 호날두의 라이벌로 꼽히는 리오넬 메시로, 94점이고, 3위는 펠레라는 별명으로 더 유명한 에드송 아란치스 두 나시멘투로, 85점이 나왔다. 여기서 발롱도르는 프랑스 축구 전문지 ‘프랑스 풋볼’이 만든 상으로, 현재 전 세계 스포츠 기자로 구성된 기자단이 매 시즌 ... ...
- 전술의 신 3. 삼각형 패스 대형 짜기 생성나무수학동아 l2024년 03호
- 뭘까? 바로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이용하는 것이다.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은 평면 위에 있는 점을 기준으로 평면을 효율적으로 나누는 것이다. 인접한 두 개의 점을 선택해 수직이등분선을 그리고, 각 수직이등분선의 교점을 다각형의 꼭짓점으로 삼는다. 점이 균등하게 분포돼 있으면 영역을 ... ...
- 전술의 신 5. 승리 비결은 선수들의 노력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올라가지 않을 때가 있는데, 비크만의 그래프와 마찬가지로 특별한 계기가 있으면 위에 있는 곡선(빨간색)으로 올라갈 수 있다고 밝혔다. 비크만의 그래프에서 앞선 개미가 모범을 보인 게 요인이라면, 섬터 교수의 축구 그래프에선 리더십 있는 주장과 베테랑 선수가 그 역할을 하는 셈이다. ... ...
- 브롤스타즈 반사의 법칙 따라 총 쏘기수학동아 l2024년 03호
- 브롤러가 20명이 넘게 있고 맵마다 벽의 모양, 숨을 수 있는 풀숲과 장애물의 위치 등이 다르기에 맵에 맞게 전략을 짜야 이길 수 있다. 또 모드마다 다른 전략을 써야 한다. 예를 들어 보석을 10개 이상 모은 뒤 15초 동안 잃어버리지 않고 버텨야 이기는 ‘젬 그랩’ 모드는 보석을 모으는 브롤러와 ... ...
- [기획] 콩코드가 먼저 겪은 초음속 여객의 난관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정식 명칭 ‘아에로스파시알 콩코드’는 1969년 최초로 초음속 비행에 성공한 여객기다. 최고 속도 마하 2.02까지 가속할 수 있었던 콩코드는 1976년부터 상업 운 ... 파리에서 발생한 추락 사고는 콩코드의 쇠락을 부추긴 결정타였고, 결국 안전성까지 도마 위에 올라 2003년 퇴역하고 말았다 ... ...
- [특집] 소셜 미디어가 설계한 중독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이후 실리콘밸리에서 UX 디자인 리서처로 근무했다. 주 연구 분야는 UX, HCI, 행동 변화를 위한 디자인 등이며 현재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사용자를 유인하고 현혹하는 UX 디자인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저서로 ‘디자인 트랩’이 있다. ryun@hongik.ac ... ...
- [가상인터뷰] 인간과 유전체 93% 일치 붉은털원숭이 복제 성공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이식했는데, 그중 단 한 번만 출산에 성공했다더라고요. 그게 바로 저랍니다.제 위로 2018년생 중중(Zhong Zhong)이와, 화화(Hua Hua)가 있긴 하지만, 둘의 체세포 핵은 원숭이 성체가 아니라 태아에서 가져왔고 종도 달라요. 그러니 붉은털원숭이 성체 세포를 분리해 복제에 성공한 건 제가 최초라고 볼 수 ... ...
- 초고에너지 우주선, 그 입자엔 왜 신의 이름이 붙었나과학동아 l2024년 03호
- 2021년 5월 27일, 미국 유타주 사막에 우주에서 온 입자 하나가 내리꽂혔다. 현재 인류가 입자를 가속해 만들 수 있는 최고 에너지의 약 4000만 배나 되는 에너지를 갖 ... 우주선에 노출될지는 그들의 생명과 직결됩니다. 인류가 한 단계씩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우주를 이해해야만 합니다 ...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 과학에 쓰이는 돈 어떻게 가져올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참가 등을위 해 연구비가 필요한 상황이죠. 그런데 찾아보니 마침 정부가 로봇 개발을 위해 고생물의 움직임 패턴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고, ‘고생물 움직임 연구지원사업’을 공고합니다. 김공룡 박사가 참여하기 딱 좋겠죠? 김공룡 박사는 이 연구지원사업에 과제 제안서를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