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래
앞날
관망
경관
앞길
전망
차후
d라이브러리
"
장래
"(으)로 총 498건 검색되었습니다.
1.6mm의 바삭한 과학! 감자칩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2호
아주 많은 형제자매가 있어~. 검은 흙에 덮여서 몸집을 열심히 불릴 때마다 우린 서로
장래
희망을 이야기하지. 몸집이 작고 동그랬던 감자는 인간의 휴게소에서 파는 통감자구이가 되고 싶다고 했고, 엄청난 덩치를 자랑하던 감자는 세계에서 가장 긴 프렌치프라이(감자튀김)가 될 거라고 했단다. ... ...
[생활] 나누는 수학, 함께하는 즐거움 인천여고 펜로즈
수학동아
l
2015년 01호
가르쳐 주고 있다.“처음엔 다들 재미 없어 하고 계속 장난만 쳤어요” 수학교사가
장래
희망인 김솔(2학년)학생은 처음 아동센터를 찾았을 때 분위기를 이렇게 표현했다. 이름만 들어도 싫어하는 수학, 흥미를 끌만한 무언가가 필요했다. 아까 봤던 엽서가 떠올랐다. 손수 만든 수학 엽서는 ... ...
[과학뉴스] 청소년의 ‘워너비’는 1~2살 많은 ‘언니’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청소년의
장래
희망 1순위는 연예인이다. 아름다운 외모, 화려한 의상, 인기 등 연예인을 부러워하고 그 모습을 닮고 싶어 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런데 청소년이 진짜 닮길 바라는 사람은 연예인이 아니라는 연구가 나왔다.미국 매캘러스터대 자이네 스트라우스 교수팀은 중학교 여학생들이 가장 닮고 ... ...
어린이의 꿈이 현실이 되는 세계 원더랜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아름답다.어른들은 자주 물어요, “넌 꿈이 뭐니?” 그럼 “가수가 되고 싶어요” 처럼
장래
희망을 말하는 친구들도 있고 “나비처럼 하늘을 날고 싶어요” 라고 대답하는 친구도 있죠. 어떤 어른은 말도 안 되는 꿈이라고 놀릴 수도 있지만 사실 꿈은 어떤 것이든 모두 소중하답니다. ‘꿈이 있는 ... ...
십자매는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선호하기도 한다. 노비츠키 박사 등은 어린 시절 (유조기)의 영양 상태가 그 개체의
장래
체격이나 건강을 좌우하고, 노래가 바로 그 지표가 된다는 ‘발달 영양 가설’을 세웠다. 이 가설에 따르면, 어린 시절에 충분한 영양이 주어지면 체격이 좋은 건강한 어른 새가 될 뿐 아니라 신경계도 발달해 ... ...
수학자 출신 억만장자 제임스 사이먼스
수학동아
l
2014년 04호
인터뷰 - 수학동아 독자기자가 물었다!어린 시절에는 어떤 학생이었나요? 그리고
장래
희망은 무엇이었나요?유치원 시절에는 아주 소극적인 어린이였어요. 부끄러움을 많이타서 친구들과 말 한 마디 제대로 나누지 못할 정도였죠. 그때 제 유일한 놀이는 나무에 올라가서 사람들이 무슨 일을 하는지 ... ...
초원의 시간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박사로서도 별다른 방법이 있는 건 아니었다. 유수프 박사가 속한 기관이 그런 영재들의
장래
에 관심이 많은 건 사실이었지만 그 역할은 어디까지나 교육지원 사업이나 연락망 관리 정도에 국한되어 있었다. 아이를 빼돌리는 일 같은 건 상상하기 어려웠다. 더구나 자기 기관 하나만의 대표가 ... ...
우주에 ‘우리별’을 띄우다 (박성동 쎄트렉아이 대표)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왜 여기 와 있을까?” 학창 시절 그는 그냥 공부 잘하는 평범한 학생이었다. 당시의
장래
희망도 위성 개발과 거리가 멀었다. 고등학교 1학년 때 우연히 TV를 통해 당시 미국 대통령이었던 로널드 레이건이 한국을 방문했다가 심장병 어린이 2명을 데리고 돌아가는 장면을 봤는데, 그때 ‘의대를 가서 ... ...
직업은 열정을 갖고 꿈을 실현시키는 것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읽고 꿈을 키웠다. 과학실 앞을 지나가기만 해도 괜히 즐거워졌다고 한다. 초중고 내내
장래
희망은 과학자였다. 하지만 처음부터 공부를 잘하는 학생은 아니었다. 중학교에 입학한 뒤에는 암기식 공부를 해야 하는 이유를 납득하지 못해 성적이 하위 10%에서 머물렀다.“친구들과도 잘 어울리지 ... ...
좋아하면서 동시에 성장할 수 있는 일을 직업으로 삼아라 (노준용 KAIST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친구들이 교과서라고 놀릴 정도였다. 한국인이 아니라 지구인이다노 교수는 학창 시절
장래
희망이 ‘부자가 되는 것’이었다. 그러기 위해서는 나만의 기술을 개발하고 강점을 가져야 나중에 사업을 해도 성공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공계를 선택한 것도 그 때문이었다. 그런데 대학입시에서는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