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침략
침범
유입
돌입
난입
내습
쇄도
d라이브러리
"
침입
"(으)로 총 787건 검색되었습니다.
질문으로 보는 2020 노벨과학상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생길 수 있을까 └펜로즈의 특이점 정리PART 4 화학상 │ 박테리아는 어떻게
침입
자의 DNA를 자를까 └[내가 만난 노벨상 수상자] 끊임없이 질문하고 답을 찾아가는 과학자 PART 5 도전 │ ‘궁극의 질문’ 공모전 START ... ...
[아무나 못하는 팩트체크] 끊이지 않는 환절기 비염, 이유가 뭘까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골수에 있는 면역 전구세포가 분화해 만들어지며, 외부에서 알레르겐 같은 항원이
침입
했을 때 이를 곧바로 공격하는 선천성 면역 반응을 일으킵니다. 이런 세포가 필요 이상으로 많아지면 염증 질환 초기 증상을 더 강화할 수 있는 겁니다.라츠 교수는 “고지방식 식단은 유전자에 후성학적 변화를 ... ...
[2020 노벨상] 화학상│ 박테리아는 어떻게
침입
자의 DNA를 자를까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가이드 RNA를 발현하고, 이것이 캐스(Cas)9이라는 핵산분해효소와 결합해서 외부에서
침입
한 표적 DNA를 절단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크리스퍼-캐스9 단백질 복합체(흔히 크리스퍼로 부른다)가 어떤 식으로 박테체리아를 지켜내는지 그 원리를 밝힌 것이다. 크리스퍼로 원하는 DNA를 자를 수 있을까 ... ...
[특집] 클라우드 신뢰점 문제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행위 통제를 하는 것이다.이를 이용해 개발된 VMI는 가상머신 내부 상태를 분석해 외부
침입
을 탐지한다. 가상 메모리의 내용, CPU 등의 활동을 보고 가상머신의 악성 행위를 찾는 것이다. 이것으로 가상머신이 발생시키는 가상 네트워크도 분석 가능해 네트워크 공격까지 막을 수 있다. 미래 ... ...
비대면 사회, 문제점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0호
나오고 있어요.사이버 공격의 위험도 커졌어요. 해커들은 화상회의 플랫폼 서버에
침입
해 전산망을 망가뜨리거나 개인 정보를 몰래 빼내요. 질병관리본부를 사칭하거나 코로나 관련 내용의 메시지에 악성 코드를 심은 스팸메시지도 많아졌지요. 금융보안원은 “출처가 불분명한 메일이나 파일을 ... ...
[과학뉴스] 코로나19 바이러스 침투 순간 포착!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9 바이러스는 숙주 세포의 핵에
침입
한 후 자신의 유전자를 복제해 새로운 바이러스를 만들어요. 그리고 이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 밖을 나가면서 숙주 세포를 파괴하지요. 지난 4월 8일, 브라질 오스왈도 크루즈 재단 연구팀은 200만 배까지 확대할 수 있는 전자현미경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 ...
T림프구...바이러스 자살 유도하는 똑똑한 전사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한다. 기억 T림프구는 한번 인식한 항원을 기억하며 장기간 생존하고 있다가 항원이 재
침입
할 때 재빠르게 세포독성 T림프구로 변해 항원을 물리친다. 또 조절 T림프구는 자가 면역 질환을 일으킬 수 있을 정도로 반응성이 큰 세포독성 T림프구의 활성을 적절히 낮춰 면역시스템의 균형을 유지한다 ... ...
대식세포...바이러스 전쟁의 지휘관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등 후천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역할도 담당한다. 호중구나 호산구 등 다른 식세포가
침입
자에 저항하는 최전선의 보병이라면, 대식세포는 전시 상황을 살펴 싸움이 불리한 곳에 뛰어들거나 추가 지원군을 요청하는 판단을 내릴 수 있는 지휘관이라고 할 수 있다.대식세포의 표면에는 초파리에서 ... ...
B림프구...항체 생산하는 면역의 종결자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백신의 기본 원리는 면역세포의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한 것이다. 면역세포는 외부에서
침입
한 항원을 인식하고 이에 대응할 항체를 만들어 ... 항원 정보를 기억해 장기간 생존하는 기억 B림프구로 분화한다. 동일한 항원이 2차로
침입
할 경우 기억 B림프구가 작용해 곧바로 항체를 생산한다 ... ...
1969년 바이러스의 복제 과정을 밝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박테리아에 의해 생성된 박테리오파지의 수 등을 분석해 박테리오파지가 박테리아에
침입
해 증식하고 방출되는 세포 주기를 완성했다. 루리아는 박테리오파지에 감염된 숙주 박테리아에서 일어나는 형질 전환을 연구했다. 루리아의 연구는 이후 암을 유발하는 바이러스 연구로 이어졌다.1952년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