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ilicon
실리콘
뉴스
"
규소
"(으)로 총 12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폐열의 빛으로 전기 만든다
2020.03.24
폐열 복사가 나오면 적외선 광자가 금속과 반도체 사이 공간(두께 3~4㎚인 이산화
규소
)에 모인다. 집적된 광자는 '포논공명'라는 현상을 통해 인접 p형 반도체의 전자를 들뜨게 해 금속으로 이동시키고 금속의 전자가 다시 n형 반도체로 이동해 전압을 발생시킨다. 여러 조합으로 실험한 결과 35 ... ...
폴더블폰의 핵심 ‘커버윈도우’, 새로운 소재로 완성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09
규소
(Si)와 산소(O)가 결정 구조를 이루는 단단한 물질이다. 반면 실리콘 오일은
규소
와 산소가 자유롭게 움직이는 느슨한 구조다. 산소의 양을 조절함에 따라 소재의 물성이 두 물질 사이를 오가게 된다. 예를 들어 산소를 많이 섞으면 단단해지고 반대로 적어지면 말랑해지는 것이다. 연구팀은 ... ...
화면은 '단단'하고 접히는 부분은 '유연'한 폴더블폰용 커버윈도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2.06
규소
하나와 산소 두 개가 결합한 실리케이트(SiO₂)는 단단한 세라믹 소재다. 반면
규소
하나와 산소 하나가 결합한 실리콘 오일(SiO)은 액체다. 연구팀은 산소의 비율을 조절해서 고체의 특성을 보이면서도 유연한 두 특성을 모두 가진 새로운 물질을 개발했다. 여기에 연결 구조를 조절해서 강도는 ... ...
‘질화갈륨’ 웨이퍼 기술 스타트업 80억원 규모 투자 유치
동아사이언스
l
2019.12.13
초 국내 처음으로 8인치 질화갈륨(GaN)-실리콘 에피웨이퍼(EpiWafer)와 4인치 질화갈륨-탄화
규소
(SiC) 에피웨이퍼 개발에 성공했다. 에피웨이퍼는 질화갈륨과 같은 단결정 소재를 다층 박막으로 성장시킨 것으로, 기존 반도체 공정의 토대가 되는 웨이퍼로 볼 수 있다. 질화갈륨 단결정 소재로 원하는 ... ...
ETRI, 군용 레이더·이동통신용 고출력 전력소자 국산화 길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5
수명이 짧고 발전기 등 큰 부속 장비가 필요해 비용이 많이 들었다. 실리콘이나 탄화
규소
등 다른 물질 활용시 전력 소자는 충분한 출력을 내기 어려웠다. 연구진은 고출력, 고전압, 고효율 특성이 있어 차세대 반도체 핵심재료로 각광받는 질화갈륨(GaN)으로 전력 소자 칩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 ...
소재 강국 되려면 연구 데이터베이스부터 충실히 쌓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9.04
공정에 쓰이는 인광석은 3~4%의 불소(F)를 함유하고 있다. 불소는 인산 생산과정에서 불화
규소
산의 형태로 회수된다. 이를 활용해 불화수소를 만드는 개념인데 연구는 있어도 상용화 사례는 없다. 이 기술을 3년 내로 상용화하는 것이 목표다. Q. 기존 불화수소 생산기술과 달리 왜 부산물에서 만드는 ... ...
폭염 속 전기 없어도 시원한 빌딩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9
알루미늄 호일보다도 얇은 1.8㎛(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 두께의 초박형 물질에 이산화
규소
와 산화하프늄을 불규칙적인 두께로 덧씌어 마치 거울과 같은 초박형 다층구조 물질을 개발했다. 이 물질의 내부 구조는 특정 주파수 적외선을 외부로 내뿜도록 설계했다. 연구진은 이런 방식으로 ... ...
방사능 폐수 속 헤엄치면서 세슘만 잡아먹는 미세로봇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6.19
육안으로는 가루처럼 보인다. 세슘을 흡착하는 페로시안화 구리를 입힌 이산화
규소
입자가 기본 몸체다. 입자 한쪽 면에 백금 촉매와 니켈을 코팅해 운동 능력을 갖췄다. 폐수에 미세로봇과 과산화수소를 넣으면 백금 촉매가 과산화수소와 반응해 산소방울을 만들고, 로봇은 산소방울을 추진력삼아 ... ...
황 도핑한 실리콘 음극 소재로 전기차 배터리 고속충전
동아사이언스
l
2019.06.03
고속충전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우선 금속할로젠화물 촉매로 이산화
규소
와 황산마그네슘을 환원시켜 원자 단위의 ‘실리콘/황 화합물’을 만들었다. 이 물질들이 무작위로 뒤섞이고 재결정화 과정을 거치며 황이 균일하게 도핑된 구조의 실리콘 입자가 합성된다. 이 방식으로 ... ...
하마 똥, 생태계
규소
순환 핵심
과학동아
l
2019.06.03
생물학과 박사후연구원은 “최근 수십 년 동안 아프리카 하마의 90%가 멸종했다”며 “
규소
의 운반자인 하마의 개체 수가 감소하면 다른 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doi:10.1126/sciadv.aav0395 게티이미지뱅크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