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염
섬광
스파크
점화물
불빛
불티
빛남
뉴스
"
불꽃
"(으)로 총 195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중형위성 1호와 함께 우주 향한 37개 작은 희망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2
미생물인 물곰 100마리를 우주에 보내는 생육실험과 우주 공간에서 화재 위험을 분석하는
불꽃
실험을 진행한다. 티몬과 품바는 태양의 외부 대기인 코로나를 관측하는 위성이다. 서로 40m까지 가까워지는 편대비행을 거쳐 품바가 티몬과 태양 사이 위치해 태양을 가리면 티몬이 품바 너머로 보이는 ... ...
다리 8개 달린 물곰 100마리가 우주로 가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1.03.19
진행한다. 박설현 교수는 “유인 우주선의 선실과 비슷한 환경을 만들어 놓고 카메라로
불꽃
을 붙이고 확산하는 모습을 지켜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상영 연세대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큐브위성 '티몬'과 '품바'도 이번에 함께 우주로 향한다. 이들 위성은 국내 큐브위성 최초로 두 대가 함께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텍사스 가짜 눈의 정체
2021.03.03
알갱이가 모여서 검은색의 검댕(soot)이 된다. 눈덩이에 촛불을 가까이 대는 경우에도
불꽃
의 온도가 떨어지면서 증발된 파라핀의 분해와 연소가 중단되어 검댕이 만들어진다. 결국 텍사스 가짜 눈 동영상에 등장하는 검은 그을음은 증발된 파라핀이나 부탄이 완전히 연소되지 못하고 남은 탄소 ... ...
[잠깐과학] '파리쿠틴 화산' 화산의 탄생부터 죽음까지를 보여주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2.20
누구도 옥수수밭에서 화산이 태어나리라 생각하진 못했습니다. 밤이 되자 옥수수밭에서
불꽃
이 솟았고, 화산재가 쌓이면서 하루 만에 50m의 높이의 산처럼 쌓였습니다.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4개월 후에는 화산에서 흘러내린 용암이 주변 마을을 덮치는 바람에 주민들이 고향을 떠나야 했습니다. ... ...
올 10월 발사 ‘누리호’ 300t급 1단 엔진 첫 연소시험..."30초간 정상 진행"
동아사이언스
l
2021.01.28
한국형발사체 ‘누리호’의 핵심 엔진인 1단 엔진의 인증모델(QM)이 28일 처음으로 30초간
불꽃
을 내뿜었다. 75t급 액체엔진 4기를 묶는 클러스터링 엔진으로 설계된 1단 엔진은 총 300t의 추력을 낸다. 누리호 발사 성공을 판가름할 정도로 도전적인 기술로 알려져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28일 ... ...
[영상+] 일본 소행성 탐사선 하야부사2 시료 호주 사막서 회수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12.06
도착해 캡슐을 분리했다. JAXA의 캡슐 회수팀은 6일 오전 2시 29분 캡슐에서 뿜어져 나오는
불꽃
을 포착했고, 캡슐은 이날 오전 3시경 호주 우메라 사막에 떨어졌다. 회수팀은 잠시 뒤인 오전 3시 7분 캡슐이 보낸 신호를 5개의 안테나로 분석해 낙하지점을 예측했고, 헬리콥터가 4시 47분 캡슐을 ... ...
[이덕환의 과학세상]황금 동전 실험의 화재 예방
2020.11.11
생성되면서 온도가 섭씨 500도 이상으로 치솟았고, 소듐의 노란색과 아연의 청록색
불꽃
도 확인할 수 있었다. 휴지통에서 갑자기 일어나는 화재를 예방하는 일이 어려운 것은 아니다. 아연 덩어리의 틈새에 남아있는 수산화 이온을 산성 용액으로 중화시켜주면 된다. pH 시험지를 이용해서 수용액의 ... ...
[프리미엄 리포트]
불꽃
축제 대신 방구석 빛 축제에 초대합니다
과학동아
l
2020.11.07
10월 서울세계
불꽃
축제가 취소됐습니다. 가을밤을 화려한
불꽃
아래에서 보내려 했던 막내 기자의 꿈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산산조 ... 측정하면 항체가 얼마나 많이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11월호,
불꽃
축제 대신 방구석 빛 축제에 ... ...
ITER 7개국에 도전장 낸 작은거인 '스파크' 2035년 핵융합발전
불꽃
타오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6
커먼웰스퓨전시스템즈(CFS)가 개발중인 핵융합로 모식도. CFS 제공. 미국 과학자들과 이들이 설립한 기업이 미래 청정에너지원으로 꼽히는 핵융합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핵융합로를 2025년 풀 가동한다는 야심찬 비전을 내놨다. 2025년 완공해 2035년 풀 가동을 목표로 프랑스 남부 카다라슈에서 건설 ... ...
태풍에 섰던 신고리 1·2호기, 29일 재가동
동아사이언스
l
2020.09.28
원인을 조사한 결과, 강풍이 몰고 온 염분(소금기)이 쌓이면서 순간적으로 전기가 통해
불꽃
이 튀는 섬락(閃絡· flashover) 현상이 발생했기 때문이라고 25일 결론 내린 바 있다. 신고리 1·2호기는 강풍으로 원전에서 생산된 전기를 송전탑으로 보내는 점퍼선이 철탑 구조물에 가까워지면서 섬락이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