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아교"(으)로 총 72건 검색되었습니다.
- 저지방&저열량 식단이 ‘젊은 뇌’ 만든다과학동아 l2018.04.24
- 두 그룹의 쥐에게 생후 6개월간 각각 고지방과 저지방 먹이를 준 뒤 시상하부에서 미세아교세포가 염증을 얼마나 일으키는지 비교했다. 이후 이들 그룹을 다시 둘로 나눠 18개월 동안 전체 열량을 40%로 줄여 먹이를 주거나 운동을 시켰다. 그 결과 저지방 식이요법과 열량 제한을 병행한 경우에만 ... ...
- [새해 다짐 3종 세트 ②] 내 부진한 영어능력은 유전자 때문? 방법은 있다! 동아사이언스 l2018.01.03
- 발현되는 ‘아쿠아포린4’ 유전자가 언어 능력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별 아교 세포는 신경 조직을 지지하는 세포 중 하나다. 연구팀은 아쿠아포린4 유전자의 변이로 단백질을 많이 만드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을 비교했다. 그 결과, 단백질을 많이 만드는 사람이 언어 학습과 관련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메가3 지방산, 몸에 좋은 것만은 아니다2017.12.27
- 일으키는 게 주요인일 가능성이 있지만 아직은 모른다”고 고백하고 있다. 또 뮐러아교세포에서 만들어진 19,20-DHDP가 어떻게 내피세포와 주위세포로 이동하는지, 고농도의 19,20-DHDP가 어떻게 지질뗏목의 구조를 파괴하는지에 대해서도 메커니즘까지는 밝히지 못했다. 그럼에도 sEH 효소의 활성을 ... ...
- 뇌 속 면역 담당한 미세아교세포의 두 얼굴2016.11.23
- 즉 무슨 이유에서인지 일해야 할 시냅스가 “나를 잡아먹어라”는 신호를 보내고 미세아교세포는 자신의 역할을 충실히 한 결과가 뇌회로의 파괴로 이어지는 셈이다. 따라서 시냅스가 보내는 신호물질(Clq라는 단백질이 유력한 후보다)을 항원으로 하는 항체를 만들어 신호물질을 없애면 잘못된 ... ...
- 유전자 변이 740만개 찾았다… 역대 최대 규모 연구결과 발표동아사이언스 l2016.08.21
- 과정을 다뤘다. 몸에서 면역을 담당하는 대식세포나 T세포는 중추신경계로 들어가 미세아교세포와 협업해 건강을 유지한다는 사실을 설명했다. 다만 대식세포와 T세포가 중추신경계로 어떻게 들어가고 나오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세 번째 논문은 신경세포 주변에서 ... ...
- 다운증후군 뇌기능 저하 메커니즘 최초 규명과학동아 l2016.04.08
-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다운증후군 환자의 경우 신경아교세포의 일종인 희소돌기 아교세포의 분화가 정상인에 비해 늦고, 그로 인해 ‘미엘린’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미엘린은 뇌 신경세포를 둘러싼 백색 지방질 물질로, 신경세포를 통해 전달되는 전기신호를 보호해 정보를 ... ...
- ‘미니 뇌’ ‘미니 위’ 등 초소형 인공장기로 질병 연구 새 길 열릴까2016.02.19
- iPS세포)를 만든 뒤 서로 다른 뉴런 4종과 지지세포 2종(성상세포, 희소돌기아교세포)으로 분화시켜 미니 뇌를 배양했다. iPS세포에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하자 스스로 뇌와 유사한 모양으로 자라면서 8주 만에 3차원 미니 뇌가 만들어졌다. 피부 세포만 있으면 같은 방식으로 무제한으로 복제가 ... ...
- [토요일에 만난 사람]닥나무 껍질 벗기고, 삶고, 때리고, 풀고… 이게 진짜 韓紙!동아일보 l2016.02.06
- 도전하지 못한 것은 도침 기술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털어놓았다. 품질 좋은 한지에 아교나 전분을 바르거나 화학약품으로 코팅하는 시도를 해봤지만 성공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보풀을 잡지 못하면 아무리 질긴 한지를 만들어도 쓸모가 없다. “최고급 서화용지 복원용지로 우뚝 설 것” 이렇게 ... ...
- 3D 프린터로 한옥 짓고 초임계 기술로 목재 건조2016.01.29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책임연구원은 흙이나 아교 등 전통 건축 소재를 이용해 한옥 전체를 3D 프린터로 짓는 기술을 개발 중이다(왼쪽). 2014년 숭례문 복구 과정에서 충분히 건조되지 않은 목재를 사용한 탓에 균열이 생긴 기둥(오른쪽). 이윤우 서울대 교수팀은 초임계 기술을 이용해 목재에 ... ...
- 피부세포로 척수세포 만들었다2015.10.25
- “이번 연구로 제작한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는 자가재생과 증식이 가능하고 희소돌기아교세포와 성상세포로 분화할 수 있어 앞으로 척수손상환자를 위한 세포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고 전했다. 연구 결과는 유럽분자생물학회 학술지인 ‘엠보(EMBO) 저널’ 23일 온라인 판에 실렸다. ... ...
이전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