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학
위상
뉴스
"
위상수학
"(으)로 총 136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말N수학] 엉덩이는 한 개인가, 두 개인가
수학동아
l
2021.04.10
유지하는, 구 모양과는 다른 도형이다. 그럼 이 개념을 엉덩이에 한 번 적용해보면
위상수학
으로 보면 도형의 모서리나 움푹 들어간 부분처럼 크게 꺾인 부분은 모두 둥글어질 수 있다. 따라서 엉덩이에 공기를 넣는다고 생각하면 엉덩이의 두 짝을 나누던 모서리 역시 둥글어지고, 한 개의 덩이만 ... ...
대수기하학 난제 해결한 박진형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3.03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3월 수상자로 박진형 서강대 수학과 교수를 선정했다고 3일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대수기하학 분야의 난제 중 하나인 시컨다양체 방정식 문제를 해결한 박진형 서강대 수학과 교수가 이달의 과학기술인으로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랩큐멘터리]구글·인텔도 뛰어든 양자컴퓨터 세계로 '퀀텀점프'
동아사이언스
l
2021.01.28
물질이 나노미터(nm·10억분의 1m) 크기로 줄어들었을 때 나타나는 현상을 설명하는 양자역학은 실생활에서는 결코 느끼기 힘든 연구 분야다. 인간의 직관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다양한 현상을 설명하는 최신 물리학이지만 여전히 밝혀지지 않은 분야가 많다. 하지만 초전도체나 양자컴퓨터처럼 인 ... ...
[주말N수학] 필즈상과 노벨상 수상 비법 공개, 질문이 위대한 발견을 낳는다
수학동아
l
2020.11.07
연구를 시작하지만 문제가 풀리지 않자 도형의 연결관계를 다루는 수학 분야인 ‘
위상수학
’을 일반상대성이론에 접목했습니다. 그 결과 특정 질량을 넘는 우주의 천체는 자체 중력에 의해 점차 수축하면서 특이점이라는 한 점으로 수렴하고, 주위의 모든 것을 빨아들인다는 것을 수식으로 ... ...
대한수학회 학술상에 박종일 서울대 교수·이창옥 KAIST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0.10.22
2020년 수상자를 21일 발표했다. 학술상 수상자로 선정된 박종일 교수는 기하
위상수학
전문가로 4차원 다양체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인정 받았다. 이창옥 교수는 유한요소법의 개발과 이를 이용해 문제를 풀 때 계산시간을 줄이기 위한 병렬계산 방법을 개발했다. 최근에는 의료영상 등 영상 ... ...
[주말N수학] "수학 증명 과정은 롤러코스터 타는 것"
수학동아
l
2020.10.17
특이정칙성을 모든 실수 범위에서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는 유한생성군을 발견해
위상수학
의 난제를 해결했다"며 수상 이유를 밝혔다. 한문장으로 요약된 김 교수의 연구성과는 언뜻 이해하기 쉽지 않다. 인터뷰 요청에 응한 김 교수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 공적이 한마디도 이해되지 ... ...
[대학의 과거와 미래]③새로운 시도에 두려움이 없는 미국 대학의 혁신
2020.10.13
최상위권 대학들도 온라인 강좌가 촉발할 대학의 변화를 주도하거나 최소한 뒤처지지 않기 위해 온라인공개강좌(MOOC·무크) 플랫폼에 참여하고 있다. 온라인 강좌를 수강 중인 학생의 모습이다. edX 제공 중세와 국민국가 탄생 과정에서 빛을 발하던 유럽 대학의 영광은 전 유럽이 초토화된 2차 세계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블랙홀 존재 입증한 '특이점 정리' 미래 물리학을 예견하다
2020.10.07
제목으로 그 해 8월 논문을 투고하고 10월 출판된다. 이후 그는 펜로즈와 함께 새로운
위상수학
적 방법과 특이점 정리를 발전시켜 일반상대론 연구의 황금기를 열게 된다. 블랙홀은 천체물리학자와 천문학자들에게 더는 수학적 특수해가 아닌 실체로서 받아들여지게 됐고 천체 현상에 매우 중요한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물리학상 수상자 공적
2020.10.06
교수는 이 아이디어를 이용해 ‘특이점 정리’를 증명했다. 펜로즈가 이 증명에 쓴
위상수학
적인 방법들은 현재 휘어진 우주에 관한 연구에서 매우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블랙홀은 별의 경로를 지배한다 블랙홀은 볼 수 없다. 하지만 블랙홀의 큰 중력이 주변 별들의 움직임에 어떤 영향을 ... ...
한국 달궤도선이 선택한 새 궤도 WSB·BLT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0.09.27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과학 탐사선으로 달의 중력을 측정하는 임무를 수행한 '그레일'이 사용했던 BLT 궤도의 사례다. 위키미디어/NASA 제공 2022년 8~9월 발사될 예정인 한국의 첫 달 궤도선이 달에 접근하기 위해 채택한 새 궤도는 탄도달전이(BLT)다. WSB전이 또는 저에너지전이(LET)라고도 불린다. BLT는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