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뚜껑
집웅
덮개
맞배지붕
맞배
옥개
포장
뉴스
"
지붕
"(으)로 총 263건 검색되었습니다.
[동일본대지진 10년] 후쿠시마 사고 발생부터 영구 폐로 결정까지 19일의 기록
동아사이언스
l
2021.03.11
주입해 온도를 떨어뜨리는 냉각 작업이 계속됐다. 수소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건물
지붕
에 구멍을 뚫는 작업이 이어졌다. 일본 원자력위원회가 2011년 3월 촬영한 동일본 대지진의 영향으로 폭발 사고를 일으킨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 3호기의 원자로 건물 내부 영상. 사진은 폭발 ... ...
주말 강한 바람 불고 건조…"화재 발생 주의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1.02.25
바람이 불어 강풍특보가 발효될 것으로 예상된다. 초속 25m면 중간급 태풍의 바람 세기로
지붕
이 날아가는 수준이다. 25일 11시 현재 수도권과 충청권 일부, 강원 영서와 경북 북부에는 건조특보가 발령됐다. 기상청은 태백산맥을 넘어 서쪽으로 이동하는 공기가 점차 건조해지면서 다른 ... ...
[이덕환의 과학세상]목표 상실한 해상풍력 5대 강국의 꿈
2021.02.17
것이 아닌가 싶을 정도다. 정부가 제공해주는 시멘트와 슬레이트로 농로를 만들고, 초가
지붕
을 개량하던 시절은 오래 전에 끝났다. 해상풍력이 지역경제에 대한 기여는 지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고도의 첨단 소재와 기술로 만들어야 하는 100m가 넘는 풍력 발전기의 타워와 블레이드 제작은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모빌리티 기술
과학동아
l
2021.01.16
위를 항해하는 배에서 금방이라도 선원들이 나와 분주하게 움직일 것 같다. 선실부터
지붕
위 굴뚝까지 정교하게 구현된 이 배의 크기는 단 3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머리카락 위에 올려놓으면 마치 4차선 도로 위를 달리는 승용차처럼 보일 정도다. 마이크로보트는 과산화수소 ... ...
[잠깐과학] 세계 최초의 지하철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1.02
달리 메트로폴리탄선은 증기기관차가 나무로 된 객차를 끄는 형태였다. 객차에는
지붕
도 없어, 지하철 내부는 엄청 소란스러웠다. 기관차에서 나온 증기와 연기를 맡아야 하는 건 물론이었다. 그럼에도 지하철은 대성공이었다. 첫날에만 4만 명, 이후 1년 동안 약 950만 명의 승객이 지하철을 ... ...
[한 토막 과학상식]잡음 적은 레이저 '브릴루앙 레이저'란 무엇인가
2020.12.24
유리를 증착하는 방식을 적용했다. 연구팀은 "겨울철
지붕
위 쌓인 눈 형태가
지붕
형태에 의해 정해지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 제작 기법을 활용해 브릴루앙 레이저를 반도체 칩 상에 소형 광소자 형태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 기존 칼코겐화합물 유리 기반 브릴루앙 ... ...
[인간 행동의 진화] 텃세의 진화
2020.11.29
일어난다. 전세나 월세라는 경제적 현상도 일종의 세력권 빌려주기다. 예전에는 한
지붕
밑에서 여러 가족이 같이 사는 일이 적지 않았다. 화장실이나 부엌, 마당은 집주인과 세입자가 같이 썼다. 도둑이 들면 공동으로 집을 지키고, 겨울이 되면 김장도 같이 했다. 세력권 방어와 먹이 취득 행동을 ... ...
테슬라가 공개한 야심 기술 탭리스 배터리는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0.09.23
양극판과 음극판이 있고, 이 판들의 재료로 포일이 쓰인다. 이를 ‘나선형으로 꼬아서
지붕
쌓는 듯한 형태(shingled spiral)’로 만들어 전자 이동경로를 좁혔다는 것이다. 바글리노 부사장은 “레이저를 이용해 이 같은 패턴을 만들었고, 이를 통해 기존 250mm 길이였던 전자의 이동통로를 50mm 더 짧게 ... ...
[화보+] 좀비 딱정벌레·웃는 거북…네이처가 선정한 최고 과학 사진
동아사이언스
l
2020.09.08
등이 업은 거북(학명 Batagur trivittata). 메이요 민윈/WCS 미얀마 프로그램 제공 커다란 흰색
지붕
을 등에 업고 있는 모습을 지닌 거북은 미얀마에서 개체수가 급감해 불과 20년 전 멸종된 것으로 추정됐지만 살아남은 거북개체가 재발견된 후 생태보호학자들에 의해 약 1000마리로 개체수를 늘렸다. 그 중 ... ...
에어컨 대체하는 냉방기술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8.21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냉방 튜브는 벽과
지붕
속에 냉각수를 흘려 벽을 차갑게 만드는 냉방장치다. 벽 사이에 사람이 있으면 벽에 열을 뺏겨 몸이 시원해지는 원리다. 온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열이 전자기파 형태로 전달되는 현상인 복사열을 이용한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