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타워
망루
성채
요새
탑문
첨탑
톱
뉴스
"
탑
"(으)로 총 243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터뷰] 백남준의 꿈에 전기를 수혈한 장인
과학동아
l
2021.05.01
삼성전자의 홍보 전시용으로 500여 대의 TV로 벽을 만든 경험이 있었다. 대뜸 찾아와 TV
탑
을 세울 수 있냐는 백 작가의 물음에 그는 일말의 망설임도 없이 “그렇다”고 답했다. TV 1003대를 18.5m 높이의 나선형으로 쌓은 백남준 작가의 대표작 ‘다다익선’은 이렇게 탄생했다. 30여 년이 흐른 지금 ... ...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통돌이 세탁기 혁신 기술 개발자·실내 비산먼지 줄인 연구자
동아사이언스
l
2021.04.12
25% 늘이면서도 외관 크기는 유지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2014년부터 출시된
탑
로더 세탁기에 적용돼 매출액이 연평균 9.8% 성장하고 수출 확대로도 이어졌다. 김 연구위원은 “고객들의 삶을 편리하고 여유롭게 바꿀 수 있는 신기술 개발을 통해 한국 가전산업이 세계 최고가 될 수 있도록 ... ...
[표지로 읽는 과학]인간은 왜 문제를 복잡하게 만들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4.10
것으로 나타났다. 버지니아대 제공 예를 들어 한 실험에서 연구팀은 불안전한 레고 블록
탑
위에 평판 레고 블록을 놓은 후 구조 위에 벽돌을 안전하게 놓을 수 있으면 1달러를 줬다. 블록을 더하거나 빼는 것 모두가 가능하다고 언급하고 블록을 추가할 때는 10센트의 비용이 든다고 안내했다. 블록을 ... ...
[애니멀리포트]멸종 위기 딛고 펼친 하얀 날갯짓
과학동아
l
2021.03.13
다른 암컷 황새를 거부하며 밀어낸다”며 “만황이의 경우는 2018년에 미송이를 둥지
탑
근처에 풀어주자마자 바로 짝을 이뤘다”고 말했다. 짝과 함께 둥지 위에서 시간을 보내던 만황이가 ‘따따따따따’하고 부리를 부딪히며 울었다. 황새를 돕는 사람들과 사람을 돕는 황새의 동행 이 땅에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한국 과학자 사회의 불평등에 대하여
2021.03.12
국민의 세금으로 수행되는 과학 연구의 결과물들을 신뢰할 수 없게 만들고, 상아
탑
에서 무한경쟁에 갇힌 과학자들로 인해 과학자들의 전문지식과 조언이 필요한 사회적 문제들에서 과학자들을 소외시킨다. '황우석 사태'로 상징되는 연구성과 부풀리기와 논문조작, 가짜학회와 가짜학술지 논란으로 ... ...
대전 대덕산단 폐수처리장 악취, 인공지능으로 해결한다
연합뉴스
l
2020.10.15
KISTI)이 참여한다. 이들 기업·기관은 인공지능(AI) 기반의 탈취제 살포시스템과 탈취
탑
성능 예측 기술, 에너지 최적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실시간 수질모니터링 계측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2023년 6월까지 국·시비 19억원과 민자 5억원이 투입된다. 문창용 대전시 ... ...
UV소독로봇 개발자 "기술 과시욕이 로봇 산업 성장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7
‘바텀업’ 방식을 따라야 한다”며 “로봇 업체가 개발해 그걸 시장에 팔려고 하는 ‘
탑
다운’ 방식은 힘들다”고 말했다. 덴마크 로봇회사의 UVD 로봇이 소독을 진행하고 있다. 블루오션 로보틱스 제공 바텀업 방식을 거친 로봇의 전형이 블루오션로보틱스가 개발한 UVD 로봇이다. 이 로봇은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유전자은행은 원자폭탄 만든 연구소에서 시작했다
2020.09.10
경력을 쌓았던 물리학자 오펜하이머는 정치적인 문제 따위엔 관심을 두지 않던 상아
탑
의 물리학자였다. 하지만 1930년대 나치가 유대인을 탄압하고, 미국은 대량실업으로 서민들의 삶이 피폐해지고, 자신의 동생이 공산주의 운동에 가담했다가 직장을 구하지 못하는 경험을 하면서 그는 이상적인 ... ...
ETRI, 30도 시야각 홀로그램으로 디스플레이학회 최고상 받아
동아사이언스
l
2020.09.01
아이존에서 1마이크로미터(㎛·100만 분의 1m) 픽셀 피치(크기) 패널과 360도 테이블
탑
홀로그램 시스템을 선보여 최고상을 받았다. 홀로그램은 빛의 회절과 간섭원리를 이용해 공간에 영상을 맺히게 한다. 공간광변조기(SLM) 패널에 홀로그램 데이터를 입력해 빛을 제어하면 홀로그램 영상을 만들 수 ... ...
노준석 포스텍 교수, 나노공학 학술지 선정 ‘젊은 과학자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0.08.27
연구자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3차원 나노구조를 제작하는 데 있어 기존 반도체 공정인 ‘
탑
-다운(top-down) 방식’과 바텀-업(bottom-up) 방식을 모두 사용하는 독창적인 나노공정 기법을 바탕으로 3차원 메타물질을 구현하기도 했다.
탑
-다운 방식은 큰 재료 덩어리에서 작은 구조를 정의해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