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재
존재
현재
현실
기존
생존
실존
뉴스
"
현존
"(으)로 총 288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제임스웹이 보여준 멋진 신세계
동아사이언스
l
2023.02.25
'별의 요람'이나 '은하들의 춤' 등 우주의 경이로운 모습이 담겼다. 제임스웹 망원경은
현존
하는 광학 우주 망원경 중에서 규모가 가장 크며 특히 적외선 관측에 특화돼 있다. 적외선은 우리의 눈으로 감지할 수 있는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더 길다. 허블우주망원경보다 더 먼 우주 깊은 곳 별을 ... ...
2억2000만년 전 살았던 가장 '펑키한' 양서류 화석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3.01.26
화석을 분석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1월 25일(현지시간)자에 발표했다. 케실리언은
현존
하는 가장 오래된 양서류의 '무족목'을 통칭하는 말이다. 이들은 눈도 발도 없이 검붉은색 몸에 코 주변 감각기관으로 먹이를 사냥해 살아간다. 겉보기에는 양서류보다는 뱀이나 거대한 지렁이처럼 생겼다. 202 ... ...
고래 몸집 커지게 한 유전자 규명.."암 치료 단서"
동아사이언스
l
2023.01.20
고래는 늑대나 바다사자 정도의 크기였다. 고래는 진화 과정을 거치며 몸집이 커졌고
현존
하는 흰수염고래의 경우 몸길이가 30m에 달한다. 바다속 영양분이 충분하고 중력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운 바다에 산다는 점이 고래를 거대하게 만드는 데 일조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구체적인 원인은 ... ...
'의료계 제임스웹'...1만배 정밀한 MRI 세계 최초 구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12
사용되는 7.0T MRI는 뇌의 가장 깊은 영역까지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11.74T MRI는
현존
하는 가장 센 자기장인 11.7T급 마그넷을 이용해 극초고해상도 뇌 이미지를 얻는 기술이다. 7.07T MRI보다 1만배 높은 화질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의료계에선 '의료용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이라고 ... ...
탄성률 높인 우주발사체용 차세대 탄소섬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2.14
개발했다. 기존 상용 탄소섬유와 동일한 강도를 가지면서도 탄성률이 약 1.6배 높다.
현존
하는 탄소섬유의 물성 한계를 극복했다는 평가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구본철 탄소융합소재연구센터 책임연구원과 채한기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 공동 연구팀이 이같은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 ...
옥스포드대의 '칼리지'를 본딴 해리포터의 '그리핀도르'
2022.09.24
세워졌다. 이승재 제공 옥스퍼드대를 표현하는 수식어는 많지만, 그중 하나는 세계에서
현존
하는 두 번째로 오래된 대학이라는 겁니다. 가장 오래된 대학은 1088년에 설립된 이탈리아 볼로냐대입니다. 아무도 옥스퍼드대의 정확한 설립연도는 모르지만, 적어도 1096년부터는 교육기관으로 존재했던 ... ...
[주말N수학] 데이터통신 최대 정보량, 수학으로 풀어낸 91세 수리물리학자
수학동아
l
2022.08.13
업적을 이처럼 평가하며 수상 이유를 전했습니다. 이지운 KAIST 수리과학과 교수는 “
현존
하는 수리물리학계의 대가”라고 리브 교수를 소개했습니다. 리브 교수는 수학과 물리학에서 두루 활약하는 수리물리학자입니다. 물리학 현상을 수학을 이용해 증명합니다. 그는 고체물리학과 통계역학, ... ...
"인사동 출토 한글금속활자 일부, 세조때 인쇄된 글자와 가까워"
연합뉴스
l
2022.07.11
책을 찍을 때 이 활자를 썼는지 등을 일차적으로 확인했다"고 의의를 설명했다. 그는 "
현존
하는 활자에 대한 과학적 분석이나 관련 자료가 아직 부족한 실정이므로 (이번에) 출토된 활자에 대한 분석과 서체 분석이 더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서울 인사동 유적에서 매우 희귀한 조선 ... ...
수소 대규모 운반기술 상용화할 촉매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2
운반체(LOHC)’ 기술의 수소 추출공정에 필요한 나노촉매를 개발했다. LOHC는
현존
하는 화석연료 인프라를 그대로 활용해 대용량의 수소를 운송할 수 있는 기술로 세계 수소 수요가 증가하면서 주목받고 있다. 손현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수소연료전지연구센터 선임연구원과 윤창원 포스텍 ... ...
기린 긴 목은 치열한 짝짓기 싸움용 무기의 진화 결과
연합뉴스
l
2022.06.03
보여주는 것이라고 했다. D. 셰즈의 관절 구조는 사향소를 비롯해 박치기 싸움을 하는
현존
동물들의 것보다 훨씬 더 효율적이어서 가장 뛰어난 박치기 꾼일 수 있다고 했다. [IVPP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연구팀은 기린 과 동물이 가진 뿔의 형태를 다른 반추동물과 비교한 결과, 뿔의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