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삭감
스페셜
"
감축
"(으)로 총 212건 검색되었습니다.
'시멘트 1t당 CO₂0.28t
감축
'…기후변화대응 대표기술로 선정
연합뉴스
l
2021.12.27
있다는 점을 국제표준으로도 인정받은 셈이다. 안지환 단장은 "이 기술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중요한 실천 도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2080년대 서울은 찜통 지옥,제주도는 물폭탄 세상
동아사이언스
l
2021.12.23
강한 의지와 실천이 필요하다는 시사점도 남겼다. 정부와 기업들이 온실가스를 현저히
감축
해 2050년 탄소 중립에 이르는 시나리오를 충족할 경우에도 2041~2060년 남한 지역 평균 기온은 현재보다 1.6도, 강수량은 5% 증가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마저도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현재와 유사하게 온실가스 ... ...
[기고] 글래스고 기후변화 총회가 남긴 숙제
2021.12.13
온실가스
감축
을 요구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개도국들이 자국에서 발생한
감축
실적에 대해, 선뜻 해외 이전에 동의하지 않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상호 윈윈 할 수 있는 외교적이고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기에 우리나라 뿐 아니라 일본, 스위스 등도 개발도상국들과 기후변화협력협정을 ... ...
날씨 예측으로 탄소 배출 줄일 바닷길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25
2017년 국내 선박 온실가스 배출량(1181만t)을 기준으로 5%
감축
을 예상하면 연간 약 59만t
감축
이 가능하다. 국제해사기구(IMO)가 부여한 온실가스 규제에도 효과적 대응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최동규 대우조선해양 중앙연구원장 전무는 “선박의 운항 효율을 극대화하면 연료 절감은 물론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멀고 힘들 수밖에 없는 탄소중립의 길
2021.11.24
사실을 확인시켜주었다. 문제는 명분이 아니라 차가운 현실이다.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은 공짜로 되는 일이 아니다. 단순히 화려한 구호만 외친다고 온실가스 배출량이 줄어들고, 탄소중립이 달성되는 것이 아니다. 국민들의 일상생활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산업구조도 통째로 뜯어고쳐야 한다. ... ...
폐막 하루 앞둔 COP26…주요 합의 내용은
동아사이언스
l
2021.11.12
함께 주요 온실가스로 거론되는 메탄 배출에 대해 100여개국이 2030년까지 배출량을 30%
감축
하는 데 동의했다. 메탄은 인간에 의한 지구 온난화에 약 3분의 1 가량 영향을 미치는 물질이다. 대부분은 가축 생산이나 폐기물 처리과정 등에서 발생한다. 메탄을 대량 방출하는 중국과 러시아, 인도가 ... ...
"한국 기후목표·이행수준 세계 최하위권"
동아사이언스
l
2021.11.09
선언하고, 지난 8월에는 탄소중립기본법이 제정돼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 35%
감축
을 법제화했지만 여전히 목표 수준이 낮다는 평가다. CCPI 평가에 참여한 한가희 기후솔루션 연구원은 “올해 들어 한국은 기후 관련 여러 목표를 발표하고 기후 선언을 했다. 그럼에도 CCPI가 하위권인 것을 ... ...
문 대통령 "2030년까지 40%
감축
쉽지 않지만 바로 지금 행동할 때"
동아사이언스
l
2021.11.03
문재인 대통령이 1일(현지시각) 영국 글래스고 스코틀랜드 이벤트 캠퍼스(SEC)에서 열린 제26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 ... "이라며 "불충분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로는 기후 위기를 막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50% 이상
감축
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 ...
기후과학자 10명 중 8명 “죽기 전 기후변화 파국 볼 것 같다” 네이처 설문 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21.11.02
이 보고서는 기후변화가 지구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으며 온실가스 배출을 대대적으로
감축
하지 않는 한 금세기 말까지 산업화 이전보다 기온 상승을 1.5~2도 이내로 줄이는 목표에 도달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네이처는 IPCC 보고서 저자 233명 중 약 40%인 92명의 과학자가 보내온 응답을 ... ...
기후변화로 ‘아픈’ 지구의 미래 결정하는 COP26 이틀 앞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21.10.29
6조 조항이 쟁점화하면서 강화될 가능성이 크다. 6조 조항은 당시 탄소 배출
감축
을 위한 국가간 자발적 협력을 허용하고 있는데 일부 국가들이 자국 내 탄소 배출은 소극적으로 하고 해외에서 탄소 배출량을 늘리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특히 에너지 분야에서 석탄과 관련된 구체적인 지침이 나올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