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개인"(으)로 총 1,454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근거없는 주장 펴는 사람, '가짜뉴스'에 더 잘 속아2023.08.05
- 회로를 돌리지만 수학을 못 하는 남성들을 보면 그냥 그 사람이 수학을 못 하는 것이라고 개인의 문제로 해석한다. 또한 우리는 어떤 답을 알고 나서야 ‘내 그럴 줄 알았다’고 말하는 ‘후견지명’에도 능한 동물이다. 여기에 각종 자기 고양, 내집단 편향 등으로 인해서 같은 일도 자기가 하면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가해자보다 피해자를 비난하는 사회2023.07.29
- 우리 조직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고 따라서 해결을 위해 노력할 필요도 없으며 피해자 개인만 조용히 있으면 만사 오케이라는 결론을 내리는 것이 가능하다. 문제가 없다고 주장하는 것만큼 모두가 편안한 게 없는 것이다. 따라서 특히 조직 안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일들에 대해 책임을 져야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짜' 과학에 찌들어버린 사회2023.07.18
- 반응이 당혹스럽다. 원자력학계가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를 두고 ‘정치적 성향’이나 ‘개인적 관점’에 따라 서로 정반대의 주장을 펼치는 ‘균열’의 모습을 보이기 시작해서 국민을 더욱 불안하게 만들고 있다는 보도가 있었다. 국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진보’의 과학과 경제적 ... ...
- [과기원은 지금] DGIST, 친환경 폴리우레탄 합성법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3.07.04
- 친환경 폴리우레탄 합성법을 개발한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연구진. 가운데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DGIST 임상규 책임연구원, 김영광 전임연구원, 오 ... 중앙화거래소(CEX)와 달리 개인 간 금융(P2P)이 가능한 거래소로 중개인 또는 관리자 없이 개인이 직접 중개자 역할을 하는 거래 방식이다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제로음료 감미료 '아스파탐' 발암성 '진짜 의미'2023.07.04
- 근거는 분석 대상의 규모만으로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평소의 식단과 생활방식에 대한 개인의 기억은 불확실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명백한 과학적 증거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연구 과정에서 다양한 보완이 필요할 수밖에 없다. 이탈리아의 쥐 실험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IARC가 어떤 근거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가 틀릴 수 있다' 인정 못하는 이유2023.06.24
- 하지만 어째서인지 자신은 뭘 모르거나 틀렸을 리 없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여기에도 개인차가 존재해서 무조건 자기 생각이 맞다고 우기는 사람들이 있는 반면 자신의 생각과 다른 의견, 증거들에도 귀를 기울이고 자신이 틀렸을 가능성도 어느 정도 염두에 두는 사람들이 있다. 이렇게 자신의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시들해지는 과학영재학교 열풍2023.06.20
- 예술‧인문학과의 융합(STEAM)을 강조한다. 국가가 재능이 뛰어난 학생을 조기 발굴해서 개인의 타고난 잠재력을 계발하도록 해줘야 한다는 것이 영재교육진흥법의 입법 취지다. 전국에 8개의 ‘영재학교’ 이외에도 340개의 ‘영재교육원’과 1118개의 ‘영재학급’을 운영하고 있다. 20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과기 유공자 김성호 교수, 노벨상 불발된 사연2023.05.31
- ‘자신들’은 로절린드 프랭클린일 수도 있지 않나 라는 생각이 문득 든다. “난 개인적 경험으로 누군가가 자신들의 아이디어를 훔쳤다고 느낄 수 있게(그게 맞든 틀리든) 만드는 상황이 아주 심각한 일이라는 걸 알고 있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 ...
- [과기원은 지금] 김범준 KAIST 교수, 현우 KAIST 학술상 수상 外동아사이언스 l2023.05.16
- 기반으로 개발하고 실증한 디지털 솔루션을 보유한 한국 소재 회사, 연구실, 개인 등이 참여할 수 있다. 대회 우승자에게는 미국 UCLA의료원의 데이터를 이용해 출품된 솔루션을 검증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된다. 참가 신청과 대회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웹사이트(www.unistxucla.com)에서 확인할 수 ... ...
- [표지로 읽는 과학] 인간 범유전체 지도 초안 완성동아사이언스 l2023.05.13
- 알면 건강 관련 정보나 질병 진단 및 치료결과 등을 예측하는 단서가 될 수 있다. 개인의 유전체 염기서열 속에 들어 있는 이런 유전정보를 파악하기 위해선 비교할 표준이 필요하다. 이때 표준 역할을 하는 게 ‘유전체 참조 지도’이다. 지금까지는 2001~2003년 인간게놈프로젝트(HGP) 결과물인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