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합
에너지
에네르기
스페셜
"
결합에너지
"(으)로 총 254건 검색되었습니다.
50큐비트급 한국형양자컴 개발 착수·AI시대 열 미래형 메모리 PIM 개발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22.01.12
PIM은 연산을 담당하는 프로세서와 기억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통합한 반도체로 인공지능(AI) 발전을 위해 재설계된 메모리 개념으로 불린다. 삼성전자 홈페이지 일반컴퓨터로는 수만년이 걸릴 계산을 수십수백초만에 끝내는 양자컴퓨터 개발과 초고성능슈퍼컴퓨터 국산화, 연산 기능과 기억 기능이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하이젠베르크와 슈뢰딩거
2022.01.06
강의 중인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피직스월드 제공 베르너 하이젠베르크는 1901년생으로 19세기에 태어난 아인슈타인(1879년생)이나 보어(1885년생), 에르빈 슈뢰딩거(1887년생)과 다르게 20세기의 사람이다. 독일 뷔츠부르크에서 태어난 하이젠베르크는 유년시절을 뮌헨에서 보냈고 뮌헨대에서 아놀드 ... ...
단백질 구조 해독 AI 만든 백민경 미 워싱턴대 연구원, 사이언스가 뽑은 최고 혁신 연구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1.12.17
수십년 걸리는 단백질 구조 수 분만에 해독 선정 시작 25년만에 한국인 연구자로는 최초 인공지능(AI)으로 단백질 구조 해독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인 연구가 16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가 뽑은 올해 최고의 혁신적인 연구 성과에 선정됐다. 인공지능(AI)으로 단백질 구조 해독 시간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고전역학에서 양자역학으로
2021.11.25
1927년 10월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제5차 솔베이 회의’에 참여한 학자들이 모여 찍은 사진. 5차 회의 주제는 ‘전자와 광자’로, 양자역학이 만들어 낸 물리학의 위기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가 핵심 논의사항이었다. 아인슈타인(왼쪽에서 다섯번째), 마리 퀴리(왼쪽 세 번째)가 보이고 둘째줄 맨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음식은 암 치료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까
2021.11.16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암에 걸린 사람은 식단이 병의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궁금해할 것이다. 인터넷 정보와 의사, 영양사들이 다양한 권장 식단을 제시하고 있지만 종종 서로 부딪치는 내용이다. (중략) 의사들이 암 치료를 받는 환자들에게 조언하는 식단을 짜는 데 근거가 될 양질의 데이터가 ... ...
한국-호주 우주 협력 강화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29
2018년 발사된 해양·환경관측을 위한 정지궤도복합위성 천리안 2B호의 모습.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한국 정부가 호주 정부와 우주·기후변화 관련 연구를 새로운 협력 방안으로 삼고, 위성 관련 정책과 이산화탄소 저감 기술을 공유하는 자리를 가졌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9일 호주 산업 ... ...
[이덕환의 과학세상]‘탄소’가 망친 세상 ‘수소’가 구해줄까
2021.10.27
픽사베이 제공 태초의 청정함을 간직한 수소가 탄소 때문에 몸살을 앓고 있는 지구를 깨끗하게 만들어줄 것이라는 주장이 설득력을 발휘하고 있다. 태양광·풍력의 전기를 이용하면 친환경적인 ‘그린 수소’를 무한정 생산할 수 있고, 그린 수소를 암모니아로 전환시키면 편리하고 안전하게 운송 ... ...
블랙홀이 뱉은 제트가 가던 길 멈춘 이유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13
와지마 키요아키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팀은 활동 은하의 중심부 초대질량 블랙홀에서 분출된 제트가 뻗어나가는 과정을 관측했다. 제트 끝 부분의 가장 밝게 빛나는 영역인 열점(b)은 블랙홀에서 점점 멀어지다가 고밀도 가스 영역에 가로막혀 1년 간 이동을 멈췄다. 그 뒤 고밀도 가스 영역을 ... ...
[이덕환의 과학세상]노벨상에 대한 사회적 관심
2021.10.13
노벨위원회 제공 노벨 과학상에 대한 우리 사회의 눈길이 싸늘해졌다. 우리 과학자의 수상에 대한 기대가 올해도 물거품이 되어버린 결과다. 그렇다고 성과가 없는 것은 아니다. 작년 현택환 서울대 교수에 이어 올해도 한타 바이러스를 발견한 이호왕 고려대 명예교수가 클래리베이트의 ‘인용 수 ... ...
[표지로 읽는 과학] 리튬 배터리 대안 마그네슘 배터리 만들 새로운 전해질
동아사이언스
l
2021.10.10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배터리 속에서 격자로 표현된 음극을 떠다니는 알록달록한 화학 분자의 모습을 8일 표지로 실었다. 노란색 마그네슘을 속에 감춘 아민 분자 기반의 화합물이 고전압 산화망간 음극 위에서 반응하는 모습이다. 배터리에는 주로 이온화되면 전자를 하나 방출하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