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뒤
경매
한메일
한멜
다음다음
아름다음
아름
스페셜
"
다음
"(으)로 총 2,189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비판받으며 자란 아이, 자기 비난 키운다
2023.11.11
많은 연구들에 의하면 이렇게 애초에 사람과 인간관계를 잘 신뢰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다음
과 같은 싸이클을 보이곤 한다(Shaver et al., 2016). ① 타인은 믿을 수 없다고 생각 ② 믿을만하지 않다는 결론에 부합하는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집 ③ 이번에도 역시 실망. 부정적인 경험(+1) 추가 ④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미용 성형수술, 전쟁터에서 시작됐다
2023.11.05
수술후의 이차감염이 해결의 실마리를 보인 것은 19세기의 일이었지만 그 이야기는
다음
으로 미루고 고대의 성형수술에 대해 소개를 하고자 한다. 성형수술(plastic surgery)의 어원인 “plastikos”는 그리스어로 “모양을 만들다”는 뜻을 지닌다. 어원에서 볼 수 있듯이 성형수술은 정상적인 기능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상대 행동에 '악의적 해석'하는 사람들
2023.11.04
사람들에 비해 더 많은 갈등을 겪고 양질의 관계를 영위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특징 중
다음
과 같은 것들이 있다(Jensen-Campbell et al., 2009). ● 사람을 부정적으로 바라본다 대체로 사람들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편이다(Erez & Judge, 2001). 누군가를 만나면 저 사람은 얼마나 좋은 사람일까’라고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이·팔 전쟁 해법은...'집단적 감정'은 어떻게 움직일까
2023.10.28
변함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감정이란 어떤 사건이 발생하고 난
다음
에 찾아오는 수동적인 반응인 것 같지만 실은 감정을 느끼는 사람이 어떤 목적과 동기를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크게 달라지곤 한다. 예컨대 큰 피해를 보았을 때 신변의 안전을 우선시해야 한다고 여기면 ... ...
[일상 속 뇌과학] 보잘것 없는 생물도 배우고 기억할까
2023.10.27
않을까 물을 수 있다. 연구자들은 상자해파리에서 로팔리아만을 조심스럽게 떼어낸
다음
로팔리아와 연결된 신경다발에 약한 전기 자극 (장애물에 부딪힐 때 받은 물리적 자극을 흉내)과 로팔리아의 눈 중 하나에 시각 자극을 동시에 노출시켰다. 인위적으로 두 가지 자극을 연합시키는 것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의 '에이즈' 치료제는 폐기처분된 항암제
2023.10.22
숙주세포에서 증식을 해야 생존 가능하다. 그러므로 코로나바이러스가 RNA로부터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과정을 막음으로써 더 이상의 증식을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약은 이미 많이 발견되어 있으며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가 발견되자마자 그 때까지 발견된 물질 중에서 효과가 있는 물질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근색은 없다!
2023.10.18
설명하고 있다. 먼저 당근이 처음 작물이 되게 한 특성인 굵은 뿌리를 만든 변이이고
다음
은 개량을 통해 뿌리가 더 굵어지고 아울러 짙은 주황색을 띠게 한 변이다. 뿌리를 보면 뿌리의 가로 성장에 관여하는 유전자 변이가 아니라 개화 시기와 관련된 몇몇 유전자의 변이가 결정적인 기여를 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부정적 생각을 '생각'할 줄 알아야 한다
2023.10.14
하기 때문이다. 나의 경우 우울함이 몰려오는 새벽이면 인터넷으로 충동구매를 하고 그
다음
날이면 정신이 들면서 부랴부랴 구매를 취소하는 일을 겪곤 함을 고백한다. “마음의 소리”를 따르라고들 하지만 그래도 될 때가 있는 반면 그러면 안 되는 때가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보통 마음의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의학이 발전할수록 질병도 발전한다
2023.10.08
양성종양을 혹이라고도 한다. 요즘은 몸에 원인모를 통증이 발생하거나 어딘가를 부딪힌
다음
병원에 가는 경우 “사진부터 찍어 이상이 있는지 확인해 봅시다”라는 이야기를 듣는 일이 일상적일 정도로 X선으로부터 출발한 영상술이 의학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제는 턱과 이의 사진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오랜 이론 무색한 '기후 위기' 우려
2023.09.16
보호받는 안전한 환경이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기후 위기 또한 나 못지 않게 자라나는
다음
세대, 나보다 더 기후 위기에 취약한 사람들을 위해 신경 써야 함을 알리는 것도 중요해 보인다. 인류가 지금까지 존속되어 온 데에는 타인을 보호하기 위해 작은 희생을 무릅쓰는 이들의 존재가 크지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