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매킨토시
mac
소아복
맥킨토시
진맥
검맥
맥락
스페셜
"
맥
"(으)로 총 77건 검색되었습니다.
성인병의 주범? 소금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11.17
하는 방법. 오히려 소금을 적게 먹어 심혈관 질환이 증가했다는 논문도 있다. 캐나다
맥
매스터의과대학 마르틴 오도넬 교수는 2011년 '미국의사협회지(JAMA)'를 통해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소금 섭취량과 심혈관 질환 발병률을 비교했다. 그 결과, 하루에 소금을 7~8g 복용한 군은 4.0~5.99g 복용한 군과 ... ...
독서의 계절 가을, 독서 문외한을 위한 안내서
2016.10.21
맥
주를 마시면서 책을 읽을 수 있는 이른바 '책
맥
' 카페가 인기를 끌고 있다. 북카페에
맥
주나 와인 등의 메뉴가 추가된 것이라고 보면 된다. 온종일 업무에 시달려 피곤한 상태로 퇴근하는 길에 들러 술 한 잔과 함께 가벼운 독서를 즐기기에 좋다. 작가와의 번개, 독서 콘서트 등 다양한 문화 행사가 ... ...
현생인류 Y염색체에 네안데르탈인의 흔적 없다
2016.04.11
유산됐을 가능성 학술지 ‘미국인간유전학저널’ 4월 7일자에는 위의 필자 가설과
맥
을 같이 하는 것일지도 모르는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실렸다. 즉 현생인류의 Y염색체에는 네안데르탈인의 흔적이 없을 가능성이 높고 그 원인은 다른 상염색체의 유전자들과 궁합이 맞지 않아서일 것이라는 ... ...
생물권의 암흑물질 박테리오파지를 주목하라
2015.11.02
bacteriolytic agent)’라고 불렀다. 그러나 전 해에 발발한 1차 세계대전이 격화되면서 연구의
맥
이 끊겼고 전쟁이 끝난 뒤에는 다른 분야로 관심을 돌렸다. 2년 뒤인 1917년 프랑스 파스퇴르연구소의 미생물학자 펠릭스 데렐 역시 비슷한 현상을 발견했다. 트워트와는 달리 이 현상을 좀 더 깊이 파고든 ... ...
봉한선과 림프선
2015.08.03
보낸 노폐물이 뇌수막림프관으로 들어가 배출된다는 시나리오다. 노폐물이 정
맥
주변공간을 따라 목으로 이동해 림프관으로 넘어간다는 2013년 논문의 시나리오보다 그럴듯해 보인다. ● 제3 순환계, 기능을 확실히 밝혀야 글을 쓰다가 문득 ‘그런데 봉한관 연구는 어떻게 됐을까?’하는 의문이 ... ...
식품첨가물 유화제 알고보니…
2015.03.09
가파르게 상승한 배후에는 가공식품이 식단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급격히 늘어난 것과
맥
을 같이 하고 있다는 것. 즉 가공식품 속의 유화제가 장내미생물의 조성을 바꾸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에게서 체중 증가를 일으키고(이번 동물실험에 따르면 유화제가 식욕을 촉발하는 장내미생물의 비율을 높여 ... ...
어느 줄기세포 학자의 비극적 죽음에 부쳐
2014.09.15
벽면 같은 외부 교란이 줄기세포 분화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사이 박사의 발견과
맥
을 같이 하기 때문이다. 아무튼 줄기세포분화에서 거장이 되어가고 있던 사사이 박사는 2011년 리켄에 들어온 계약직 연구원 오보카타의 연구에 관심을 갖게 됐고 자리를 잡게 적극 도와줬을 뿐 아니라 ... ...
복잡한 세상을 풀어주는 수학, 매듭론
IBS
l
2014.05.14
다른 매듭으로 변할 때 세 가지 변형을 거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막상 그림으로 보면
맥
빠지게 간단하고 자명해 보이는 개념이지만, 이를 통해 하나의 매듭이 어떤 매듭으로부터 변형된 것인지 증명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라이데마이스터 변형으로는 결코 변하지 않고 보존되는 수학적인 양이 ... ...
근육예찬
동아사이언스
l
2014.02.18
초반이면 메달권이라고 예상했는데요…”라며 말을 잇지 못한다. 그 뒤 선수들은 역시
맥
을 못 춘다. 드디어 2부 마지막조 이상화 선수가 등장한다. 이때까지도 장홍의 기록은 2위 선수를 0.6초 이상 앞서 있다. 폭발적인 스타트로 200m 기록은 이상화 선수가 0.3초 정도 빠르다. 진행자와 해설자가 ... ...
2014 갑오년 기념, 말의 진화 이야기
KISTI
l
2014.01.06
점차 오늘날의 말의 모습을 띠기 시작한다. 물론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계열은 멸종해 명
맥
이 끊겼다. 그 결과 오늘날 유일하게 남아있는 말류는 에쿠스라는 단일 속(屬)으로 말과 얼룩말, 당나귀 등 8종이 있다. 몇몇 연구자들이 여러 증거를 토대로 오늘날 에쿠스속 종들의 공동조상이 대략 400만 ... ...
이전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