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스페셜
"
지구
"(으)로 총 1,97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중성자별과 블랙홀의 경계는
2024.02.07
실존하는 천체인 블랙홀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슈바르츠실트 반지름의 예로 태양과
지구
를 드는 건 직관적인 이해에는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자칫 우주에 이렇게 작은(가벼운) 블랙홀이 존재한다고 생각하게 할 위험성이 있지 않을까. 그렇다면 가장 가벼운 블랙홀의 질량은 어느 정도일까.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대 산호초로 보는 엘니뇨의 미래
동아사이언스
l
2024.02.04
자주 발생하진 않을 수 있다"고 해석했다. 다만 연구 대상이 된 시기는 해류 순환을 통해
지구
온도 편차를 줄이는 '해류의 순환벨트'가 약화됐을 때여서 분석 결과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제설제’는 ‘화학무기’가 아니다
2024.01.31
죽고, 포트홀이 더 많이 생기고, 반려동물이 고통을 받는다는 것이다. 염화칼슘이 ‘
지구
전체를 점점 더 짜게 만드는 생태계 교란의 주범’이라는 사회학자의 감성적인 지적도 있다. 그렇다고 과연 도로 밑에 설치하는 ‘열선’을 깔고, 불가사리로 만든 ‘친환경 제설제’를 사용하는 것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무분별한 불소 거부증 극복해야
2024.01.17
냉매‧세척제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한 PFAS는
지구
환경에서 쉽게 분해되지 않는다. 그래서 PFAS를 ‘잔류성 유기오염물질’(persistent organic pollutant)로 분류하기도 한다. 심지어 ‘영속적 화합물’(forever chemical)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불소와 탄소의 결합이 매우 ... ...
[과기원NOW] KAIST, AI로 사람의 뇌에서 '음악 본능' 찾았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16
비해 2.9배 향상된 에틸렌 생산성을 나타냈다. 연구를 이끈 남대현 DGIST 교수는 "이 기술이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화합물로 전환해 탄소중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2일 게재됐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 ... ...
[표지로 읽는 과학] 마젤란은하에서 관측된 어린 별 주변 강착원반
동아사이언스
l
2024.01.06
빠르게 회전하는데 이를 통해 원반과 닮은 분포 형태가 만들어진다. 연구팀은 최근
지구
에서 약 16만 광년 떨어진 마젤란은하의 어린 별 'HH1177' 주변에서 강착원반을 포착했다. 원반을 구성하는 물질이 어린 별로 떨어지면서 별의 몸집이 커지고 이 과정에서 제트(JET)가 방출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음력설’은 중국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2024.01.03
윤일을 두지 않는다. 그래서 그레고리력의 1년은 평균 365.2425일이다. 계절의 변화는
지구
자전축이 공전 궤도에서 23.5도만큼 기울어져 있어서 나타나는 자연 현상이다. 북반구에서는 자전축이 태양을 향하고 있는 여름에는 태양의 남중 고도가 높아지고, 낮의 길이가 길어진다. 반대로 자전축이 ... ...
[사이언스게시판] 지자연, 5만 년 전 흔적 ‘합천 운석충돌구’ 특별전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2.21
관찰할 수 있는 전시 구역도 마련됐다. 이번 합천 운석충돌구 특별전은 지자연 네이버
지구
iN블로그와 두드림 유튜브채널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양대 '인공지능반도체대학원' 개원식을 21일 개최했다고 밝혔다. 서울대(11월14일), KAIST(11월28일)에 이어 세 번째이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물리학은 생명을 이해할 수 있을까
2023.11.29
진화) 대상의 복잡성이 커지더라도 복제수가 여전히 많게 유지될 수 있다. 생명체가 있는
지구
에서 보이는 현상이다. 네이처 제공 연구자들은 앙상블을 이루는 분자들의 인과성을 정량화한 수식을 만들어 조립이라고 정의했다. 지수함수의 합 형태인 수식에서는 구성 분자의 조립지수와 복제수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뇌수술, 돌로 만든 기구로 시작됐다
2023.11.19
서로마 황제 아우구스툴루스가 폐위되었다. 이것으로 서로마 제국은 역사에서 사라졌다.
지구
상에 출현한 나라중에서 신라와 더불어 약 1000년 역사를 자랑하는 긴 지속기간의 로마가 사라진 것이다. 이 사건을 기준으로 고대와 중세를 구분하므로 세계사에서 고대란 476년까지를 가리킨다. 인류의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