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뉴스
"
실험
"(으)로 총 10,097건 검색되었습니다.
3D 프린터로 인공 지문 만들어 내 스마트폰 열어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7.22
위에 얇은 금속 입자 막을 입혀 센서가 지문 모양을 인식할 수 있게 했다고 합니다.
실험
적인 기술이고, 제작한 인공 지문을 아직 경찰에 넘기지는 않은 상황입니다. 하지만 몇주 동안 충분히 테스트하면 믿을만한 인공 지문을 만들 수 있으리라는게 연구진의 예상입니다. 이 기술이 충분히 ... ...
북한 핵무기 진짜일까 가짜일까… X선은 알고 있다
2016.07.22
미국 와잉오밍 주 샤이엔에 위치한 워런 공군기지의 미사일 탄두 보관소. 스콧 켐프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팀은 핵탄두에 X선을 쏘아 진위 여부 ... 분석할 수 있는 수준”이라며 “방사성 동위원소 비를 분석하면 농축, 재처리 등 핵무기
실험
의 흔적을 찾아낼 수 있다”고 말했다. ... ...
유럽보다 미국 갈 때 시차적응이 힘들었던 이유
2016.07.22
99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1994년 위르겐 아쇼프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연구원은
실험
참가자 13명을 32일 동안 어두운 방 안에 가둬놓고 생활하게 한 결과 생체시계가 24시간보다 길어진다는 사실을 밝혀 학술지 ‘생물학적 리듬(Journal of Biological rhythms)’에 발표했다. 또 2005년 스티븐 ... ...
서울-부산 16분만에 ‘슝’… 한국형 하이퍼루프 시동
2016.07.22
크기 52분의 1의 모형 열차를 시속 700km로 달리게 하는 데 성공했다. 비록 모형을 이용한
실험
이었지만 하이퍼루프의 가능성을 확인한 첫 시도였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등 국내 연구기관과 공동으로 하이퍼루프 관련 기술 개발을 시작한다고 21일 밝혔다. ... ...
모 아니면 도! 사랑앵무는 딱 두 가지 속도로만 난다!
2016.07.21
그들의 비행 모습과 속도를 촬영한 것입니다. 그 후 모아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실험
에 동원된 모든 사랑앵무가 단 두 종류의 속도로만 비행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어떠한 장애물도 없을 때에는 장거리를 빠른 속도로 비행했지만, 폭이 좁아지는 곳에 다다랐을 때는 터널의 특정 ... ...
항암치료에 쓸 ‘백신 배달부’ 개발됐다
2016.07.20
실험
결과 인체내부 조건은 물론 고온에서도 매우 안정적이었다. 연구진은 생쥐
실험
결과 인캡슐린이 흑색종양 암세포 조각(항원)을 면역세포까지 효과적으로 전달한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항원을 전달 받은 면역세포는 흑색종양을 공격하는 맞춤형 T세포를 부작용 없이 성공적으로 만들었다. ... ...
화학
실험
도 아~트하게, 느낌있게
과학동아
l
2016.07.20
있다. - Syracuse University 제공 다 똑같아 보이는 시약, 무채색
실험
기구로 가득한 화학
실험
실은 잊어라. 미국 시러큐스대 매튜 메이어 교수팀이 화학반응 단계에 따라 형형색색 빛깔이 변하는 나노물질 시약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금속이온과 할로겐화물을 이용해 빛을 내는 나노물질을 만들었다. ... ...
모기는 왜 나만 물까?
2016.07.20
것이 밝혀졌습니다. 미국 위스콘신대학 연구팀은 마늘의 모기 퇴치 효과를 알아보는
실험
을 했는데요. 우선 마늘과 아무 관련 없는 비타민 C와 설탕을 사람들에게 먹이고, 다른 사람들에게는 마늘과 비타민 B를 먹였습니다. 그리고 이 두 집단이 얼마나 모기에 물렸는지를 비교했습니다. 그 결과 ... ...
균과 공생해 뿌리 성장 조절… 나무도 영양분 스스로 찾는다
2016.07.19
멀리 뻗어나간다. 나무 종마다 공생하는 균이 다른 만큼 뿌리가 자라는 방식도 달랐다.
실험
결과 단풍나무와 공생하는 수지상체 균근은 가는 뿌리를 빨리 길게 자라게 해 영양분이 많은 지역을 찾는 전략을 쓰는 걸로 조사됐다. 참나무에 사는 외균근은 뿌리를 자라게 하는 대신 균사를 주변으로 ... ...
인공망막 개발 멀지 않았다… 1차원 반도체 개발
2016.07.19
개발했다. 국소부위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와 광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실험
결과 미약한 전기신호를 감지하는 것은 물론 기존 기술과 비교해 100분의 1 정도로 미약한 빛까지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화학 합성법과 반도체 공정법을 결합해 75% 이상의 높은 ... ...
이전
802
803
804
805
806
807
808
809
8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