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 대신 지뢰 제거와 화재 진압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한국과학
기술
연구원(KIST) 휴먼로봇센터의 김문상 박사팀이 유진로보틱스와 공동으로 지뢰를 제거하거나 화재를 진압하는데 유용한 위험작업용 원격조종 로봇 ‘롭해즈’를 개발했다. 롭해즈(ROBHAZ)는 ‘robots in hazardous environment’의 조어로, 인간이 작업하기 어려운 위험한 환경에서 작업하는 로봇을 ... ...
올해의 Ig 노벨상 발표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과학
기술
계의 딴지일보격인 ‘있을 법하지 않은 연구 연보’(Annals of Improbable Research)는 10월 3일 ‘다시 할 수도 없고 해서도 안될’ 기발한 연구나 업적을 수상하는 올해의 Ig 노벨상을 발표했다.생물학상은 영국에서 사육한 타조가 짝짓기에 실패한 원인을 밝힌 세인트앤드류대 찰스 팩스턴 ... ...
고분자 화합물로 뇌세포 재생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고분자화 합물에 재생효과를 촉진하는 단백질 또는 유전자를 첨가하는 방식으로
기술
을 발전시킨다면 사람의 뇌손상 치료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 ...
북한 핵개발 의혹 6문 6답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이용한다. 이 방법은 북한이 오래 전부터 추진해온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고전적
기술
이라고 할 이 방법은 미국, 일본 등지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원심분리법은 금속 우라늄에 고열을 가해 기체로 만든 뒤 원통 속에 넣고 회전날개를 분당 5만-7만회 정도로 고속 회전시켜 우라늄235와 우라늄238을 ... ...
현실의 법의학 vs 드라마 과학수사대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사진을 보여주고서 뇌파를 분석하면 범인인지를 가려낼 수 있다. 물론 뇌 지문
기술
은 아직까지 논란거리다.그런데 이같은 첨단과학수사기법조차 일반인들이 시큰둥해 하고 과학수사의 지지부진한 전개에 실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다름아닌 ‘과학수사대’(CSI)와 같은 인기 과학수사극에 ... ...
2. 한국인 맞춤의학 실현하는 SNP분석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수분만에 분석해 컴퓨터프로그램으로 SNP를 정확히 찾아낼 수 있다(그림 2). 삼성종합
기술
원 이연수 박사팀과 성균관의대 박주배 교수팀도 최근 MassARRAY를 설치하면서 SNP 연구를 시작했다.KAIST에서는 21세기 프론티어 인간유전체기능연구사업단 과제의 일환으로 지난해부터 위암 발병에 관여하는 ... ...
주가변동 해석하는 마이너리티 게임의 법칙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의해 주식 가격은 오르고 내리고 하면서 요동친다.이들은 이런 관점으로 주가의 등락을
기술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A로 이기는 게임이 계속된다면 주가는 계속 하락하고, 이에 반해 B로 이기는 게임이 계속될 경우 주가는 계속 오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모형은 비록 주가의 요동 현상을 설명해주는 ... ...
왜 수학이 의료장비 개발에 동원될까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증명하는 이론적 연구에서부터, 의료진단 장비의 개발에 관련된 연구, 레이더
기술
에 관련된 연구, 또한 산업 현장에서 제기된 다양한 문제에 대한 응용 연구까지 실로 다양하다. 이러한 여러 형태의 연구는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돼 있어서, 이론적 연구의 결과나 아이디어가 응용 연구에 필요한 ... ...
기술
자도 노벨상 받는 시대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실험장치와 이를 만든
기술
자에게까지 미친 것이다.훌륭한 실험방법이나 장치를 만드는
기술
자가 올해 화학상을 수상한 다나카 연구원처럼 반드시 박사 학위를 가진 사람일 필요는 없다. 물론 다나카 연구원외에 박사가 아닌 사람이 2000년 물리학상을 수상한 미국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사의 잭 킬비 ... ...
2. 3회 연속 수상한 일본의 비결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말은 믿지 않습니다. 가장 필요한 것은 호기심, 그리고 꿈이라고 생각합니다.”과학
기술
분야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려면 거액을 투자해야 한다는 말만 무성한 한국의 학계는 ‘꿈과 호기심’을 무엇보다 강조하는 그의 말조차 꿈 같은 이야기로 치부하고 말 것인가.노벨상을 수상하게 된 뒤 다나카 ... ...
이전
803
804
805
806
807
808
809
810
8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