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식"(으)로 총 2,10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테러도 공식을 따른다!수학동아 l2014년 11호
- 보시려면?Intro. 테러 예측하고 테러리스트 잡는다! 테러 막는 수학수사대Part 1. 테러도 공식을 따른다!Part 2. 테러리스트 검거, 데이터 분석이 책임진다Part 3. 총성 없는 전쟁, ... ...
- [생활] 정체를 감추고 있는, x수학동아 l2014년 11호
- 표기했다.대수학이라고 하면 매우 어렵고 낯설게 느껴지지만, 결국 x의 값을 구하는 것과 공식을 활용하는 것으로 압축할 수 있다.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라는 유명한 말을 남긴 수학자이자 철학자 데카르트. 그는 알 수 없는 수를 기호 x로 표기해 다음 세대의 수학자가 대수학을 한층 ... ...
- [재미] 경험을 공유하는 축제의 장 2014 청심ACG대회 시상제수학동아 l2014년 11호
- 대전한밭초 6학년) 학생은 “새롭고 신선한 문제에 처음엔 당황도 했었다”면서도, “공식을 외우고 대입해서 풀던 이전의 방식에서 벗어나, 문제를 새로운 관점으로 보면서 다양한 방법을 떠올리게 됐다”고 소감을 밝혔다. 중등부 금상팀의 정여원(청심국제중 1학년) 학생은 “수학은 배려와 ... ...
- [life & tech] 거대한 빛을 체험하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존재감을 발하는, 거대한 우주선 모양의 은빛 건물이 있다. 바로 지난해 11월 15일 공식 개관한 국립광주과학관 ‘루체리움(Lucerium)’이다.전국에서 체험형 전시물 가장 많은 과학관루체리움은 ‘호남지역에 들어서는 최초의 과학관’이라는 명성과 함께, 수도권에 집중돼 있는 과학문화체험 기회를 ... ...
- [hot science] 포스트시즌의 세가지 미신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클러치 능력을 수치화 할 수 있는 공식을 만들었다(INSIDE 참조). 클러치 공식은 상황(타순 등)에 관계없이 평균적으로 타자가 팀에 공헌한 정도를 알 수 있다. 클러치 값의 평균은 0이다. 클러치 값이 클수록 평소보다 위기 상황에서 뛰어난 활약을 했다는 뜻이다. 값이 2.0보다 크면 메이저리그 최고 ... ...
- [life & tech] “2022년,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한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2012년 9월 10일 염색체를 기준으로 삼은 ‘염색체 기반 인간프로테옴프로젝트(C-HPP)’가 공식 출범했다. 이 프로젝트는 10년 뒤인 2022년 9월 9일에 종료될 예정이다. 현재 상염색체 22개와 성염색체인 X, Y 그리고 미토콘드리아를 분석하는 그룹까지 총 22개국 25개 그룹이 참여하고 있다.문제는 단백질을 ... ...
- Part 3. 총성 없는 전쟁, 사이버테러수학동아 l2014년 11호
- 보시려면?Intro. 테러 예측하고 테러리스트 잡는다! 테러 막는 수학수사대Part 1. 테러도 공식을 따른다!Part 2. 테러리스트 검거, 데이터 분석이 책임진다Part 3. 총성 없는 전쟁, ... ...
- 빨간 모자는 궁금한 걸 못 참아 텔로미어를 뛰어넘는 할머니의 힘!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사람의 수명은 한정되어 있다. 그럼 가장 오래 산 사람은 몇 살까지 살았을까? 현재 ‘공식적인 기록’이 남아 있는 사람 가운데 가장 오래 산 사람은 프랑스의 잔 칼망(왼쪽, 1875~1997)이다. 그녀는 화가 고흐가 활동하던 1875년 2월 21일에 태어나 총 122년 164일을 살고 1997년 8월 4일에 죽었다. 110살까지 ... ...
- [인터뷰] 이진형 스탠퍼드대 생명공학과 교수 “처음 하는 일은 모두가 반대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모든 걸 통제할수 있다.융합형 인재를 기르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하나특정 공식에 따라 A, B, C 등 정해진 요소를 단순히 더하고 곱한다고 해서 융합형 인재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융합형 인재가 무엇이라고 정의를 내리는 순간부터 그 테두리에 갇혀서 더 이상 발전할 수 없다. ...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위해 중앙정보부까지 나서 이집트의 척박한 토지에서도 잘 자라는 볍씨(나다종)를 비공식적으로 들여왔지만 실패했다. 한반도에서 잘 자라면서 수확량이 많은 벼 품종이 필요했다.마침내 1964년 허문회 서울대 교수가 필리핀 국제미작연구소에서 새로운 벼 품종 개발에 나섰다. 허 교수는 자포니카와 ... ...
이전7677787980818283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