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소니
f 88
smu
삼성
소니 mp3
소니mp3
d라이브러리
"
바이오
"(으)로 총 1,203건 검색되었습니다.
소설 경지에 오른 논문조작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박사는 현재 미국 LA 캘리포니아대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있고 이 씨는 김 교수가 세운
바이오
벤처 CGK 기술이사로 아직 KAIST 생명과학과 박사과정 중에 있다. 원 박사는 KAIST 연구진실성위원회 산하 조사위원회에 출석해 ‘사이언스’ 논문에 기술한 특정 화합물의 표적 단백질은 날조해 만든 ... ...
part 4 암기에서 해방시켜주는 인공해마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인간의 삶을 업그레이드시키는 것과 맞닿는 셈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30
바이오
닉맨 part 1 못 볼 곳 없는 천리안 part 2 원하는 소리만 골라 듣는 '소머즈'귀 part 3 천하무적 팔과 다리 part 4 암기에서 해방시켜주는 인공해마 epilogue 신체능력격차시대 ... ...
PART3 폐식용유 먹고 달리는 자동차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폐기물센터마다 비치돼있다. 여기서 식당과 가정에서 수거한 폐식용유를 한데 모아
바이오
디젤 공장으로 보낸다. 폐식용유 회수용기에는 불순물을 거르는 여과장치와 응고를 막는 전기가열장치가 갖춰있다. 먼지와 일산화탄소를 펑펑 내뿜던 자동차가 콩기름 냄새를 솔솔 풍길 수 있었던 데에는 ... ...
질병 진단의 신예 적혈구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지난 12월 적혈구의 이런 특징을 응용해 피 한 방울로 심혈관계 질환을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
칩을 만들었다. 모세혈관을 모방한 시스템에 혈액을 넣어 적혈구가 얼마나 통과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방식이다. 현재 연구팀은 당뇨병과 그로 인한 신부전증이 적혈구가 유연성을 잃게 되는 과정과 ... ...
질환 단백질의 입체구조에 맞는 열쇠 찾는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전이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자기공명연구단은 지난해 1월
바이오
-MR 전문연구사업을 시작해 동물 대상 연구용 MRI와 고해상도 NMR로 질병을 정복하기 위한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세계 최고 해상도로 세포분화 관찰”자석을 이용한 장비인 MRI와 NMR이 연구단의 ... ...
"경제와 삶의 질 원천은 기초기술"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간질환, 당뇨, 심장질환을 모니터할 수 있는 생명연 정봉현 박사의 ‘스마트
바이오
칩’, 소행성 충돌과 태양폭발을 감시해 21세기 우주재난을 막기 위한 천문연 한원용 박사의 ‘우주감시체계 구축’, 한국 고유의 체질의학인 사상의학의 진단을 표준화하는 한의연 김종열 박사의 ‘이제마 ... ...
내 몸으로 열려라 참깨!
바이오
인식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바이오
인식 기술을 불안해하고 있어. 하지만‘어린이과학동아’친구들이 미래에 새로운
바이오
인식 기술을 개발하고, 정보의 유출과 위조를 막는 기술을 발전시킨다면 우리의 미래는 더욱 편리하고 안전해지겠지? 물론 그 땐 전자레인지에 여권을 넣는 사람도 없을 거야. 내 몸을 편리하고 ... ...
노벨문학상 수상자 암 치료한 차가버섯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 겨울 산을 오르다 보면 낙엽이 지고 하늘을 찌를 듯이 솟아 있는 아름드리나무 군락이 나타난다. 여름 산행에서는 나뭇잎이 우거져 아무리 찾으려 해도 꼭꼭 숨어 있던 버섯들이 서너 길이 넘는 나무둥치나 가지 위에 바가지를 엎어 놓은 듯, 쪽박을 붙여 놓은 듯 말간 하늘 아래 나타난다. 우산 ... ...
PART 1 태안의 기억을 채집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진흙을 뒤지고 있는 사람들이 또 있었다. 바로 안산에 있는 해양연 본원에서 내려온 해양
바이오
신소재연구사업단의 권개경 연구원과 대양열대해역연구사업단의 노재훈 박사. 권 연구원은 기름 성분을 정화하는 미생물을 연구 중이다. 보통 기름유출사고가 일어나면 오일펜스와 흡착포, 유화제를 ... ...
초미세 생체현상 속에 답이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nm, 1nm=${10}^{-9}$m) 규모로 미세하게 일어난다.디지털나노구동연구단을 이끌고 있는 KAIST
바이오
시스템학과 조영호 단장은 근육의 움직임을 모방해 초소형 구동기관을 만들고 있다. 생체현상을 모티브로 한다는 점에서 디지털나노구동연구는 생체모방공학과 비슷하지만 관심을 갖는 생체현상의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