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식"(으)로 총 3,632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반려앵무새, 사이테스 신고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관련 신고는 2549건으로 96%를 차지했다. 또 자진 신고 기간 이후 양도·양수 신고에 대한 인식이 확대돼 신고 건수가 늘어나고 있다.하지만 문제는 아직 이에 대해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이다. 단순하게 사이테스 종 허가·신고 현황만 봐도 수입 건수에 비해 양도·양수 건수가 확연히 적다. 이에 ... ...
- [Origin] 강아지 고민상담소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아틸라 앤딕스 교수팀은 훈련된 개 13마리의 뇌를 MRI로 촬영한 결과, 개가 소리를 인식하는 방식이 사람과 매우 비슷하다는 사실을 2016년 8월 발표했습니다.개들의 뇌를 촬영하는 동안 연구팀은 개에게 ‘하하하’, ‘호호호’와 같이 감정을 나타내는 소리와 ‘잘했어’, ‘착해라’와 같이 칭찬할 ... ...
- [Career] 세상을 바꾸는 착한 상상력 기아 에코다이나믹스 원정대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방문한 마을은 거리 곳곳에 쓰레기가 널려 있을 정도로 분리수거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이 부족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쓰레기 분리수거 장치를 제작했고, 폐품을 활용해 어린이 교육도구를 만드는 방안을 제시했다.원정대에 참여한 청소년들의 소감은 어땠을까.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온 나아프 ... ...
- Part 2. 2017 구제역 전파 원인은?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없앤 불활성화 백신이다. 세포 안에서 증식할 수는 없지만 면역계가 이를 항원으로 인식해 항체를 만든다. 특히 바이러스의 구조단백질을 차단하는 항체를 만들어, 진짜 바이러스가 들어왔을 때 세포에 들러붙는 걸 막는다.국내에서는 2010~2011년 구제역이 발생한 뒤 전국적으로 백신 접종 정책을 ... ...
- [Future] 집 나간 국민생선이 돌아왔다! 명태의 귀환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이대로 국민생선의 명성을 잃어버리는 것일까. 국산 명태를 복원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한 해양수산부는 2014년부터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강원도한해성수산자원센터, 강릉원주대와 ‘명태 살리기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국산 명태를 인위적으로 대량 번식시킬 수 있는 완전양식 기술을 ... ...
- [매스미디어] 포켓몬 트레이너 L씨의 피카츄 사냥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영상에서는 피카츄가 뛰어오르면 풀이 흔들린다. 화면 속 현실세계가 가상의 힘을 인식하는 것처럼 보이도록 했다.게임을 시작하고 며칠이 흘렀지만 피카츄는 안 보인다. 직접 서식지를 찾아나설 때가 왔다. 포켓몬은 자신의 속성과 잘 맞는 곳에 산다. 바다에는 물 속성인 잉어킹과 고라파덕이 ... ...
- [Culture] 유미의 연인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가라고 했다. 하지만 이왕이면 다음부터는 편하게 파일로 달라고 덧붙였다. 귀고리는 인식기에 잠깐 넣어두라고 했다. 짧게 윙, 소리가 들리더니 홀로그램으로 된 유미의 손에 귀고리가 들렸다. 유미는 슥슥 귀에 귀고리를 끼워 넣었다.저런 게 되는 줄 알았으면, 전에 입던 옷이나 선물 같은 것도 좀 ... ...
- [교과연계수업] 에취! 더 독해진 겨울철 독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 수업 지도 순서독감 관련 뉴스를 찾아 영상을 보면서 겨울철 독감 환자가 많은 문제를 인식한다 ▶ 독감의 정체를 알고, 헷갈리기 쉬운 감기와의 차이점을 설명한다 ▶ 독감이 왜 겨울철에 더 유행하는지 이유를 설명한다 ▶ 어떤 조건에서 독감이 더 잘 걸리는지 설명하고, 독감에 대비하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말과 친구가 되는 롤플레이 테마파크 위니월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VR기기를 머리에 쓰고 컨트롤러를 양손에 들었어요. 컨트롤러는 현실의 움직임을 인식해 가상현실 속에서 그대로 표현하는 기기예요. 친구들이 컨트롤러를 조종하면 실제로 우주에서 떠다니는 것처럼 화면이 바뀌지요. 버튼을 누르고 손을 앞으로 뻗으면 앞쪽으로, 몸 방향으로 가져오면 뒤쪽으로 ... ...
- [Future] 홀로그램으로 다시 만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양쪽 눈에 서로 다른 상을 만들어 입체감을 준다. 하지만 수정체의 두께 조절을 통해 인식되는 원근감(초점 조절)과 6.5cm 떨어진 두 눈에 맺히는 좌·우 상의 위치 차이로 생기는 원근감(양안 시차)의 정보가 서로 달라 피로감이 크다. 반면 홀로그래피를 이용한 3D 영상은 원래 빛의 파동을 똑같이 ... ...
이전7677787980818283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