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검색
조사
추적
탐색
찾아주기
d라이브러리
"
찾기
"(으)로 총 2,503건 검색되었습니다.
[게임카페] 장애물 피해 폴짝! 런 게임 上
수학동아
l
2017년 07호
탈출 했어요. 이후 우주선은 지구 어딘가에 떨어졌어요.외계인은 추락한 우주선을
찾기
위해 이곳저곳을 뛰어다니면서 모험을 시작해요. 엔드리스 러너는 외계인의 모습인 플레이어 캐릭터가 장애물을 피해 점프하는 게임이에요. 플랫폼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움직이고, 배경과 아이템이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최석정의 직교라틴방진이 보드게임으로! 1258
수학동아
l
2017년 07호
부대와 계급이 겹치지 않게 5줄씩 줄을 세우는 건 쉬워요. 하지만 6일 때는 좀처럼 답을
찾기
가 어려웠어요. 이 문제는 무려 120년 동안 풀리지 않았답니다.마침내 1901년 프랑스의 수학자 개스톤 태리가 수천 가지 경우를 일일이 따져 36 장교 문제의 답이 없다는 걸 증명했어요. 1984년에는 캐나다 ... ...
Part 3. 신종 찾고 바다숲 만든다! 조간대 살리는 과학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7호
갯지렁이에 힌트를 얻어 의료용 접착제를 개발하기도 했죠.그런데 이렇게 신물질을
찾기
위해서는 그 동물이 무엇인지 정확히 구분해 내야 해요. 그래서 국립생물자원관 박태서 연구사는 기존에 잘못 구분된 종들을 다시 정리하고, 동시에 새로운 종을 찾는 연구를 하고 있어요.지난해 박 연구사는 ... ...
[정수 남매의 가상인터뷰] 황제펭귄을 수호하라!
수학동아
l
2017년 07호
이 너무 많이 녹으면서 주요 먹잇감인 크릴이 자취를 감추고, 최적의 번식 장소 또한
찾기
어려워지고 있지요.사실 해빙이 너무 작아도 문제지만, 너무 커도 문제가 됩니다. 해빙이 너무 크면 먹잇감이나 번식할 곳을 찾아 떠나는 길이 너무 길어져 생활이 힘들거든요.연구팀은 수학자와 함께 우리 ... ...
[식물 속 동물
찾기
] 털이 송송~! 노루의 귀를 닮은 노루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6호
3월 중순이 되면 겨울 동안 얼었던 땅이 녹기 시작해요. 그러면 노루귀가 땅 밖으로 고개를 쏙 내밀지요. 눈을 헤치고 자라는 풀이란 뜻에서 ‘파설초’라고 불리기도 한답니다.노루귀의 모습을 보면 이름의 뜻을 바로 알아챌 수 있어요. 잎의 모습이 노루의 귀를 닮았거든요. 새끼손가락 하나 정도 ... ...
Part 4. 토종 제빵효모 ‘빵 한류 시대’ 이끌까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돌연변이를 유도하면서 발효 능력을 높이는 연구를 하고 있다.맛있는 한국 빵을
찾기
위한 연구팀의 노력은 비단 효모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다. 연구팀은 ‘신맛이 나지 않는 사워도우’를 개발하고 있다. 반죽을 천연발효시키는 사워도우에는 효모뿐만 아니라 유산균이 들어 있어서 풍미가 훨씬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공주의 결혼 상대
찾기
! 공주가 돌아올 시간을 예측하라
수학동아
l
2017년 06호
공주가 여행을 떠나기 전날 밤, 공주와 담소를 나누던 왕은 결혼 이야기를 꺼냈습니다. 공주에게 누구와 결혼하고 싶은지 물었지요. 그러자 공주는 이렇게 답했습니다.“제 결혼은 운에 맡기겠어요!”공주는 왕에게 자신이 세운 구체적인 방법도 덧붙여 말했습니다. 공주가 결혼 상대자를 찾는 방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사잇각이 같은 직선
찾기
수학동아
l
2017년 06호
2차원에서 어느 두 직선을 골라도 사잇각이 같은 직선 3개는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사잇각이 60°가 되게 그리면 되지요. 하지만 4개만 되도 사잇각이 다른 두 개가 반드시 나와 불가능합니다. 즉 평면에서는 사잇각이 일정한 직선 수의 최댓값이 3입니다.3차원에선 어떨까요? 2차원보다는 구하기 어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무중력 소풍
수학동아
l
2017년 06호
시킨 건 분명히 마고였다. 하림은 신고 따위는 없었을 거라고 확신했다. 순전히 하림을
찾기
위해서 한 행동이었다.‘나를 놓칠까 봐 경보까지 내리다니. 이건 보호하는 수준이 아니야. 마고는 분명 날 의심하고 있어.’화장실을 나간 하림은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태연하게 사람들 사이에 섞였다 ... ...
Intro. 암(癌) 지독한 랜덤 게임?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0% 확률에 맘 졸이며 무작위로 버튼을 눌러야만 할 때가 더 많다. 암이라는 병은 이런 지뢰
찾기
게임과 닮았다. 유전적인 요인 또는 살아온 환경의 영향을 받을 때도 있지만, 전체 암의 3분의 2는 정상적인 세포분열 과정에서 무작위로 발병한다. 살아있는 한 세포분열을 그만둘 수 없는 우리가,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