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돌림병
역병
유행병
전염성질환
매독
시체병
전염성 질환
뉴스
"
전염병
"(으)로 총 1,010건 검색되었습니다.
네안데르탈인 멸종은 중이염 잦은 귀 구조 탓
연합뉴스
l
2019.09.23
3만년 전 지구상에서 사라진 원인은 인류학의 미스터리로 남아있다. 기후변화부터 특정
전염병
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가설이 제기돼 왔지만 아직 확실한 원인은 규명된 것이 없다. 이런 상황에서 뉴욕 과학자들이 인간 유아에게서 흔한 중이염이 네안데르탈인의 멸종을 가져왔다는 새로운 연구 ... ...
아프리카돼지열병 논문수 日·中의 5분의 1 수준…'사후약방문' 연구 언제까지
동아사이언스
l
2019.09.18
국내에 유입됐는지 감시하기 위해 농림축산검역본부가 2005년부터 매년 수행 중인 ‘해외
전염병
의 국내검색’ 과제가 3분의 1을 차지하는 등 아프리카돼지열병 자체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그나마 대부분 모니터링과 진단 기법, 감염실태조사 등에 치중돼 있다. 전종호 농림축산검역본부 ... ...
[Q&A]문답풀이로 살펴본 아프리카돼지열병
동아사이언스
l
2019.09.18
사람에게 안전하다. 한국에서 정의하는 동물과 사람 사이 상호 전파되는 인수공통
전염병
은 결핵, 조류인플루엔자, 변종 크로이츠펠트-야콥병 등 10개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여기에 속하지 않는다. Q. 백신은 없나 A 아프리카돼지열병에 대한 백신은 개발되지 않았다.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는 ... ...
변화무쌍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 백신 개발은 '걸음마'
동아사이언스
l
2019.09.17
제1종 법정
전염병
으로 지정해 관리 중이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최근 발견된
전염병
이 아니다. 1921년 아프리카 케냐에서 처음 발견됐다. 유럽에서는 1960년대 처음 발생했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은 현재까지도 남부 아프리카 대부분 지역에 풍토병으로 남아있다. 지난해엔 중국에서 아시아 최초로 ... ...
걸리면 100% 폐사 아프리카돼지열병 한국 상륙..."인수공통 감염병 아냐"
동아사이언스
l
2019.09.17
사이에 감염이 되지는 않지만 백신과 치료제가 없어 걸리면 100% 폐사하는 제1종 가축
전염병
에 해당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유입 경로가 파악되지 않고 있어 다른 양돈 농가에 더 큰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7일 "경기도 파주시의 한 양돈 농장에서 폐사한 어미 돼지 다섯 마리 ... ...
인간 항생제 남용으로 애꿎은 돌고래도 피해
연합뉴스
l
2019.09.17
미국 플로리다 애틀랜틱 대학(FAU)에 따르면 이 대학 하버브랜치 해양학연구소의
전염병
학자 애덤 섀퍼가 이끄는 연구팀은 플로리다주 인디언강 석호 주변의 큰돌고래(bottlenose dolphin)들에서 검출된 병원균을 검사한 결과, 항생제 내성이 심각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과학저널 ... ...
韓美연구팀, 패혈증 2시간 내 검출하는 진단칩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9.16
한국과 미국의 과학자들이 포함된 국제 연구진이 패혈증과 조류독감과 같은 동물매개
전염병
을 2시간 내에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박성규 재료연구소 표면기술연구본부 나노표면연구실 책임연구원과 임형순 미국 하버드의대 교수 연구팀은 패혈증이나 조류독감을 약 2시간 이내에 ... ...
개구리 피부로 5000만명 살렸다…인류 구한 황당한 과학연구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9.09
000만 명을 살리다: 데이비드 새처 콜레라는 연평균 10만 명의 사망자를 내는 무서운
전염병
이다. 조기에 치료를 받으면 사망률은 1%로 떨어지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는 절반이 사망한다. 데이비드 새처 마운트시나이의대 소화기내과 교수는 1965년 방글라데시에서 콜레라를 연구하던 중 개구리 ... ...
"추석 전후 조심하세요"…가을철 유의해야 할 감염질환 톱3
동아사이언스
l
2019.09.02
말했다. 2009년 중국에서 최초로 발견된 뒤 현재 한국과 중국, 일본에 퍼져 있는 신종
전염병
SFTS도 진드기가 옮기는 감염질환이다. 작은소참진드기가 사람에게 SFTS 바이러스를 전염시킨다. 크기가 1mm가 되지 않고 흡혈 뒤에도 2~3mm 밖에 되지 않을 정도로 매우 작아 맨눈으로는 잘 보이지 않는다 ... ...
[인류와 질병] 사르데냐섬의 비극
2019.09.01
2명으로 늘어났고 1990년부터 1995년에는 무려 104명으로 늘어났다. 하지만 다발성 경화증은
전염병
이 아니다. 옛 로마제국의 영토, 사르데냐에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일까? 그 비극의 시작은 기원전 5세기 카르타고의 사르데냐 침공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카르타고의 침공 주둥이에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