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학
항해천문학
항해
익살 점성학
천체지학
뉴스
"
천문학
"(으)로 총 914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인 과학자가 ‘희귀종 블랙홀’ 찾아냈다
2015.11.09
우주 생성 초기에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 추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연구 성과는
천문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천체물리학저널레터(The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에 소개됐다 ... ...
이슬람 과학기술역사박물관에 가다
2015.11.01
구비했던 셈이다. ● 천문관측기구 및 시계의 발전 아스트롤라베(Astrolabe)는 이슬람
천문학
이 남긴 최고의 과학유물로 지름 15cm인 두꺼운 원반 모양의 휴대용 천문관측기구다. 유목 생활을 하는 이슬람 문명에서 언제 어디서나 천체관측을 통해 시간과 방향을 알기 위해 제작한 도구였다. 이후 ... ...
"한국, 화성 탐사를 상상하다"
2015.10.25
뜨거운 가운데 붉은 행성 ‘화성’에 담긴 비밀을 풀어낸 새 책이 나왔다. 이 책은
천문학
을 전공한 베스트 셀러 작가가 집필했다. 화성 탐사의 역사와 화성의 매력을 시작으로 독자가 실제로 화성을 여행하는 것처럼 화성의 세계로 이끈다. 저자는 화성에 물이 있을까, 화성에 생명체가 ... ...
“와이파이도, GPS도 기초 과학 결과물”
2015.10.21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학문 간 협업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다이아몬드 단장은 “
천문학
연구는 협업하는 ‘오픈 사이언스’가 많다”며 “오픈 사이언스가 해당 분야의 발전을 가속화시키는 순기능을 한다는 점을 경험을 통해 터득했다”고 말했다. ... ...
가장 좋은 망원경은 맨눈으로 보기, 그래도 부족하면…
동아사이언스
l
2015.10.19
마세요. 맨눈으로도 충분히 천체를 관측할 수 있습니다. 망원경이 발명되기 전, 수많은
천문학
자들은 맨눈으로 천체를 관측했거든요. 케플러가 행성의 타원 궤도를 증명할 수 있었던 것도 스승인 티코 브라헤의 어마어마한 관측 자료가 있었던 덕분이었지요. 한 때는 유럽에서 가장 큰 천문대를 ... ...
[특집] 韓中日 달탐사 경쟁 심화… “먼 옛날 달은 ‘동생’이 있었다는데”
2015.09.19
회색으로 잘 나타나 있다. 요하네스 헤벨리우스의 달 지도. - 위키피디아 제공 당시
천문학
자들은 파인 부분에 물이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따라서 이 부분을 크기에 따라 ‘바다’나 ‘대양’으로 불렀다. 이는 달이 생성되고 얼마 지나지 않은 무렵 표면이 아직 굳지 않고 걸쭉하게 녹은 ... ...
[사이언스 브리핑] ‘대한민국 별 축제’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5.09.18
이번 행사는 김담이 태어난 지 600년이 되는 2016년을 기념해 그의 업적과 조선시대
천문학
을 재조명하기 위해 마련했다. 김담의 후손이기도 한 김제완 서울대 물리학과 명예교수 등 전문가 6명이 케플러와 조선의 1604년 초신성 관측 비교 등 주제발표를 진행한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home.kias.re.kr ... ...
과학은 정말 객관적일까
2015.09.06
■언던 사이언스(현재환 作, 뜨인돌 刊) 뜨인돌 제공 ‘과학청부론’이란 말이 있다.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사람들이 권력이나 자본, ... 우주망원경 사진도 수록했다. 우리가 알아야 할 우주의 모든 것을 쉽게 읽을 수 있어
천문학
에 관심이 깊은 일반인과 중·고교 학생들에게 권한다. ... ...
1989년 버트 보겔스타인 교수의 대장암에서 p53 유전자 결손과 돌연변이 발견
과학동아
l
2015.09.06
결과일 것이다. 1971년 미국의 리처드 닉슨 대통령은 ‘암과의 전쟁’을 선포하고
천문학
적인 연구비를 지원하기로 약속했다. 실제로 지난 40년 동안 미국에서 암 연구에 들인 돈은 무려 900억 달러(약 100조 원)에 이른다. 덕분에 암의 실체가 상당히 밝혀졌지만 그때나 지금이나 암이 두려운 ... ...
PART 0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15.08.27
러시아 면적과 유사하다. 이중 ‘하트’ 모양의 얼음 지형(NASA는 명왕성을 처음 발견한
천문학
자 이름을 따 이 지역을 ‘톰보 영역’이라고 부른다)의 폭은 2000km이다. 명왕성의 하트 지형은 태양 빛을 반사해 명왕성을 더 밝게 보이게 한다. 현재는 궤도상 명왕성과 태양이 점점 가까워지고 있어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