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도"(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100배 빠른 통신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머지않아 현재의 휴대전화 등에 쓰이는 전파 주파수보다 1000배 이상 높은 주파수인 테라헤르츠(THz) 대역의 통신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주파수 대역이 높아지면 초고속 대용량 통신이 가능해져 일상 생활을 크게 바꿀 수 있다. 김경록 UN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팀은 실리콘 반도체에서 전자가 ... ...
- 제논 먹는 하마 CC3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유용한 산업·의학 자원 ‘제논’을 핵폐기물에서 분리할 수 있는 신기술이 개발됐다. 자원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유해 폐기물을 처리하는 데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영국 리버풀대와 뉴캐슬대, 프랑스 엑스막세이대 공동연구팀은 7월 20일, 핵폐기물로부터 방사성 물질 ‘제 ... ...
- 명량, 이순신 그리고 란체스터 법칙과학동아 l2014년 09호
- “三尺誓天山河動色 一揮掃蕩血染山河 삼척서천산하동색 일휘소탕혈염산하”(석자 칼로 하늘에 맹세하니 산하가 떨고 한번 휘둘러 쓸어버리니 피가 산하를 물들인다.)개봉 17일 만에 누적관객 1400만 명을 돌파하며 한국 영화의 역사를 새로 쓴 영화 ‘명량’의 이순신 장군(최민식 분)은 뛰어난 ... ...
- 독도에 풍덩 천국문이 활짝과학동아 l2014년 09호
- ▲ 독도 혹돔굴에서 명정구 소장이 잠수해 사진을 찍는 모습. 명 소장이 1997년 혹돔굴에 처음 갔을 때 네 마리의 혹돔이 발견됐는데 10여년 뒤인 2008년 다시 이곳에 왔을 때 한 마리가 여전히 살고 있었다.그대, 독도 바닷속을 본 적이 있는가. 최근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이 독도 바다의 수중 생태지도 5 ... ...
- 우주 로또? 우주 타임캡슐! 운석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뜨허억! 이럴 수가! 친구들! 제가 왜 이렇게 흥분하는지 모두 알 거예요. 우리나라에서 70년 만에 운석이 발견됐잖아요! 그 운석 가격이 엄청나다던데…. 게다가 50억 원이 넘는 운석이 있다는 소문도 돌고 있어요. 커컥! 운석이 ‘우주 로또’라는 말이 사실일까요? 그게 사실이라 ... ...
- Part 1. 전격 분석! 필즈상의 모든 것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전세계에서 모인 수학자들이 탁월한 업적을 세운 수학자에게 이 상을 수여한다." 아르키메데스필즈상은 대체 누가 만든 것일까? 그리고 왜 노벨상에서는 수학 분야가 제외된 것일까? 필즈상을 둘러싼 갖가지 궁금증과 나라별, 출신 학교별 필즈상 수상자 분석까지! 필즈상의 모든 것을 알아보자. ... ...
- Intro 세계수학자대회의 모든 것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이번 달, 전세계 5000명의 수학자들이 서울에 모인다. 8월 13일부터 21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에 참가하기 위해서다. 세계수학자대회(ICM)는 국제수학연맹이 주최하는 학술대회로, 최근 4년간 일어났던 중요한 수학적 업적들을 소개하고 각종 상을 시상하는 자리다. 기 ... ...
- [수학뉴스] 게임이 위기 대처 능력을 높여 준다?수학동아 l2014년 08호
- 무슨 게임을 하느냐에 따라, 게임이 오락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싱가포르 난양기술공과대(NTU) 연구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물리학을 기반으로 한 퍼즐 게임인 ‘컷 더 로프(Cut the Rope)’가 성인의 위기 대처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팀은 먼저, 이 ... ...
- [체험] 신비로운 도형 아폴로니안 개스킷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아밀리 : 폴 선배, 지금 뭐 하세요?폴 : 누가 해변에 멋진 그림을 그려 놨기에 나도 따라서 그려 보려고.앤드류 : 이건 아폴로니안 개스킷이라는 도형이야. 기원전부터 지금까지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아밀리 : 선배, 우리 함께 아폴로니안 개스킷을 그려 봐요.세계수학자대회에서 주목을 ... ...
- 08 양자의 얽힘(EPR 역설) - 빨간 약을 먹으면 양자세계가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유대인이었던 아인슈타인(Einstein)은 1933년 히틀러가 지배하는 독일을 떠나 미국 프린스턴대에 보금자리를 마련한다. 양자역학을 거부했던 아인슈타인은 이곳에서 다시 공격의 포문을 연다. 1935년 포돌스키(Podolsky), 로젠(Rosen)과 함께 ‘물리적 실재에 대한 양자역학적 설명이 완벽하다고 할 수 있는 ... ...
이전8078088098108118128138148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