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d라이브러리
"
사람
"(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으로 물리친 3D 스노우어드벤처 눈의 여왕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극지방에서 하얀 주변 환경 때문에 거리감각을 잃게 되는 걸 ‘백시현상’이라고 한다.
사람
은 공간지각능력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을 때,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다. 그래서 거리감각과 공간감각을 상실한 채로 길을 잃었을 경우에는 ‘자신은 무조건 한 방향으로 전진하고 있다’고 ... ...
빙하 붕괴부터 세포분열까지! 별걸 다 예측하는 수학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싶으신 말은 없으신가요?수학이란 ‘수와 식’으로 대표되는 학문이라고 생각하는
사람
들이 많을 거예요. 하지만 전 수학이란 형식에 갇히지 않고 여러 분야의 학문을 변형시키는 일을 사랑했습니다. 여러분도 수학을 기호와 숫자 안에 갇혀 있는 꽉 막힌 학문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 ...
PART 2 무인기와 유인기가 맞짱을 뜬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통신을 통해 항공기들의 이륙시간과 교통 관리를 정밀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어쩌면
사람
이 조종하지 않아도 출발지와 목적지만 입력하면 항공기 특성에 맞춰 가장 안전하고 최적화된 경로로 자동 운항하는 시대가 올지도 모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PART 1. 글로벌호크, 한반도에 ... ...
PART 4. 영원히 착륙하지 않는 무인비행기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컴퓨터 시뮬레이션도 가능하고 비슷한 환경의 고고도 시험을 통해 개발할 수도 있다.
사람
보다 더 똑똑한 ‘살아 있는’ 무인항공기가 이제는 지구의 하늘뿐만 아니라 다른 행성의 하늘도 지배하는 미래가 언젠가는 찾아올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PART 1. 글로벌호크, 한반도에 ... ...
새들을 내쫓는 베이스 소리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있다. 그동안 큰 소리로 새들을 쫓아내는 시스템은 있었지만 이는 공항 주위에 사는
사람
들에게 피해를 준다는 게 문제였다. 그러나 이 회사가 개발한 장치는 새떼가 접근하는 소리를 들으면 자동으로 여러 개의 스피커를 이용해 귀에는 들리지 않는 초저주파수의 소리를 매우 강하게 내 새떼를 멀리 ... ...
스타워즈의 ‘옥에 티’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발행하는 ‘독특한 물리학 저널’에 실렸다.연구에 따르면, 밀레니엄 팔콘에 탄
사람
들은 하이퍼스페이스로 진입할 때 별이 그리는 직선이 아닌 희뿌연 구름을 봐야 한다. 도플러 효과 때문이다. 도플러 효과에 따르면 전자기파의 원천이 관찰자를 향해 빠른 속도로 다가올수록 파장이 짧아진다 ... ...
개코보다 더 개코 같은 돼지코의 비밀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있다. 과학자들은
사람
코의 한계를 넘을 수 있는 ‘전자코’를 개발하고 있다. 전자코는
사람
이 직접 맡기 어려운 유독가스, 해로운 음식이나 공기 중 오염물질의 검출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돼지에게서 발견된 1300여개 후각수용체 단백질의 기능이 밝혀진다면 전자코를 비롯해 다양한 바이오 ... ...
당신의 대통령은 누구입니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이유는 전화번호부 때문이었다. 여론조사 회사들이 사용하는 KT 전화번호부에 등재된
사람
들은 여당 지지자가 많다. 아무래도 한 지역에 오래 살고 있거나 자기 집을 갖고 있는 고연령층의 보수성향자들이 많은 것이다. 이들에서 표본을 추출하면 여당 지지율이 실제보다 더 높게 나오게 된다.KT ... ...
와이파이는 왜 ‘찬밥’ 신세가 됐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찾기 전에 통신 전문 용어 ‘매체접근제어(MAC, Media Access Control)’의 개념을 살펴보자. 두
사람
이 동일한 주파수를 통해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면 충돌이 일어나 통신이 실패할 수 있다. 이것이 통신 간섭 현상이다. 이 현상을 막는 것이 바로 MAC 프로토콜 기반의 소프트웨어다.셀룰러 통신에서 ... ...
황금바다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정영진 사무처장이 이번 포럼에서 한 말이다. 여기서 ‘나’란 갯벌 최상위 포식자인 ‘
사람
’을 일컫는 말이다. 또 해당 지역 주민이기도 하다. 정 사무처장은 “지속가능한 환경보전을 하려면 지역주민들이 잘 사는 것이 최우선”이라고 강조했다. 생활이 궁핍하지 않아야 자발적으로 자연을 ... ...
이전
812
813
814
815
816
817
818
819
8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