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임무
구실
노릇
직무
직분
역활
기능
뉴스
"
역할
"(으)로 총 8,633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과 로봇의 경계에는 OO이 있다?!
수학동아
l
2014.03.03
기원이 되는 '튜링 기계'를 고안해 '컴퓨터의 아버지'라고도 불린다. 로봇의 두뇌
역할
을 하는 컴퓨터가 개발된 후, 로봇 공학자들은 인간처럼 지능을 갖춘 로봇이나 로보캅 같은 사이보그를 만들기 위해 수학과 생물학 등을 융합한 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생물들이 주고받는 ... ...
개미의 영역 전쟁은 화학戰?
동아사이언스
l
2014.03.02
개미 한 마리가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 모델을 장식했다. 이 개미의 이름은 ‘황갈색 미친 개미(Nylanderia fulva)’. 주인공의 ‘포스’가 느껴지는 이름이 ... 만큼 안정된 준입자이기 때문에 앞으로 성능이 더 우수한 전자기기를 개발하는 데 큰
역할
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미래의 여성 과기인 84명 롤모델을 만나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28
연구자를 멘토-멘티 관계로 이어주는 것을 넘어, 각 학교의 진로상담교사가 이들의 가교
역할
을 담당하도록 해 기존 멘토링 프로그램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킨 행사다. 진로상담교사가 진로 고민이 있는 학생들에게 프로그램을 소개해주고 선발해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이 일일이 멘토링 ... ...
스마트폰 중독 아이는 '팝콘 브레인'···독해력 떨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28
‘밤새워 책읽기’는 부모와 자녀 간 서로 몰랐던 부분을 알아가는 ‘힐링 캠프’
역할
도 한다”고 설명했다. 동아사이언스가 시작한 ‘작은 도서관 캠페인’의 발기인 대표인 우종천 서울대 물리학과 명예교수는 “초등학생 때 우연히 구한 원자력 관련 책을 보고 원자탄이 가장 센 ... ...
‘친환경-고성능車’ 아니면 명함도 못 내민다
동아일보
l
2014.02.27
적용한 콘셉트카 ‘XLV’를 선보인다. 저속 주행 구간에서 전기 모터가 엔진의 보조
역할
만 하는 기술이다. 일반 하이브리드보다 연비는 떨어지지만 가격을 낮출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닛산자동차는 5월부터 판매할 신형 전기차 ‘e-NV200’의 양산형 모델을 공개한다. 푸조는 ‘2008 하이브리드 에어’ ... ...
'유령입자' 드디어 정체 드러내나
동아사이언스
l
2014.02.26
더 많은 이유를 연구하고 중성미자를 이용하는 다른 실험을 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
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중성미자의 상호작용 효과가 얼마나 큰지 후속 연구를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 ...
뚱뚱한 사람이 자주 아픈 이유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4.02.26
비만’이라는 주제로 강연한다. 김 교수는 잉여 에너지를 보관하는 지방조직의
역할
과 지방이 지나치게 많아져 생기는 비만의 문제점, 이로 인한 각종 질병 등에 대해 설명한다. 또 지방세포 기능을 제대로 이해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알기 쉽게 강의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대전 동명초 ... ...
[청년드림]“누가 ‘왕관’ 씌워주지 않아… 꿈을 당차게 말하라”
동아일보
l
2014.02.25
있는 여성 기업인 50명’ 중 47위로 선정됐다. 한국인으로는 유일하다. 직장 생활과 엄마
역할
을 동시에 해야 하는 ‘워킹맘’에게 항상 선택의 순간은 찾아온다. 그는 “인생을 살다 보면 뜻하지 않은 일들이 생기는데 10년 후 내가 어떤 자리에서 무엇을 할지 생각해보면 답은 나오기 마련”이라고 ... ...
거식증도 호르몬에 영향 받는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4.02.24
불활성화되면 만들 수 있는 옥시토신 수용체의 개수가 줄어든다. 수용체 유전자가 제
역할
을 하지 못하면서 인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옥시토신 호르몬의 양도 줄어든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옥시토신 수용체가 줄어들수록 거식증의 심각도 지표인 체질량지수(BMI) 또한 낮아진다는 사실 또한 ... ...
줄기세포로 청각 장애 고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23
찾아낸 특정 단백질(notch)의 전달 경로를 찾아냈다. 이 단백질은 유모세포의 재생을 막는
역할
을 한다. 연구팀은 새로운 유모 세포가 Lgr5라는 단백질을 생산하는 줄기세포에서 재생되는 것을 확인했다. 그 결과, 유모세포의 수는 정상수준까지 늘어났던 것.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는 청각장애를 ... ...
이전
814
815
816
817
818
819
820
821
8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