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진짜 VS 가짜 음모론의 과학적 해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1호
할 수 없다.소문을 그대로 믿지 마라!‘누가 ~했더니 ~했대’‘내가 저번에 ~을 했는
데
~가 됐어’등의 이야기를 조심하자. 과학 지식은 수많은 실험과 연구가 쌓여서 이루어진 것이다. 둘 중에 하나를 고르라면 당연히 오랫동안 수많은 과학자들의 검증을 거친 지식을 믿는 편이 낫다.억압받고 ... ...
“누구~?”인공지능과의 채팅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1호
많은 심판관을 속인 프로그램에게 주어지는 상이에요. 엘봇은 25%의 심판관을 속이는
데
성공했어요. 12명의 심판관 중 3명이 엘봇을 사람이라고 생각한 거죠. 엘봇의 홈페이지(www.elbot.com)에서 인공지능 프로그램과의 채팅에 도전해 보세요 ... ...
멜라민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0호
녹지 않아 몸에 축적되지 않고, 먹은 뒤 24시간 내에 대부분 빠져나가요.벌써 먹었는
데
괜찮을까?이번에 과자에서 발견된 멜라민의 농도는 1~271ppm까지 다양했어요. 전문가들은 유럽식품안전청의 기준을 들어서, 가장 수치가 높은 271ppm이 나온 과자도 몸무게 30㎏인 어린이가 한꺼번에 12개씩 오랜 기간 ... ...
소금 법정 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0호
하는
데
, 물질이 어떤 온도에서 용해도만큼 녹아 있는 상태를 포화상태라고 한다. 그런
데
이 포화상태를 넘어서서 계속 어떤 물질을 녹이면 그 용액은 과포화상태가 된다. 과포화상태가 된 용액에 물질이 붙을 수 있는 무언가를 넣어 주면 그 물질은 결정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처럼 소금 결정 만들기 ... ...
뾰로롱~! 파도야 사라져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0호
보통 일이 아니거든요. 대신 석유 시추선처럼 바다 위에 고정된 작은 시설을 보호하는
데
효과적일 거라고 보고 있어요.영화에서나 나오던 투명망토 기술이 이렇게 파도에도 적용되다니 정말 흥미롭군요. 앞으로 활동 계획도 말씀해 주세요.메타물질에 대한 연구는 계속되고 있어요. 과학자들은 ... ...
한글의 DNA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9호
보면 동영상을 보는 것 같은 반응이 일어나는 거지. 그래서 한글이 표현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됐을 거라고 보는 학자도 있어한글의 DNA 2탁월한 정보화 DNA한글은 정보를 전달하기에 뛰어난 DNA를 가지고 있어. 한눈에 많은 정보를 전달해 주고 가로로 써도 세로로 써도 쉽게 읽히거든. 또 한글의 조합 ... ...
공룡이 지구를 지배한 건 운 때문?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9호
생활 방식이 더 우월했답니다.이전까지 과학자들은 공룡이 지구를 지배할 수 있었던
데
는 진화적으로 우월한 특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해 왔어요. 하지만 이 연구 결과를 보면 공룡은 그저 운이 아주 좋았을지도 모르겠습니다 ... ...
꿀꺽! 마실 수 있는 연료가 있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9호
아옹다옹하던 모습은 간
데
없다.“자, 그럼 요리를 시작합니다~!”화르르~!아…, 그런
데
버너와 달리 이 화염방사기는 아직 미완성이었나 보다. 주인 아저씨가 불꽃을 조절하려고 필사적으로 노력했지만 뜻대로 되지 않는다. 덕분에 불꽃벼락을 맞지 않기 위해 이쪽 저쪽으로 펄쩍펄쩍 뛰어다니는 ... ...
외계 행성이 사진에 찰칵~!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9호
망원경을 이용해 목성보다 8배 정도 큰 행성이 이 별 주위를 돌고 있는 모습을 촬영하는
데
성공했답니다. 지금까지 외계 행성이 발견된 적은 많았지만, 이렇게 태양과 비슷한 별 주위를 도는 행성이 사진에 직접 찍힌 것은 처음이라고 해요.연구팀은 이 둘이 정말로 서로의 주위를 도는 관계인지 ... ...
나는야 지구 최강의 생명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9호
실어서 우주에 올려 보내 우주공간에서 10일 동안 노출시켰어요. 우주 공간은 진공인
데
다가 방사선과 지구 표면의 1000배가 넘는 자외선 때문에 아주 위험한 곳이에요. 하지만 최근 바싹 마른 상태로 지구에 돌아온 우리에게 물을 주자 대부분이 되살아나서 과학자들이 깜짝 놀랐지요.와~! 도대체 그 ... ...
이전
815
816
817
818
819
820
821
822
823
다음
공지사항